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30대 미혼여성의 결혼견해 영향요인: 2012 사회조사 기반
Factors Affecting Opinions on Marriage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in Korea: Based on 2012 Social Surve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 2015년, pp.606 - 616  

이성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권현수 (경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30대 미혼여성의 결혼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2년 사회조사 자료 중 30대 미혼여성 529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는 SPSS Ver. 20.0을 이용하여 ${\chi}^2$ test와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연령(Exp(b)=.90,p=.025), 이혼에 대한 견해(Exp(b)=3.81,p<.001), 재혼에 대한 견해(Exp(b)=3.09,p=.001) 그리고 결혼관(Exp(b)=.80,p<.001)이 결혼견해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30에서 34세 미혼여성과 35에서 39세 미혼여성간의 결혼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는 경제 활동 여부(Exp(b)=19.58,p=.003)였다 연구결과는 가족과 결혼가치관 교육과 경제활동을 하는 35세에서 39세 미혼여성의 결혼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한 저출산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opinions on marriage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in Korea. Analysis of data on 529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which were taken from the 2012 social survey, was analyz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 test, hi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만혼과 비혼 현상을 30대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한 결혼견해와 영향요인 파악을 통하여 이해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그리고 결과에 따라 미혼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저출산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만혼과 비혼 현상을 30대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한 결혼견해와 영향요인 파악을 통하여 이해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그리고 결과에 따라 미혼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저출산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2년 사회조사 자료를 2차 분석하여 한국 30대 미혼 여성의 결혼 견해와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30대 미혼여성의 결혼견해와 영향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지금까지 가족 가치관과 결혼견해와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미혼 남녀[8,13]와 대학생[14,18] 대상으로 제한적이었고, 30대 미혼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0대 미혼 여성의 결혼 견해와 영향 요인을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족가치관의 관점에서 조사하여, 향 후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를 반영한 저출산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 가치관이란? 가족 가치관은 개인이나 집단이 가족에 대해 가지는 바람직한 것, 적절한 것, 좋은 것 등에 대한 지속적인 신념으로[13], 가족관과 결혼관을 포함하는데, 가족관은 전통적 성역할에 대한 태도와 다양한 가족형태 수용에 대한 견해를 다루면서 전자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고 후자에 대한 견해가 긍정적일수록 이상적인 결혼연령이 늦어지고 희망하는 자녀수가 적어진다고 하였다[13,14]. 최근에 결혼관은 결혼이라는 제도적 절차 없는 혼전 동거 등을 결혼의 형태로 보는가에 대한 변화된 견해를 반영하는 추세이다.
최근 결혼관의 변화된 추세는? 가족 가치관은 개인이나 집단이 가족에 대해 가지는 바람직한 것, 적절한 것, 좋은 것 등에 대한 지속적인 신념으로[13], 가족관과 결혼관을 포함하는데, 가족관은 전통적 성역할에 대한 태도와 다양한 가족형태 수용에 대한 견해를 다루면서 전자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고 후자에 대한 견해가 긍정적일수록 이상적인 결혼연령이 늦어지고 희망하는 자녀수가 적어진다고 하였다[13,14]. 최근에 결혼관은 결혼이라는 제도적 절차 없는 혼전 동거 등을 결혼의 형태로 보는가에 대한 변화된 견해를 반영하는 추세이다. 그 결과 보수적인 결혼관에 비해 개방적인 결혼관을 가질 경우 결혼의 당위성에 대한 인식이 낮다는 주장이 있었다[15].
우리나라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서 저출산 문제 원인으로 본 것은? 출산, 양육의 사회적 책임 강화, 일, 가정 양립가능 시스템 구축, 가족친화, 양성평등 사회문화조성 등이 출산과 양육에 유리한 환경조성 정책의 주요 과제로 설정되어 구체적인 사업들이 진행되어 왔다[1]. 그러나 이 정책은 경제활동을 하는기혼여성들이 증가하면서 일과 가정을 양립하기 어려워 자녀출산을 연기하거나 포기하는 것이 저출산 문제를 초래한다는 진단 하에 수립된 것으로 기혼여성의 보육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에 집중한 경향이 있었다[2]. 즉, 최근 저출산의 배경원인으로 부상하는 가임 인구의 가치관 변화에 따른 만혼과 비혼의 증가를 반영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nd Basic Plan for Low Fert ility and Population Ageing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cited 2014 Nov 24].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sch/index.jsp.(acc essed Nov., 24, 2014) 

  2. E. Y. Kang, M. J. Chin, S. W. Ok,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women's voluntary ever-singleness: Focusing on marriage and family valu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2):135-144, 2010. 

  3. H. Y. Kim, B. Y. Sun, S. D. Kim, 'Women's late marriage and low fertility". 123-147,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0. 

  4. Statistics Korea. 2013 report on marriage and divorces statistics[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cited 2014 April 25]. Available From:http://kostat.go.kr/portal/korea/kor_ko/5/2/index.boa rd?bmoderead&aSeq313371. (accessed Nov., 24, 2014) 

  5. S. Y. Lee, "An analysis of differential non-marriage and divorce proportions by educational level in Korea:1995-2010".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6(4):1-24, 2013. 

  6. R. A. Pollak, S. C. Watkins, "Cultural and economic approaches to fertility: Proper marriage or mesalliance?",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9(3):467-496, 1993. DOI: http://dx.doi.org/10.2307/2938463 

  7. S. S. Lee, "A study on impact of the change in values on marriage and fertility behavio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6(2):95-140, 2006. 

  8. M. J. Chin, H. E. Chung, "The effects of family values on intentions of marriage and expected age at first marriag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3 (3):31-51, 2010. 

  9. K. S. Chung, H. Y. Kim, "Family change in Korea through the examination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1991 and 2008",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6(1):175-202, 2013. 

  10. E. S. Cho, "The effect of the perceived family strength on marital and family value among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007. 

  11. S. J. Lee, "Determinants of marriage selection-Focused on the gender differences-",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5(1):131-156, 2005. 

  12. C. A. Kapinus, "The effect of parents' attitudes toward divorce on offspring's attitudes: Gender and parental divorce as mediating factors, Journal of family issues, 25(1):112-135, 2004. DOI: http://dx.doi.org/10.1177/0192513X02250860 

  13. J. Y. Yu, "The study o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family values", Social Studies Education, 51(3):15-33, 2012. 

  14. K. S. Baek, H. S. Kim,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 gender-role attitudes and family functioning on perceptions of marriag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3): 205-223, 2013. DOI: http://dx.doi.org/10.13049/jofw.2013.18.3.205 

  15. Y. K. Chung, J. H. Choi, "The effect of parents' marital quality on married women's marital adjustment and perspective toward marriage", The Korean Journal of Women Psychology, 15(3): 331-353, 2010. 

  16. J. S. Joo, Y. K. Moon, Y. T. Kim, C. S. Song, G. P. Park, C. K. Son, G. J. Le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The 2013 Annual Report", 65-67,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3. 

  17. H. S. Jang, "The relationship of developmental tasks and happiness in early adulthood",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2(1):19-36, 2009. 

  18. Y. H. Ju, E. S. Jung, M. S. Shim, "Th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value on marriage, children and sexual attitude", The Journal of Policy & Management, 11(9):267-278, 2013. DOI: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9.267 

  19. Statistics Korea. The social survey in 2012[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cited 2014 April 25]. Available From: http://mdss.kostat.go.kr/mdssext/DataProcessing/extracti on/OfferRange.jsp?menu3. (accessed Nov., 24, 2014) 

  20. G. Y. Yoo, "A survey of people's acceptance of family diversity and related variables", Family and Culture, 17(2): 211-233, 2005. 

  21. H. H. Kim, T. H. Kim, "The family value changes and educational enforcement in the low fertility period",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1(1):21-35, 2008. 

  22. J. B. Kim, "The study of moderating effects upon gender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marriage", Journal of Social Science, 39(1):1-24, 2013. 

  23. S. S. Lee, H. G. Choi, Y. H. Oh, M. H. Seo, S. K. Park, S. R. Doh, "2009 National survey on dynamics of marriage and fertility", 60-78,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Affairs.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9. 

  24. M. J. Park, "Changes in the meanings of marriage in Korea", Family and Culture, 16(1):109-135, 2004. 

  25. C. S. Lee, "Sociodemographic factors in non-marriages in Korea", Journal of Social Science, 38(3):49-71, 2012. DOI: http://dx.doi.org/10.15820/khjss.2012.38.3.003 

  26. Y. L. Kim, "A study on the marriage value and it's associated variables for the single males and females based on the family ecological the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8. 

  27. J. Y. Park, Y. R. Kim,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perception on marriage attitudes of single males and femal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48(4):13-24, 2010. DOI: http://dx.doi.org/10.6115/khea.2010.48.4.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