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이용한 측두하악장애 증상과 심리특성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ymptom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 using Symptom Check List-90-Revision(SCL-90-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 2015년, pp.371 - 379  

이태용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정숙 (대전보건대학교 치기공과) ,  이혜은 (경동대학교 치기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CL-90-R을 이용해 측두하악장애 증상과 심리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대전과 강원지역의 20-31세 대학생 294명(남자 140명, 여자 54명)을 대상으로 2014년 03월 0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하악 사용과 관련된 구강 내 악습관 중 이갈이와 편측 저작이 측두하악 장애증상의 심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p<0.01)를 보였으며, 간이 정신진단검사(SCL-90-R) 결과 공포불안(PHOB)를 제외한 항목에서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심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연구대상자들의 심리특성이 측두하악장애 증상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개인적 특성변수를 통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심리특성 요인중 신체화(SPM) 척도만이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심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 using Symptom Check List-90-Revision (SCL-90-R).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implemented from March 1, 2014 to June 30, 2014 targeting 294 University Students in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원인요소와 발생률을 알기 위해서는 전향적인 연구나 후향적 연구와 같은 종적 역학 연구가 필요하며 [16], 비환자군에 대한 연구도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의 빈도가 잦은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측두하악장애 증상과 이와 관련될 수 있는 심리, 정서적 양태를 살펴 측두하악장애의 원인을 설명하고 예방과 치료 계획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불황으로 어떤 문제들이 대두되는가? 7%를 기록 했다[1][2]. 장기불황으로 인한 취업난과 청년 실업의 증가는 대학생들이 사회로 진출하는 소요 시간을 길어지게 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길어진 청소년 시기의 적응이 중 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3], 학업과 진로 및 취업문 제, 인간관계, 경제문제, 가족문제, 가치관 설정문제 등으로 인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측두하악장애는 언제 처음 보고되었는가? 측두하악장애(TMDs, Temporomandibular Dis -orders) 는 저작근, 측두하악관절 및 그와 관련된 구조물의 많은 임상문제를 포함하는 포괄적 용어로 두개하악장애 (CMDs, Cranio mandibualr Disorders)와 동의어로 사용 된다. 처음 1934년 이비인후과 의사 Costen에 의해 보고 되어 저작계의 기능 장애와 연관짓기 시작하면서, 1950 년대에 들어 과학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1950년대 후반에는 이런 장애의 원인을 교합 부조화에 의한 저작 근통 장애라 간주하였으나, 1970년대에 들어서는 교합과 정서적 스트레스가 주된 원인 요소로 간주되기 시작하였다.
글로벌 경기침체 현황은? 글로벌 경기침체는 청년실업이라는 사회적 문제로 이어져, 2013년도 19-29세 사이의 청년 고용율은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82년 이후 최저치인 39.7%를 기록 했다[1][2]. 장기불황으로 인한 취업난과 청년 실업의 증가는 대학생들이 사회로 진출하는 소요 시간을 길어지게 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길어진 청소년 시기의 적응이 중 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3], 학업과 진로 및 취업문 제, 인간관계, 경제문제, 가족문제, 가치관 설정문제 등으로 인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tatistics,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2013. Re-quoted. 

  2. H.O. Jeon.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Adult Attachment and Self-assertiveness, on Depress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JKCA 14(07). 312-324. 2014. 

  3. S.O. Kim.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Focused on Depression and Anxiety. Dept. family studies and consumer sciences Graduate school of Inje univ. 2009. 

  4. S.K. Kim. SK, Life stress in Freshman and Adjustment to colleg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10(2). 215-237. 2003. 

  5. Lupton.D.E. Psycological arpects of T.M.J. dysfunction. JADA(79). 131-136. 1969. 

  6. Nilsson IM, Drangsholt M, List T. Impac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in in adolescents: differences by age and gender. J Orofac Pain. 23(2) 115-22. 2009. 

  7. Engstroom AL, Waanman A, Johansson A, Keshishian P, Forsberg M. Juvenile arthritis and development of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15-year prospective cohort study. J Orofac Pain. 21(2). 120-6. 2007. 

  8. S.C.Jung., Y.G.Kim.(Co-Author), Orofacial Pain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evisions. shinhung international. 2006. 

  9. E.G. Seo.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its risk factors among office workers, service workers and teachers. Dept. of Epidemiology and Health Informations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0. 

  10. Okeson JP, Philips BA, Baldwin RM. Nocturnal bruxing event: a report of normative data and cardiobascular response. J Oral Rehabil(21), 623-630. 1994. 

  11. Thomas LJ, Tiber N, Schireson S. The effects of anxiety and frustration on muscular tension related to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yndrome. Oral Surg(36), 763-768. 1973. 

  12. J.H. Cha, J.S. Park. M.Y. Ko, Y.W. Ahn. A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Recurred TMD patients by SCL-90-R.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141-146. 2006. 

  13. H.Y.Park. Comparison of tension type headache associated with pericranial tenderness and headache attributed to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using RDC/TMD.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2010. 

  14. K.H.Moon. Evaluation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ith Tension-Type Headache by Age.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2009. 

  15. J.H.Park.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Pain Reductio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0. 

  16. D.E.Sohn. An Epidemiological Study of Temporomandi -bular Disorders Patients by Screening Questionnaire. Graduate school. Busan National University. 2004. 

  17. Neill MC. The American Academy of Oral-facial Pain edited by Charles:Temporomandibular Disorders, Guideleines for Class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2nd ed., Chicago. Quintessence piblishing co., 62. 1993. 

  18. H.S. Park. An epidemiologic Study of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Korean College Students. Dept of Dental Laboratory of Shingu College. 2007. 

  19. Nilner M.. Prevalence of functional disturbance and diseases of the stomatognathic system in 15-18 year olds. Swed Dent(5) 189-197. 1981. 

  20. S.B. Kim, K.J. Lee, Clinical and Psychosomatic analysis of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ofacial Surgeons. Vol18(4) 60-72. 1992. 

  21. B.S.Kim., J.Y.Hoe., S.M.Ok., Cyber Leisure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In Adolesca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38(2), 187-201, 2013. 

  22. H.S.Kim., S.C.Park., M.H.Jung., A S셔요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occlusion and the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35(3), .231-242, 2013. DOI: http://dx.doi.org/10.14347/kadt.2013.35.3.231 

  23. J.P. Hatch, J.D. Rugh, S Sakai et al. Is use of exogenous estrogen associated with temporomandibular signs and symptoms. JADA(32) 319-326. 2001. 

  24. B.S. Krogstad, A Jokstad, B.L. Dahl, O Vassend. The reporting of pain, somatic complaint, and anxiety in a group of patients with TMD before and 2 years after treatment : sex differences. Journal of Orofacial Pain(10) 263-269.1996. 

  25. E.J.Park., Y.J.Yoon.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in some 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computer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13(4), .651-657, 2013. 

  26. Okeson JP. Fundamentals occlusion and TMJ disor -ders. 2nd ed., Mosby Co., 9, 167, 209, 310. 1985. 

  27. Agerberg G, Bergenholtz A. Craniomandibular disorders in adult populations of West Bothnia Sweden. Acta Odont Scand(47) 129-140. 1989. 

  28. G.Y. Kim. The Prevalence of TMJ Osteoarthritis in Korean TMD Patients. Graduate school of seoul university. 2014 

  29. S.M.Ok. A clinical stud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mong Adolescents. Graduate school of Busan university. 2014. 

  30. Madland G, Feinmann C, Newman S. Factors associa -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in facial arthromyalgia. Pain(84) 225-232. 2000. 

  31. U.G.G. The relationship between etiologic factors and stress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by heart rate variability test.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43(6). 416-427, 2005. 

  32. M.Y. Go, Y.G. Kim. A Study on personality Traits of the Patients with TMJ Dysfunction Through the MMPI).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ol10(1).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