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동물용의료기기 시장 동향 및 향후 전망
Trends and Prospect of the Market for Veterinary Medical Device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36 no.1, 2019년, pp.1 - 6  

강경묵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  서태영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  강환구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  문진산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ed the trends and prospect of the market for veterinary medical devices in Korea. The registration of veterinary medical devices has sharply increased since 2013, and a total of 2,133 products from 348 companies were registered by 2018. Of these products, the proportion of the in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동물용의료기기의 등록 및 판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동물용의료기기 시장을 분석하였다. 동물용의료기기 품목 등록은 2008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4년 동물용의료기기 등급제 시행으로 한국동물약품협회 품목이 농림축산검역본부로 일원화 되고, 2015년 8월 체외진단시약이 의약품에서 의료기기로 관리 전환된 이후에 증가하였다.
  • 최근 이러한 시장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적으로 동물용의료기기 제품 등록 및 판매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동물용의료기기 제품 등록현황 및 판매실적 자료에 기초하여 산업 동향 및 향후 시장전망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물용의료기기 시장의 특징은? 동물용의료기기는 다 품목 소량생산으로 산업적 측면에서 인체용의료기기에 비해 협소하고 영세한 시장규모를 형성함으로써 산업 발전에 어려움이 많다(2,19). 하지만, 최근 첨단 인체용의료기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료기기들이 개,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과 말, 소, 돼지, 가금류의 산업동물을 포함하여 실험동물 및 야생동물에 질병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동물용의료기기의 사용이 많아지는 이유는? 하지만, 최근 첨단 인체용의료기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료기기들이 개,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과 말, 소, 돼지, 가금류의 산업동물을 포함하여 실험동물 및 야생동물에 질병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반려동물 수의 증가와 주인의 의료분야에 대한 품질 요구수준이 높아지고 있어 동물병원의 전문화가 진행되고 있다(1,2,15). 또한, 산업동물에 있어서도 각종 질병 진단 및 치료를 통한 농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사람에게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의료용 장비들이 수의의료 분야에 도입되어 동물용 의료기기 시장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최근에 동물용의료기기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2,10- 12,16).
동물용의료기기 중 품목별 판매목록은? 판매에 있어서는 2013년 300억 전후에서 2015년에는 701억원, 2016년에는 824억원, 2017년에는 958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동물용의료기기 중 품목별 판매에 있어서는 면역화학검사시약, 내장기능검사기기, 혈액 검사기기, 주사기, 분자유전자진단시약, X-ray 등의 제품이 높은 매출을 나타내었다. 최근 반려동물 분야에서의 노령화에 따른 동물병원에서 질병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의료장비 사용과 함께, 소, 돼지, 닭 등의 산업동물 분야에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면역화학검사시약을 활용한 각종 감염성 질병 진단시약의 사용 및 동물 전용 의료장비의 사용 증가로 의하여 국내에서 향후에도 동물용의료기기 시장은 더욱 확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 HJ, Kim CH, Kwon YJ, Kim DH, Wee SH, Moon JS. Radiation safety management for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s and employees in animal hospital in Korea. Korean. J Vet Res. 2014; 54: 151-157. 

  2. An HJ, Kim CH, Yoon HJ, Wee SH, Moon JS. Performance evaluation of registration and sales of veterinary medical devices in Korea. J Vet Clin 2015; 32: 85-90. 

  3. An HJ, Yoon HJ, Kim CH, Wee SH, Moon JS. Performance assessment and improvement plan of the regulatory management system of veterinary medical in Korea. Korean J Vet Res 2015; 55: 97-103. 

  4.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KR). Regulation on approval of veterinary medical devices. Notice 2015-20 (Aug. 21, 2015). 

  5.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KR). Regulations on the scope and designation of veterinary medical devices. Notice 2015-23 (Aug. 21, 2015). 

  6.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KR). Survey report on the public consciousness of animal protection in 2017 (Dec. 28, 2017). 

  7.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Service Web site. The status of company approval and products regulation of veterinary medical devices in 2017. Available at : www.qia.go.kr/animal/prevent/listwebQiaCom.co?type2_22lylyy&clear1. Accessed Feb 2, 2018. 

  8.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Web site. The status of animal diagnostic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n 2018. Available at : www.qia.go.kr/viewwebQiaCom.do?id44616&type2_17dwaqgl. Accessed May 9, 2018. 

  9. Baik CK, Shin CH, Kim BY. Critical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client satisfaction management of companion animal hospital. J Vet Clin 2012; 29: 49-57. 

  10. Chang JH, Park MJ, Chang DW. Survey on utilization of ultrasonographic machine in small animal clinics in south Korea. J Vet Clin 2011; 28: 408-411. 

  11. Fine EJ, Herbst L, Jelicks LA, Koba W, Theele D. Smallanimal research imaging devices. Semin Nucl Med 2014; 44: 57-65. 

  12. Green MV, Seidel J, Vaquero JJ, Jagoda E, Lee I, Eckelman WC. High resolution PET, SPECT and projection imaging in small animals. Comput Med Imaging Graph 2001; 25: 79-86. 

  13. Kang KM, Kang MH, Suh TY, Kang HG, Moon JS. Trends of market and approval management system for in vitro diagnostic veterinary medical reagents in Korea. J Vet Clin 2018; 35: 119-125. 

  14. Kang KM, Kim TW, Kwon OR, Park HJ, Cho SM, Kim CH, Lee MH, Moon JS. Review of regulatory management i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veterinary medical devices in Korea. Korean J Vet Res 2017; 57: 71-78. 

  15. Kang KM, Park HM, Lee CM, Kang MH, Suh TY, Kang HG, Moon JS. Review of regulatory management system on side effects for veterinary medical devices in Korea. J Vet Clin 2018; 35: 1-6. 

  16. Koba W, Kim K, Lipton ML, Jelicks L, Das B, Herbst L, Fine E. Imaging devices for use in small animals. Smin Nucl Med 2011; 41: 151-165. 

  17. Korea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KVMA). Current state of animal hospitals in Korea. J Korean Vet Med Assoc 2014; 50: 21-22. 

  18. Korea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KVMA). Import and sales amount of animal health products, 2017. 

  19. Moon JS. Trends and prospects of pet and veterinary medical market. J Korean Vet Med Assoc 2013; 49: 723-726. 

  20. National Tax Services Web site. The status of business man in 2017. Available at : http://stats.nts.go.kr/month/month_view.asp?page1&idx2140#. Accessed Feb 2018. 

  21. The Korean Forum for Cooperation of Veterinary Medical Devices Web site. The status of market and further prospect of veterinary medical devices of companion animal. Available at : www.kvmd.or.kr/bbs/board.php?bo_tableData&wr_id2. Accessed Nov 30,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