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지하수에 적합한 알칼리도 분석법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Alkalinity Analysis Methods Suitable for Korean Groundwater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1 no.6, 2018년, pp.509 - 520  

김강주 (군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함세영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김락현 (한국환경공단 토양지하수처) ,  김현구 (국립환경과학원 토양지하수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알칼리도(alkalinity)는 물의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고, 각종 오염물질의 거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기본 변수이다. 그러나, 적지 않은 실험실과 연구자들이 적절하지 못한 분석법으로 지하수의 알칼리도를 분석하고 있으며, 이것이 불량한 이온균형오차를 야기하는 큰 이유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알칼리도분석법들을 조사하고 그 장단점을 분석함으로써, 지하수 알칼리도 분석을 수행하는 실험실이나 분석자들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pH적정곡선의 변곡점으로 알칼리도 적정 종점(end point)를 찾는 방법이 가장 정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Gran적정법이 종점까지 적정한 용액의 부피를 정확히 산출하는데 가장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현재에도 여전히 많이 이용하고 있는 pH지시약을 이용하여 적정하는 방법이나 미리 정해진 pH를 종점으로 하여 적정하는 방법은 묽거나 알칼리도가 낮은 지하수의 분석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kalinity is one of the basic variables, which determin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aters and participate in processes changing concentrations of various contaminant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However, not a few laboratories and researchers of Korea still use alkalinity-measuremen...

주제어

표/그림 (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확한 알칼리도 값을 얻는 것이 수질연구에 있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지하수에서의 알칼리도는 주로 광물과의 반응에 의해 증가되고, 이 경우 양이온과 1:1 당량비로 같이 증가된다(Kim, 2003). 반면, 알칼리도에 영향을 주는 다른 화학반응들은 각자 다른 방식으로 수질에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바탕으로 수질에 영향을 준 각종 화학반응의 정도를 정량화할 수도 있다(Kim et al., 2008).
알칼리도란 무엇인가? 알칼리도(alkalinity)는 물이 pH변화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이 때문에 물이 가지고 있는 산성중화능력(Acid Neutralizing Capacity)라고 할 수 있다(Stumm and Morgan, 1996). 알칼리도는 해양연구에서 처음 측정되었으나, 지금은 지표수, 지하수, 폐수 등 다양한 물에 대하여도 측정된다.
물의 pH를 결정할 때 고려하여야 하는 것은? 알칼리도는 해양연구에서 처음 측정되었으나, 지금은 지표수, 지하수, 폐수 등 다양한 물에 대하여도 측정된다. 알칼리도는 용존 CO2의분압(PCO2) 또는 용존무기탄소(DIC, dissolved inorganic carbon = [H2CO3]+[HCO3-]+[CO32-])와 함께 작용하여 물의 pH를 결정한다(Stumm and Morgan, 1996; Kim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PHA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WWA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WEF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2012a. Method 2320 Alkalinity. I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2nd(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DOI: 10.2105/SMWW.2882.023. 

  2. APHA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WWA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WEF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2012b. 2310 Acidity. I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2nd(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DOI: 10.2105/SMWW.2882.022. 

  3. Appelo, C.A.J. and Postma, D. (2005) Geochemistry, Groundwater and Pollution, 2nd(ed.), Balkema. 

  4. ASTM D1067-16 (2016) Standard test method for acidity or alkalinity. ASTM International, West Conshohocken, PA, DOI: 10.1520/D1067-16. 

  5. ASTM D1121-11 (2011) Standard test method for reserve alkalinity of engine coolants and antirusts. ASTM International, West Conshohocken, PA, DOI: 10.1520/D1121-11. 

  6. ASTM D3875-15 (2015) Standard test method for alkalinity in brackish water, seawater, and brines. ASTM International, West Conshohocken, PA, DOI: 10.1520/D3875-15. 

  7. Choi, B.Y., Kim, H.J., Kim, K., Kim, S.H., Jeong, H.J., Park, E. and Yun, S.T. (2008) Evaluation of the processes affecting vertical water chemistry in an alluvial aquifer of Mankyeong watershed, Korea,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Environ. Geol., v.54(2), p.335-345. 

  8. Choi, S.H., Kim, K. and Moon, S.H. (2016) Calculation of rainwater and groundwater fraction in sewerage: a case study in Deokjin Park, Jeonju. Econ. Environ. Geol., v.49, p.361-370. 

  9. Clark, I.D. and Fritz, P. (1997) Environmental Isotopes in Hydrogeology. Lewis Publishers, NewYork, p.328. 

  10. Drever, J.I. (1997) The geochemistry of natural waters: surface and groundwater environments. 3rd(ed.),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07632. 

  11. Dyrssen, D. and Sillen, L.G. (1967) Alkalinity and total carbonate in seawater. Tellus, v.19, p.110. 

  12. Fresenius, W., Quentin, K.E. and Schneider, W. (1988) Water analysis: a practical guide to physico-chem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water examination and quality assurance.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Germany, p.804. 

  13. Gran, G. (1952) Determination of equivalence point in potentiometric titrations. Part II. Analyst 77, 661-671. 

  14. Jo, M., Chae, G.T., Koh, D.C., Yu, Y. and Choi, B.Y. (2009) A comparison study of alkalinity and total carbon measurements in $CO_2$ -rich water. J. Soil Groundw. Environ., v.14(3), p.1-13. 

  15. Jung, Y.-Y., Koh, D.-C., Yu, Y.-J. and Ko, K.-S. (2010)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systems for springs in the southern slope of Jeju Island using hydrogeochemical parameters. J. Geol. Soc. Korea. 46, 253-273. 

  16. Kim, K,, Kim, S.H., Jeong, G.Y. and Kim, R.H. (2012) Relations of arsenic concentrations among groundwater, soil, and bedrock in a small village of Chungnam, Korea: implication for As mobiliz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As-hosting minerals and land use. J. Hazard. Mater., v.199-200, p.25-35. 

  17. Kim, K. (2003) Long term disturbance of groundwater chemistry following well installation. Ground Water, v.41, p.780-789. 

  18. Kim, K. and Jeong, G.Y. (2005) Factors influencing the occurrence of fluoride-rich groundwaters: a case study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Chemosphere, v.58, p.1399-1408. 

  19. Kim, K., Kim, H.J., Choi, B.Y., Kim, S.H., Park, K.H., Park, E., Koh, D.C. and Yun, S.T. (2008) Fe and Mn levels regulated by agricultural activities in alluvial groundwaters underneath a flooded paddy field. Appl. Geochem., v.23, p.44-57. 

  20. Kim, K., Kim, S.H., Park, S.M., Kim, J. and Choi, M. (2010) Processes controlling the variations of pH, alkalinity, and $CO_2$ partial pressure in the porewater of coal ash disposal site. J. Hazard. Mater., v.181, p.74-81. 

  21. Kim, K., Moon, J.T., Kim, S.H. and Ko, K.S. (2009) Importance of surface geologic condition in regulating As concentration of groundwater in the alluvial plain. Chemosphere, v.77, p.473-484. 

  22. Kim, K., Rajmohan, N., Kim, H.J., Hwang, G.S. and Cho, M.J. (2004) Assessment of groundwater chemistry in a coastal region (Kunsan, Korea) having complex contaminant sources: A stoichiometric approach. Environ. Geol., v.46, p.763-774. 

  23. Kim, K., Rajmohan, N., Kim, H.J., Kim, S.H., Hwang, G.S., Yun, S.T., Gu, B., Cho, M.J. and Lee, S.H. (2005) Evaluation of geochemical processes affecting groundwater chemistry based on mass balance approach: a case study in Namwon, Korea. Geochem. J., v.39(4), p.357-369. 

  24. Koh, D.-C., Plummer, L.N., Solomon, D.K., Busenberg, E., Kim, Y. and Chang, H.-W. (2006)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tracers to mixing, evolution, and nitrate contamination of ground water in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Hydrology 327, 258-275. doi.org/10.1016/j.jhydrol.2005.11.021 

  25. Kotuby-Amacher, J. and Amacher, M.C. (1995)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determining total alkalinity in natural waters. Research Paper INT-RP-480, Intermountain Research Station,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6. Parkhurst, D.L. and Appelo, C.A.J. (2013) Description of Input and Examples for PHREEQC Version 3-A Computer Program for Speciation, Batch-Reaction, One-Dimensional Transport, and Inverse Geochemical Calculations. Techniques and Methods 6-A43, USGS, p.497. 

  27. Reuss, J.O. and Johnson, D.W. (1986) Acid deposition and the acidification of soils and waters. Springer-Verlag, New York, p.119. 

  28. Rounds, S.A. (2006) Alkalinity and acid neutralizing capacity (ver. 3.0): U.S. Geological Survey Techniques of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book 9, chap. A6., sec. 6.6, July 2006, accessed from http://pubs.water.usgs.gov/twri9A6/. 

  29. Stumm, W. and Morgan, J.J. (1996) Aquatic chemistry. 3rd(ed.), John Wiley, New York, p.1022. 

  30. USEPA (1974) Method 310.2, Alkalinity (colorimetric, automated, methyl orange) by autoanalyzer.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31. USEPA (1978) Method 310.1, Alkalinity.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