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kalinity is an essential parameter for understanding geochemical processes and calculating partial pressure of $CO_2$, dissolved inorganic carbon, and mineral saturation indices. The Gran Titration Method (GTM) is one of the most accurate methods for measuring the alkalinity in water s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Gran적정법을 소개하고, 저자들이 그동안 습득한 알칼리도분석의 know-how를 공유함으로써, 국내 수질연구자들이나 지하수분석기관의 알칼리도 분석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마련하였다.

가설 설정

  • 3. 분석하려는 시료의 양을 정확하게 정량한다. 실험실에서는 가급적 저울을 이용하여 시료량을 정량한다.
  • 4. 적정용액의 산농도는 반드시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보정하여야 한다. 물론 보정은 반드시 Gran적정법으로 하여야 한다.
  • 6. pH 장비도 알칼리도 측정결과에 큰 영향을 준다. pH를 소수점 3째 자리까지(또는 mV를 소수점 첫째 자리 까지) 읽을 수 있는 pH 측정장비를 사용하기를 권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의 알칼리도 분석은 무엇이 목적인가? 지하수의 알칼리도 분석은 보통 지하수수질에 영향을 주는 지구화학적 반응을 추적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분석의 질에 크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국내의 많은 분석기관과 연구실에서는 Bromocresol green, methyl red와 같은 pH 지시약의 색이 변할 때까지 산을 첨가하는 방법(APHA et al.
알칼리도는 무엇인가? 알칼리도는 물의 산성을 중화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척도이다(Stumm and Morgan, 1996). 알칼리도는 화학반응에 따라 변화되지만 보전성이 크기 때문에 물에 영향을 준 화학반응을 정량화하는데 흔히 사용된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PHA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WWA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WEF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2012, Method 2320 Alkalinity. I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2nd(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DOI: 10.2105/SMWW.2882.023. 

  2. Appelo, C.A.J. and Postma, D., 2005, Geochemistry, Groundwater and Pollution, 2nd(ed.), Balkema. 

  3. Drever, J.I., 1997, The geochemistry of natural waters: surface and groundwater environments, 3rd(ed.),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4. Dyrssen, D. and Silln, L.G., 1967, Alkalinity and total carbonate in seawater, Tellus, 19(1), 113-121. 

  5. Jo, M., Chae, G.T., Koh, D.C., Yu, Y., and Choi, B.Y., 2009, A Comparison Study of Alkalinity and Total Carbon Measurements in $CO_2$ -rich Water, J. Soil Groundwater Environ., 14(3), 1-13. 

  6. Kim, K., Hamm, S.Y., Kim, R.H., and Kim, H., 2018, A review on alkalinity analysis methods suitable for Korean groundwater, Econ. Environ. Geol. (submitted) 

  7. Kim, K., Kim, H.J., Choi, B.Y., Kim, S.H., Park, K.H., Park, E., Koh, D.C., and Yun, S,T., 2008, Fe and Mn levels regulated by agricultural activities in alluvial groundwaters underneath a flooded paddy field, Appl. Geochem., 23, 44-57. 

  8. Kim, K., Kim, S.H., Park, S.M., Kim, J., and Choi, M., 2010, Processes controlling the variations of pH, alkalinity, and $CO_2$ partial pressure in the porewater of coal ash disposal site, J. Hazard. Mater., 181, 74-81. 

  9. Kim, K., Rajmohan, N., Kim, H.J., Kim, S.H., Hwang, G.S., Yun, S.T., Gu, B., Cho. M.J., and Lee, S.H., 2005, Evaluation of geochemical processes affecting groundwater chemistry based on mass balance approach: a case study in Namwon, Korea, Geochem. J., 39(4), 357-369. 

  10. Rounds, S.A., 2006, Alkalinity and acid neutralizing capacity (ver. 3.0): U.S. Geological Survey Techniques of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book 9, chap. A6., sec. 6.6, July 2006, accessed from http://pubs.water.usgs.gov/twri9A6/. 

  11. Stumm, W. and Morgan, J.J., 1996, Aquatic Chemistry. 3rd(ed.), New York: John Wiley, 1022p. 

  12. US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78, Method 310.1, Alkalinity. 

  13. Wikipeda, 2019a, HYPERLINK, https://en.wikipedia.org/wiki/Sodium_carbonate [accessed 19.02.13] 

  14. Wikipeda, 2019b, HYPERLINK, https://en.wikipedia.org/wiki/Sodium_bicarbonate [accessed 19.02.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