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동물용 의료기기 등록 및 판매 실태 조사
Performance Evaluation of Registration and Sales of Veterinary Medical Device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32 no.1, 2015년, pp.85 - 90  

안효진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  김충현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  윤향진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  위성환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  문진산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umber of categories of veterinary medical devices registered by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QIA) by 2013. We also analyzed the sales of the veterinary medical devices reported from Korea Animal Health Product Association (KAHPA) from 2011 to 2013. The re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국내외에서 동물용 의료기기 품목 사용 및 판매현황 등에 대한 정보가 보고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동물용 의료기기 시장에 대한 현황 및 향후 전망 등에 대한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동물용 의료기기 등록 및 판매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수의진료현장에서의 시장 현황을 분석하여 동물용 의료기기 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물에 사용하는 의료기기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소관인 근거는 법의 어느 조항에 있는가? 동물에 사용하는 의료기기는 의료기기법 제46조 동물용 의료기기에 대한 특례 조항에 의거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의 소관으로 관리되고 있으며(13), 동물용 의료기기의 범위와 동물용 의료기기 허가 등에 관한 세부적인 규정은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이 정하여 고시하고 있다(12). 그리하여 동물용 의료기기는 체외진단용시약을 제외하고 인체용 의료기기와 유사하게 진료대와 수술대, 조명기, 소독기, 보육기, 혈액검사기기, 유전자분석기구, 검안기기, 의료용 칼, 겸자, 톱, 주사침, 인공수정기구, 동물용의약품주입기 등 동물의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지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기뿐만 아니라 반려동물 및 산업동물의 개체 표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인식기와 문신기 등 1,400여개 품목으로 분류되어 있다(2).
의료기기 법에 정의된 의료기기란? 의료기기란 사람이나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기계·장치·재료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으로서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지 또는 예방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상해 또는 장애를 진단·치료·경감·처지 또는 보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구조 또는 기능을 검사·대체 또는 변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임신을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의료기기법에 정의하고 있다(13). 이러한 의료기기는 진료대와 수술대, 의료용침대, 의료용조명기, 의료용소독기, 의료용무균수 장치, 마취기 등의 기구·기계(medical instruments), 방사선용품, 봉합사 및 결찰사, 정형용품, 인체 조직 또는 기능 대치품, 외과용품 등의 의료용품(medical supplies), 치과가공용합금, 치과주조용합금, 메탈세라믹합금, 의치재료, 치과접착용시멘트 등의 치과재료(dental materials), 체외진단용시약(reagents for in vitro diagnostics) 등 4개의 대분류와 2,000여개의 품목으로 분류되고 있다(14).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의 동물용 의료기기 등록 수를 조사한 결과 10개 이상의 품목이 등록된 의료기기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그리하여 201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141개 업체에서 495개 품목이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품 중 10개 이상 품목이 등록된 다빈도 동물용 의료기기는 초음파영상진단장치와 프로브, 진단용엑스선 촬영장치, 혈액분석장치, 의료영상저장전송장치, 골절합용판, 동물체외표시기, 분사식주사기, 인공수정용주입기, 전자인식기, 컴퓨터단층촬영장치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011년과 2012년 동물용 의료기기의 총 판매액은 168억원이었으나 2013년에는 전년도 대비 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n HJ, Kim CH, Kwon YJ, Kim DH, Wee SH, Moon JS. Radiation safety management for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s and employees in animal hospitals in Korea. Korean J Vet Res 2014; 54: 151-157. 

  2.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KR). The Provisions Relating to Designation and Range of Animal Quasi-drugs and Veterinary Medical Device. Notice 2013-38 (Mar. 23, 2013). 

  3. Baik CK, Shin CH, Kim BY. Critical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Client Satisfaction Management of Companion Animal Hospital. J Vet Clin 2012; 29: 49-57. 

  4. Chang JH, Park MJ, Chang DW. Survey on Utilization of Ultrasonographic Machine in Small Animal Clinics in South Korea J Vet Clin 2011; 28: 408-141. 

  5. Eidenberger R. Medical device registration, agreements on mutual recognition - a step forward to global harmonization? Radiat Phys Chem 2000; 57: 539-543. 

  6. Fine EJ, Herbst L, Jelicks LA, Koba W, Theele D. Small- Animal Research Imaging Devices. Semin Nucl Med 2014; 44: 57-65. 

  7. Green MV, Seidel J, Vaquero JJ, Jagoda E, Lee I, Eckelman WC. High resolution PET, SPECT and projection imaging in small animals. Comput Med Imaging Graph 2001; 25: 79-86. 

  8. Koba W, Kim K, Lipton ML, Jelicks L, Das B, Herbst L, Fine E. Imaging Devices for Use in Small Animals. Semin Nucl Med 2011; 41: 151-165. 

  9.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Current state of animal hospitals in Korea. J Korean Vet Med Assoc 2014; 50: 21-22. 

  1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R). Animal Protection Act Enforcement Rule No. 104, Act Enforcement Ordinance (Aug. 29, 2014). 

  1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R). Animal Protection Act No. 12051, Act Enforcement Ordinance (Aug. 13, 2013). 

  1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R). Handling Rules of animal medicines etc. Enforcement Ordinance 105 (Aug. 29, 2014). 

  13. Ministry of Food and Drugs Safety (KR). Medical Appliances Act No. 11998, Act Enforcement Ordinance (Aug. 7, 2014). 

  14. Ministry of Food and Drugs Safety (KR). The Provisions Relating to Classification and Designation of Medical Device. Notice 2014-110 (Apr. 23, 2014). 

  15. Moon JS. Trends and prospects of pet and veterinary medical market. J Korean Vet Med Assoc 2013; 49: 723-72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