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른 신체활동량, 수면의 질, 주의력 조절 및 자기조절학습
Physical activity level, sleep quality, attention 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along to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 2015년, pp.429 - 437  

최동원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에 따른 신체활동량, 수면, 주의력 조절 및 자기조절학습과의 차이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6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강할수록 성적과 자가통제력은 낮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었다.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신체활동량, 수면의 질 및 주의력 조절능력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신체활동량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수면의 질이 낮은 경향이 있었고, 주의력 조절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의 과다사용으로 일상적 건강과 학습능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차원에서의 스마트폰 중독예방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hysical activity level, sleep quality, attention 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along to smartphone addict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269 college students by structured questionnai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건강과 학업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중독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건강 및 학습과 관련된 변수인 신체활동량과 수면의 질, 자기조절학습, 주의력 조절의 차이 및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에 따라 일상적 건강(신체활동량과 수면의 질) 및 학습 능력(주의력 조절과 자기조절학습)과 어떠한 차이와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고,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이 일상적 건강과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신체활 동량, 수면, 주의력 조절 및 자기조절학습 정도를 파악하였고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른 대상자들의 학습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의력조절과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변수를 통해 검토하였다. 학업성취에 필요한 핵심 능력으로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자기조절학습은 주변환경을 조절하고 자신이 전 과정에서 주체가 되는 학습을 말한다[20].
  • 주의력조절과 관련하여 동일한 대상자와 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없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중학생을 대상으로 휴대폰 의존도에 따른 주의집중과의 관계를 분석한 허균[33]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의 중독 정도가 높으면 눈의 피로나 수면의 질 저하 등으로 생각이 집중되지 않는 등의 집중력 저하를 유발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이에 반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선행 연구들의 대상자가 대체로 학습에만 몰입할 것을 강요받는 초등학생에서 고등학생이었음에 비해 좀 더 자유로운 상황에서 자율적으로 생활해야하는 대학생들은 오히려 스마트폰의 사용이 주의력 조절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었다고 생각된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에 따른 일상적 건강 및 학업관리능력과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들이 효율적이고 건전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도록 하고 스스로 스마트폰을 관리하고 조절할 수 있는 중독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해 일상적인 건강 및 학습관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생은 고등학교까지의 통제적, 타율적, 수동적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익숙하지 않은 자율적 사고와 책임 있는 행동을 요구받는 시기이다[14]. 그러나 스마트폰의 사용에 있어서 학교 수업 중 사용을 제한하는 중·고등학교시기에 비해 대부분 강의 중 사용이 허용됨으로 인해 집중력 감소가 우려되며, 이와 관련해 김은경[15]은 청소년과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의 가장 부정적 측면의 하나로 학생들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들고 있다. 또한 이 시기의 높은 사용률에 의해 앞서 언급한 정신적, 신체적 건강문제가 유발될 수 있어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자가 조절이 필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해 일상적인 건강및 학습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검증이 요구된다.
스마트 폰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스마트폰의 등장은 모바일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열어 하루를 스마트폰으로 시작하여 스마트폰으로 마감하는 소비층이 늘면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여러 이슈를 생산해 내고 있다[3]. 이처럼 스마트 폰은 순기능을 지니고 있는 반면, 게임이나 오락, 음란물, 도박, 각종 악플 등의 무분별한 사용 혹은 과다사용으로 인해 중독이 나타날 수 있다[4].
스마트폰 중독은 무엇을 유발하는가? 스마트폰 중독은 기존의 인터넷 중독의 특성에 편리성과 접근성의 증대, 사용자 중심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더해져 콘텐츠별 중독의 가능성이 높다[5]. 선행연구에 따르면 스마트폰 중독은 손목터널증후군과 거북목 증후군, 상지통증, 임산부의 척추전만증이나 디스크를 유발시킬 수 있고, 작은 화면으로 인한 눈의 피로 등 신체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6,7]. 특히 휴대폰 작동 시 노출 되는 전자기장은 수면장애,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 N. Kim,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Youth's Sociality Development", The Korea Contents Society, 13(4), 208-217, 2013.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4.208 

  2.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Monthly Survey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Statistics 2014-5", 2014. 

  3. Y, Kong, "Implicature and Thought-provoking message", Information & Communications Policy, 22(4): 1-22, 2010. 

  4. O. H. Im,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Relations with Mental Health among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ju, 2013. 

  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2011. 

  6. B. Y. Kim, "The Correlations Among High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the Lack of Sleep and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myuk University, Seoul, 2012. 

  7. K. H. Hwang, Y. S. Yoo, O .H. Cho,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0): 356-375, 2012.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2.12.10.365 

  8. N. Schreier, A. Huss, M. Roooosli, "The Prevalence of Symptoms Attributed to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a Cross-sectional Representative Survey in Switzerland," Sozialund Praentivmedizin, 51(4): 202-209, 2006. DOI: http://dx.doi.org/10.1007/s00038-006-5061-2 

  9. H. K. Lee,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Affecting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2(1): 133-157, 2008. 

  10. Jong, H. L. "Smartphone 'Addiction' May Affect Adolescent Development" :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s(APA's) 2013 Annual Meeting. [Retrived on 9, January, 2014], Available from www.mescape.com/MedscapeMedicalNews. 

  11. J. Y. Yoon, J. S. Moon, M. J. Kim, Y. J. Kim, B. R. Huh, J. E. Kim, S. Jeoung, J. Jeoung, H. Jeoung, E. Lee, J. Choi, S. Hong, J. Bae, H, Park, H. Hong, "Smartphone Addiction and Health problem in University Student", The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3(2): 92-104, 2011. 

  12. C. M. Keum, "Research into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Mental Health Proble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t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13. 

  13. Korean Internet & Security Agency, "The 2013 Survey on the Mobile Internet Usage", 2013. 

  14. J. H. Kwon, K. H. Kim,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 Focusing the Mediated Effect of Self-reregulated Learning", Forum for Youth Culture, 35: 31-57, 2013. 

  15. E. K. Kim, "Self Control of Mobile Phon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mong High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007. 

  16. IPAQ Research Committee. Guidelines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 Short and Long Forms. Revised Nov. 2005. From http://www.ipaq.ki.se/scoring.pdf (accessed May, 10, 2014) 

  17. D. J. Buysse, C. F. Reynolds, T. H. Monk, S. R. Berman, D. J. Kupfer,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 193-213. 1989. DOI: http://dx.doi.org/10.1016/0165-1781(89)90047-4 

  18. D. Derryberry, M. A. Reed, Anxiety-related Attentional Biases and Their Regulation by Attentional Control.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1, 225-236, 2002. DOI: http://dx.doi.org/10.1037/0021-843X.111.2.225 

  19. S. A. Yoon, H. T. Kim, J. S. Choi,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Attentional Control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1): 185-199, 2007. 

  20. M. K. Chung,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Test fo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 18(3): 155-181, 2005. 

  21. G. H. Han, "A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llectual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013. 

  22.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The 2013 Survey of Internet Addicction", 2013. 

  23. K. H. Chae, "The Moderating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2013. 

  24. V. X. Barney, "UNL Study on Students' Digital Behavior. The Sunday Daily Mail(UK)",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Available From http://www.mailonsunday.co.kr, 2013. 

  25. A. Lepp, J. Barkley, A. Karpinski, "Frequent CellPhone Use Linked to Anxiety, Lower Grade sand Reduced Happiness in Students", The Journal of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1, 343-350, 2014. DOI: http://dx.doi.org/10.1016/j.chb.2013.10.049 

  26. https://www.healthlife.co.kr:59903/month02_section01_view.html?no35290&PHPSESSID11cdf82b948d43871016c5ce1a6fd9b0. 

  27. H. W. Kang, " A Study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of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Loneliness, Perceived Health Statu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Application of Therapeutic Recreat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2(1): 121-133, 2013. 

  28. M. H. Kim, "The Effects of Morningness-Eveningness, Depression, and Smartphone Use on Sleep Quality of College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14. 

  29. M. A. Grandner, R. A. Lang Gallagher, N. S. Gooneratne, "The Use of Technology at Night: Impact on Sleep and Health.",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9: 1291-1299. 2013. 

  30. 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3/08/16/0706000000AKR20130816174600017.HTML 

  31. Korean Internet & Security Agency, "The 2012 Survey of Information and Culture", 2013. 

  32. G. Heo,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ell Phone Dependency, Self-Control Ability, and Attention with Higher-Order Latent Growth Model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9(4): 861-879. 2013. 

  33. E. M. Sung, S. H. Jin, "The Effects of Cell Phone Use According to the Adolescence Gender Differenc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8(4): 389-415,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