$\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중의 총이산화탄소와 총알칼리도 분석을 위한 탄산염 화학 이론 및 측정방법
Determination of Total CO2 and Total Alkalinity of Seawater Based on Thermodynamic Carbonate Chemistry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18 no.1, 2015년, pp.1 - 8  

모아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광물자원연구센터) ,  손주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광물자원연구센터) ,  박용철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된 총알칼리도($Alk_T$)와 총이산화탄소($TCO_2$) 분석방법의 정밀도와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스크립스 해양 연구소에서 제조된 이산화탄소 표준물질(Batch 132; $Alk_T=2229.24{\pm}0.39{\mu}mol/kg$, $TCO_2=2032.65{\pm}0.45{\mu}mol/kg$)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의 평균 농도는 각각 $2354.09{\mu}mol/kg$$2089.60{\mu}mol/kg$으로 제시된 농도 값과 총알칼리도는 약 5.6%, 총이산화탄소는 약 2.3%의 차이를 보였다. 기존의 알칼리도 측정방법(Gran Titration)과 본 연구 분석 방법을 중탄산나트륨($NaHCO_3$) 0.340 g($Alk_T$ $2023.33{\mu}mol/kg$) 용액에 적용하여 비교 실험을 진행한 결과, 기존의 방법으로 측정된 중탄산나트륨의 평균 알칼리도 농도는 $2193.39{\mu}mol/kg$(sd=57.15, n=7)이었고, 본 연구방법의 경우 $2017.02{\mu}mol/kg$(sd=10.98, n=7)의 알칼리도 평균 농도를 보였다. 또한, 초순수와 해수에 중탄산 나트륨을 첨가해 총알칼리도의 수득률(recovery yield)을 측정한 실험에서 초순수에 대한 첨가실험은 다양한 농도 변화 범위($0{\sim}4952.39{\mu}mol/kg$) 내에서 평균 약 100.8%($R^2$=0.999), 해수에 대한 첨가실험은 다양한 농도 변화 범위($0{\sim}2041.32{\mu}mol/kg$)내에서 평균 약 102.3%($R^2$=0.999)로 나타났다. 해수의 이산화탄소 분압($pCO^2$)을 측정하는 Pro Oceanus사의 PSI-Pro$^{TM}$을 사용하여 측정된 이산화탄소 분압과 본 연구를 통해 측정된 $H_2CO_3^*$ 농도와의 비교 실험을 시행한 결과, 약 2주간의 경시변화 실험을 통하여 측정된 이산화탄소 분압은 $427{\sim}705{\mu}atm$의 변화를 보였고, 본 연구방법으로 측정된 $H_2CO_3^*$의 농도는 $9.15{\sim}15.24{\mu}mol/kg$의 변화를 보였다. 측정된 분압과 계산된 $H_2CO_3^*$ 농도의 결정계수($R^2$)는 0.977로 나타났다. 본 연구방법을 적용해 동해 강릉 사천항의 표층 해수 중의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의 일 변화 측정실험 결과, 두 항목의 농도는 일몰 이후 증가하고 일출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이산화탄소와 용존산소의 농도는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과 호흡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현장 선상에서 시행된 북동태평양의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에서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의 측정실험 결과, 표층(0~60 m)과 저층(200~2000 m)에서 총알칼리도의 평균 농도는 각각 $2422.38{\mu}mol/kg$(sd=78.73, n=20)과 $2465.87{\mu}mol/kg$(sd=57.68, n=103)로 측정되었고, 표층과 저층저층의 총이산화탄소 평균 농도는 각각 $2134.47{\mu}mol/kg$(sd=65.40, n=20)과 $2431.87{\mu}mol/kg$(sd=65.02, n=103)으로 측정되었다.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의 수직 분포는 수심이 증가할수록 점차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측정된 농도 결과는 부근해역에서의 기존 연구결과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accuracy and precision of determination of total alkalinity ($Alk_T$) and carbon dioxide ($TCO_2$) derived from present study, experiment was applied with $CO_2$ CRM (Batch 132,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Alk_T=2229.24{\pm}0.39{\mu}mol/k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해수의 총알칼리도와 총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탄산염 화학종들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새롭게 개선된 분석방법을 제시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자료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 측정 시 독자적으로 구한 활동도 계수 관계식을 사용한 측정방법을 제시하였고, 이 방법의 정밀도와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실험이 진행되었다. 먼저, 이산화탄소 표준물질(Batch 132; 스크립스 해양 연구소)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의 측정값이 약간 높게 측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mgren, T., Dyrssen, D. and Strandberg, M., 1975, "Determination of pH on the moles per kg seawater scale ( $M_w$ )", Deep Sea Research and Oceanographic Abstracts, Elsevier, 635-646. 

  2. Anderson, D.H. and Robinson, R.J., 1946, "Rapid electrometric determination of alkalinity of sea water using glass electrode",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Analytical Edition, Vol. 18, No. 12, 767-769. 

  3. Bala, G., 2013, "Digesting 400 ppm for global mean $CO_2$ concentration", Current science, Vol. 104, No. 11, 1471-1472. 

  4. Davies, C.W., 1962, Ion association, Butterworths, London. 

  5. Dickson, A., 1981, "An exact definition of total alkalinity and a procedure for the estimation of alkalinity and total inorganic carbon from titration data", Deep Sea Research Part A. Oceanographic Research Papers, Vol. 28, No. 6, 609-623. 

  6. Feely, R.A., Sabine, C.L., Lee, K., Berelson, W., Kleypas, J., Fabry, V.J. and Millero, F.J., 2004, "Impact of anthropogenic $CO_2$ on the $CaCO_3$ system in the oceans", Science, Vol. 305, No. 5682, 362-366. 

  7. Feely, R.A., Sabine, C.L., Lee, K., Millero, F.J., Lamb, M.F., Greeley, D., Bullister, J.L., Key, R.M., Peng, T.-H., Kozyr, A., Ono, T. and Wong, C.S., 2002, "In situ calcium carbonate dissolution in the Pacific Ocean",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Vol. 16, No. 4, 1144. 

  8. Gran, G., 1952, "Determination of the equivalence point in potentiometric titrations. Part II. Analyst", Vol. 77, No. 920, 661-671. 

  9. Graneli, A. and Anfalt, T., 1977, "A simple automatic phototitrator for the determination of total carbonate and total alkalinity of sea water", Analytica Chimica Acta, Vol. 91, No. 2, 175-180. 

  10. Grasshoff, K., Ehrhardt, M. and Kremling, K., 1983, Methods of seawater analysis. Second, revised and extended edition, Verlag Chemie, Weinheim, Germany. 

  11. IPCC, 2005, IPCC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United Kingdom. 

  12. Kanamori, S. and Ikegami, H., 1982, "Calcium-alkalinity relationship in the North Pacific", Journal of the Oceanographical Society of Japan, Vol. 38, No. 2, 57-62. 

  13. Maita, Y., Parsons, T.R. and Lalli, C.M.,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United Kingdom. 

  14. Millero, F.J., Lee, K. and Roche, M., 1998, "Distribution of alkalinity in the surface waters of the major oceans", Marine Chemistry, Vol. 60, No.1, 111-130. 

  15. Monastersky, R., 2013, "Global carbon dioxide levels near worrisome milestone", Nature, Vol. 497, No. 7447, 13-14. 

  16. Moosbrugger, R.E., Wentzel, M.C., Ekama, G.A. and Marais, G.V.R., 1993, "Alkalinity measurement: Part 1-A 4 pH point titration method to determine the carbonate weak acid/base in an aqueous carbonate solution", WATER SA-PRETORIA-, Vol. 19, 11-21. 

  17. Orr, J.C., Fabry, V.J., Aumont, O., Bopp, L., Doney, S.C., Feely, R.A., Gnanadesikan, A., Gruber, N., Ishida, A. and Joos, F., 2005, "Anthropogenic ocean acidification over the twenty-first century and its impact on calcifying organisms", Nature, Vol. 437, No. 7059, 681-686. 

  18. Paquay, F.S., Zeebe, R.E., 2013, "Assessing possivle consequences of ocean lining on ocean pH,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 and associated costs", International journal of Greenhouse Gas Control, Vol. 17, 183-188. 

  19. Pauss, A., Roza, A., Ledrut, M., Naveau, H. and Nyns, E., 1990, "Bicarbonate determination in complex acid-base solutions by a back-titration method", Environmental technology, Vol. 11, No. 5, 469-476. 

  20. Riebesell, U., 2000, "Photosynthesis: Carbon fix for a diatom", Nature, Vol. 407, No. 6807, 959-960. 

  21. Riebesell, U., Zondervan, I., Rost, B., Tortell, P.D., Zeebe, R.E. and Morel, F.M., 2000, "Reduced calcification of marine plankton in response to increased atmospheric $CO_2$ ", Nature, Vol. 407, No. 6802, 364-367. 

  22. Stumm, W. and Morgan, J. J., 1995, Aquatic chemistry: chemical equilibria and rates in natural waters, John Wiley & Sons, USA. 

  23. Wurts, W.A., 2002, "Alkalinity and hardness in production ponds", World Aquaculture, Vol. 33, No. 1, 16-17. 

  24. Yao, W. and Byrne, R.H., 1998, "Simplified seawater alkalinity analysis: Use of linear array spectrometers", Deep Sea Research Part I: Oceanographic Research Papers, Vol. 45, No. 8, 1383-13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