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시멘트 산업근로자의 요통 관련 요인 및 요통 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ed Factor and Knowledge of Back Pain in Workers Employed at Cement facto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 2015년, pp.536 - 543  

김기열 (대원대학교 물리치료과) ,  오정림 (대원대학교 물리치료과) ,  황경옥 (안동과학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멘트 사업장 근로자들의 요통 관련 요인과 지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11월 1일부터 2014년 1월 31까지 충북 C 지역에 소재한 시멘트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8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한 결과 다음과 같다. 근로자의 요통 경험율은 56.1%였으며, 관련 인자는 대도시와 읍면지역에서 성장한 응답자와 업무 스트레스가 많고, 업무환경에 만족하지 않을수록 요통에 대한 정보가 없을수록 요통발생이 높았고, 요통을 경험한 응답자는 흡연을 하다 담배를 끊고, 음주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향후 요통관련 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로자의 요통관련 지식수준은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100점 환산 점수로 56.29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특히 자세와 관련된 요통지식이 50점으로 가장 낮았다. 요통경험과 교육에 따른 지식수준은 향후 요통 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는 자에서 운동 관련 요통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요통 지식정보를 얻지 못한 응답자는 모든 지식수준이 낮은 점수를 보였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요통관련 산업 현장의 적극적인 관심과 더불어 요통관련 보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요통관련 지식수준을 높임으로 효율적인 치유와 예방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scribes on the level of back pain knowledge from a survey that conducted from November 1, 2013 to January 31, 2014 for 82 cement factory workers at C region in Chung-Buk.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56.1% of workers experienced back pain. Also the number of back pain of workers inc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업계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요통 관련 지식수준을 평가 하고, 이에 관련 있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서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통이 근로자 개인이나 사회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요통의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 되면 직업에 복귀할 가능성이 50%정도로 감소되고, 1년 이상 일 때 직업 복귀 가능성은 20% 이하로 감소한다[16]. 또한 요통을 가진 근로자의 조기 직업 복귀는 근로자 개인이나 사회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 되고 있으며, 요통을 예방 하거나 재발을 막기 위한 교육도 중요한 문제로 강조 되고 있다[17,18].
요통이란 무엇인가? 요통은 요부의 근육과 골격계의 통증을 일으키는 요부염좌와 신경근 압박이 동행되는 요추간판탈출증(디스크)로 우리나라의 근로자의 요통환자 중 92.7%가 이에 해당된다[1].
작업장에서 발생 하는 요통의 원인은 무엇인가? 작업장에서 발생 하는 요통의 원인으로는 부자연스러운 자세, 오랫동안 서있는 자세, 과도한 힘 동작, 반복동작, 신체 반응, 압착진동, 산업 진동, 정적인 자세와 숙인 자세, 비틀린 자세, 반복 작업, 무거운 물체의 이동 등이며, 특히 들기(lifting)의 작업은 요통 발생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9,10]. 또한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신체 부담 작업을 수행 하여 허리의 재해가 발생 하고, 이로 인해 근로 손실 일수가 높아진다고 하였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 S. Kim, O. J. Kwon, K. S. Kim, K. H. Koo.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low back pain and working conditions among korean employe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 Environmental Hygiene,22(2), pp.107-118, 2012. 

  2.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Industrial Disater present situation statics, http://www.kosha.or.kr/board.do?menuId554.( assessed Oct., 30, 2014) 

  3. D. H. Lee, S. G. Park, J. H. Leem, H. C. Kim, D. H. Kim, J. H. Kim, S. J. Lee, G. W. Kim. Current status of sickness absenced and early leaves form work among workers with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each body part, and relevant facto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2(4), pp. 364-370, 2010. 

  4. P. K. Park, H. K. Lee. Strategies on prevention of acute low back pain risk factor: An Analysis of occupational low back pain dataset in 2006-2008,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5, pp. 183-185, 2009. 

  5. J. H. Choi, J. G. Kim. The Study on suitability of MSD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field,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 Engineering, 2012(3), 39-41, 2012. 

  6. S. K. Kang. The problem and strategy of return to work of work-realted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n J. Occup. Health., 41(4) pp. 176-181, 2002. 

  7. T. Y. Heo, M. W. Seo.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s in Hospital Workers,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5, pp.311-318, 2014. 

  8. L. D. Surkitt, J. J. Ford, A. J. Hahne, T. Pizzari, J. M. McMeeken. Efficacy of directional preference Management for Low Back Pain: Systematic Review, Physical Therapy, 92(5), pp. 652-665, 2012. DOI: http://dx.doi.org/10.2522/ptj.20100251 

  9. W. Kim, K .H. Park, D. S. Kim, M. H. Cho, J. H Kim, S. K. Kang. The Characteristics of work-related acute low back pain and its preventive measures : focusing on the cases of southern part of kyeonggi province,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1(2), pp. 132-137, 2007. 

  10. W. S. Marras, M. Parnianpour, S. A. Ferguson, J. Y. Kim, R. R. Crowell. The classification of anatomic and symptom based low back disorders using motion measure models, Spine, 20(23), pp.2531-2546, 1995. DOI: http://dx.doi.org/10.1097/00007632-199512000-00013 

  11. H. H. Kim, K. H. Park, W. Kim, H. W. Lee, J. H. Back, S. H. Cho, S. K. Kang.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2007,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0, pp. 1-7, 2008. 

  12. H. S. Myoung, H. K. Lee, W. H. Lee, O. Y. Kwon, H. S. Choi, K. J. Lee. Evaluation of the posture between asymptomatic group and low back pain patient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33(1), pp. 2114-2116, 2010. 

  13. J. V. Zunder & M. V. Kleef. Low Back Pain: Form Algorithm to Cost- Effectiveness?, Pain Practice, 5(3), pp. 197-189, 2005. 

  14. R. D. Kerms, R. Rosenberg, M. C. Jacob. Anger expression and chronic pain. Journal of Behavior Medicine, 17(1), pp. 57-67, 1994. DOI: http://dx.doi.org/10.1007/BF01856882 

  15. M. J. Owen & C. B. Nemeroff. Role of serotonin in the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focus on the serotonin transporter, Clin Chem, 40, pp. 288-295, 1994. 

  16. J. K. Hur, J. C. Song, Y. M. Roh, D. S. Park, Y. A. Yang, Y. S. Kim. Effect on Active Exercise Program in Employees with Chronic Low Back Pain, Korean J Occup Environ Med, 17(1), pp. 44-57, 2005. 

  17. G. Waddle & A. K. Burton. Occupational health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low back pain at work: Evidence review. Occupational Medicine, 51, pp. 124-135, 2001. DOI: http://dx.doi.org/10.1093/occmed/51.2.124 

  18. S. Y. Park & H. W. Kim. The effect of a work-hardening program for workers returning to work with low back pa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4), pp. 65-76, 2008. 

  19. S. J. Park. The causes of cosmetologist low back pain and its prev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man University, 2004. 

  20. R. Grant. Physical therapy of cervical and thoracic spine, 3re ed. pp.379-380, Churchill Living stone, New York, 2002. 

  21. J. I. Won. Pain related Fear and depression as predictors of disability in the patients with nonacute low back pain, Physical Therapy Korea, 16(3), pp. 60-68, 2009. 

  22. G. J. Macfarlance, E. Thomas, A. C. Papageroriou, P. R. Croft , M. I. Jayson, A. J. Silman. Employment and physical work activities as predictors of future low back pain, Spine, 22(10), pp. 1143-1149, 1997. DOI: http://dx.doi.org/10.1097/00007632-199705150-00015 

  23. G. Y, Kim. The Factor Affecting back pain, related knowledge in Workers for Cement Factory, Daewon Paper Collection 9, pp.165-180, 2004. 

  24. K. S. Shin, Y. K. Chung, H. E. Lee. Prevalence and risk factor of work-related low back pain among operators and drivers of transportation vehicle, Korean J Occup Environ Med, 24(1), pp.11-19, 2012. 

  25. H. J. Chae, S. K. Lee, K. J. Lee, J. D. Moon. Characteristics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 in shipyard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4(4), pp.468-477, 2002. 

  26. Y. M. Jung. The study to investigate occupational cause of low back pain from type of work and level of participation for exercise from male productive workers in Kyungn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2. 

  27. C. J. Lee, Y. U. Cheon, Y. H. Choi, A. Choo. Cause and Preventive Measure for Low Back Pain Industrial Accidents Suffered by Automobile Assessmbly Workers.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4, pp. 119-123, 2002. 

  28. G. Y. Kim & C. H. Nam. A study on back of elementary,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teacher,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of back pain and physical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12(1), pp. 87-99, 2000. 

  29. J. I. Oh, D. H. Yoo, D. M. Peak, J. S. Park, S. I. Cho.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Workload and Work-related Back Pain: A Nationwide Stud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3(3), pp.298-30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