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풍부도와 세분화된 관리지역 비교 연구 - 보령시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Species Richness 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 Focused on city in Boryeong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4 no.1, 2015년, pp.35 - 50  

신만석 (국립생태원) ,  장래익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서창완 (국립생태원) ,  이명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도시지역의 생물종 서식지 보전을 위해 반영할 수 있는 생물종 관련 지표의 개발과 관리지역 세분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물종 서식분포를 예측한 후에 예측된 서식분포를 활용하여 종풍부도를 만들고 그 결과를 토지적성평가와 비교를 하였다. 종분포도는 59종을 대상으로 Maxent 모형을 사용하였고 15개의 모형변수(5개 지형변수, 4개 식생변수, 6개 거리변수)를 활용하였다. 예측된 생물종 서식분포를 출현/비출현으로 구분한 후 합산하여 종풍부도를 예측 하였다. 토지적성평가는 평가체계 I에 따라 보전, 농업, 개발적성을 물리적, 지역, 공간적 입지 특성별로 평가하였다. 종풍부도 등급과 토지적성평가 등급과의 비교결과는 1등급은 10.92%, 2등급은 37.10%, 3등급은 34.56%, 4등급은 20.89% 그리고 5등급은 1.73%의 면적 일치도가 나타났다. 보전관리지역으로 분류되는 1등급과 계획관리지역으로 분류되는 5등급의 일치도가 가장 낮았다. 이처럼 계획관리지역으로 분류되어도, 종풍부도를 고려해 보면 많은 계획관리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종풍부도 값을 보여주었다. 관리지역은 생물종 서식지의 핵심지역은 아니지만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 주변 서식처, 이동통로 등을 제공하면서 생물다양성 보호에 기여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관리계획에서 잠재적 생물종 서식분포를 고려하는 노력이 보다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pply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in urban management planning for habitat conservation in non-urban area and to provide a detailed classification method for management zone. To achieve these objectives, Species Distribution Model was used to generate species ri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과 보전의 중간적 성격을 갖고 상충되고 있는 관리지역에 대하여 토지적성 평가의 평가지표로 생물다양성 고려의 가능성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현재는 생물종 및 서식지에 대한 전국토적 세밀한 조사가 불가능한 시점이다.
  • 관리지역은 핵심지역은 아니지만 생물종 서식지 보전에 있어서 중요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관리지역과 종풍부도 등급 비교를 통해 종분포모형을 활용한 토지적성평가지표의 활용적 측면에 의의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토지적성평가와 비교를 하기 위하여 종풍부도를 종분포모형을 통해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관리지역과 종풍부도 등급 비교를 통해 종분포모형을 활용한 토지적성평가지표의 활용적 측면에 의의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토지적성평가와 비교를 하기 위하여 종풍부도를 종분포모형을 통해 도출하였다. 그러나 종분포모형 구축에 있어서 일시적인 조사를 근거하여 구축하였다는 측면에서 한계를 지닌다.
  • 본 연구는 토지적성평가와 종풍부도를 등급화하여 이를 비교해 보았다. 종풍부도와 관리지역 등급의 일치도 는 1등급 10.
  • 본 연구에서는 종분포모형을 실시하여 지점조사 형태로 이루어진 야생동·식물 자료를 공간적 형태인 종풍부도를 생성함으로써 환경 및 생태적 가치를 평가해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토지적성평가와의 비교를 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지적성평가란 무엇인가? 토지적성평가는 전국토의 “환경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보장하고 개발과 보전이 조화되는 “선계획·후개발의 국토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2003년 구 「도시계획법」 및 구 「국토이용관리법」이 폐지되면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도입된 관리지역을 세분화하기 위하여 도입된 평가체계이다(국토연구원, 2003). 평가결과는 도시 관리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조사로 활용되고 비도시지역에서의 난개발 방지 등 국토이용체계 구축에 기여해 왔다(국토해양부, 2009).
토지적성평가는 보전성향이 강한 지역,지역특성 및 공간적 입지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평가지표가 획일적인 문제점과각 지역의 자연 환경, 인문 환경 사회 환경과 같은 지역특성 및 공간적 입지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박영수, 2010). 이러한 한계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토지적성평가에서 활용되고 있는 각 주제도들이 야생동·식물 서식지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자연생태환경은 조사자, 조사시기, 사업대상지에 따라 보호가치가 높은 생물종 및 서식지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종분포모형이란 무엇인가? , 2009; 권혁수, 2011). 종분포모형이란 종의 서식 특성을 파악하여 공간적 잠재서식지역을 예측하는 것으로, Maxent(Maximum Entropy Modeling), GLM(Generalized Linear Model), GAM(Generalized Addictive Model),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등이 활용되고 있다(서창완 등, 2008; 권혁수 등, 2012; 김지연 등, 2012; 송원경과 김은영,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국토연구원. 2003. 토지적성평가 매뉴얼(Land Suitability Assessment Manua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3. Land Suitability Assessment Manual.) 

  2. 국토해양부. 2009. 토지적성평가 제도의 실효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A Study on the Schem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3. 권혁수. 2011. 보호지역계획을 위한 생물다양성 통합평가모형 -지리산과 덕유산, 가야산 권역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Kwon HS. 2011.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Biodiversity for Conservation Planning: Focused on Mt. Jiri, Mt. Deokyu and Mt. Gaya region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 권혁수, 서창완, 박종화. 2012. 지리산 지역의 생물종 분포모형 구축 및 종풍부도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0(3), 11-18. (Kwon HS, Seo CW, Park CH. 2012. Development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valuation of Species Richness in Jirisan region,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0(3), 11-18.) 

  5. 김인현, 오규식, 양희범. 2009. 토지적성평가 지표의 개선방안 연구 -평가체계II를 중심으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17(2), 201-212. (Kim IH, Oh KS, Yang HB. 2009. Improving the Grading indices for Land Suitability Assessment,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7(2), 201-212.) 

  6. 김지연, 서창완, 권혁수, 류지은, 김명진. 2012.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종분포모형 연구, 환경영향평가, 21(4), 593-607.(Kim J, Seo C, Kwon H, Ryu J, Kim M. 2012. A Study o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4), 593-607.) 

  7. 박영수. 2010. 토지적성평가시 지역특성을 고려한 대체지표 적용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ark YS. 2010. A Study on Alternative Index Application with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given Land Suitability Assessment, Ph.D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8. 보령시. 2011. 보령시 생태(비오톱)지도. (Boryeong. 2011. Boryeong biotope map.) 

  9. 송원경, 김은영. 2012. 고라니 서식지 분석을 위한 기계학습식 종분포모형 비교,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8(1), 171-180. (Song W, Kim E. 2012. A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Species Distribution Methods for Habitat Analysis of the Kore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1), 171-180.) 

  10. 서창완, 박종화. 2000. GIS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멧돼지 서식지 모형 개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8(1), 85-99. (Seo CW, Park CH. 2000. Wild Boar (Sus Scrofa coreanus Heoude) Habitata Modeling Using GIS and Logistic Regression.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8(1), 85-99.) 

  11. 서창완, 최태영, 최윤수, 김동영. 2008. 설악산 산양을 대상으로 한 야생동물 서식지 적합성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1(3), 28-38. (Seo CW, Choi TY, Choi YS, Kim DY. 2008. A Study on Wildlife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for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in Seoraksan National Park,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1(3), 28-38.) 

  12. 이동근, 전성우, 이상문. 2004. 토지환경성평가의 이론 및 기준.지도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7(1), 116-127. (Lee DK, Jeon SW, Lee SM. 2004. Theoretical Review of Environment-Oriented Land Suitability Analysis and Setting of EOLSA Criteria and Classific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7(1), 116-127.) 

  13. 이동근, 김호걸. 2010. Maxent 모형을 이용한 서식지 잠재력 평가 -하천으로부터의 거리, 하천의 차수,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6), 161-172. (Lee DK, Kim HG. 2010. Habitat Potential Evaluation Using Maxent Model - Focused on Riparian Distance, Stream Order and Land Use,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3(6), 161-172.) 

  14. 이명진, 전성우, 이종수, 강병진, 송원경. 2007. 대축척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작성방안 연구, 환경정책연구, 6(3), 115-145. (Lee M, Jeon S, Lee C, Kang B, Song W. 2007. A Study on Basic Plan for Upscal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ECVAM) of National Land in South Korea, Environmental Policy Research, 6(3), 115-145.) 

  15. 이종용, 이용범. 2004. 효율적인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격자 평가단위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9(7), 97-110. (Lee JY, Lee YB. 2004. Applying the Grid Unit for the Land Suitability Assesment in Korea, Korea Planners Association, 39(7), 97-110.) 

  16. 정연우, 박신원, 최대식. 2012. 토지적성평가 평가 지표 및 평가방법 개선방안 연구 - 평가체계 II를 중심으로-, 47(2), 65-83. (Jeong YW, Park SW, Choi DS.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ssessment Criteria and Method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 focused on Type II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Korea Planners Association, 47(2), 65-83.) 

  17. 채미옥, 오용준. 2003. 토지적성평가의 지표추출 및 지표별 가중치 분석방법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8(5), 725-740.(Chae MO, Oh YJ. 2003. A Study on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Methods for Effective Land Management,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8(5), 725-740.) 

  1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환경성 평가에 있어서 서식지 조사 및 보전방안.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0. A Framework for Incorporating Wildlife Habitat Survey and Conservation Measures in Environmental Assessment.) 

  19. Beazley K, Smandych L, Snaith T, Machkinnon F, Austen-smith P, Duinker P. 2005. Biodiversity Considerations in Conservation System Planning: Map-based Approach for Noca Scotia, Canada, Ecological Applications, 15(6), 2192-2208. 

  20. Elith J, Catherine R, Dudik M, Ferrier SGA, Huettmann F, John LA, Li J, Lucia B, Manion G, Moritz C, Nakamura M, Nakazawa Y, Jacob A, Steven RK, Scachetti-pereira R, Soberon J, Williams S M and N. 2006. Novel methods improve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 from occurrence data. Ecography 29(2), 129-151. 

  21. Elith J, Phillips SJ, Hastie T, Dudik M, Chee YE, Yates CJ. 2011. A Statistical Explanation of MaxEnt for Ecologist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7(1), 43-57. 

  22. Ferrier S. 2002. Mapping Spatial Pattern in Biodiversity for Regional Conservation Planning: Where to fron Here?, Systematic Biology, 51(2), 331-363. 

  23. Franklin J. 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Garcia A. 2006. Using Ecological Niche Modelling to Identify Diversity Hotspots for the Herpetofauna of Pacific Lowlands and Adjacent Interior Valleys of Mexico, Biological Conservation, I(30), 25-46. 

  25. Miller JR, Turner MG, Smithwick EAH, Dent CL, Stanley EH. 2004. Spatial Extrapolation: The Science of Predicting Ecological Patterns and Processes, BioScience, 54(4), 310-320. 

  26. Newbold T, Gilbert F, Zalat S, El-Gabbas A, Reader T. 2009. Climate-based models of spatial patterns of speccies richness in Egypt's butterfly and mammal fauna, Journal of Biogeography, 36, 2085-2095. 

  27. Peters DPC, Herrick JE, Urban DL, Gardner RH, Breshears DD. 2004. Strategies for ecological extrapolation, Oikos, 106(3), 627-636. 

  28. Phillips SJ, Anderson RP, Schapire 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231-259. 

  29. Pineda E, Lobo JM. 2009. Assessing the Accuracy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to Predict Amphibian Species Richness Patterns, Journal of Animal Ecology, 78(1), 182-190. 

  30. Pineda E, Lobo JM. 2012. The Performance of Range Maps an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Representing the Geographic Variation of Species Richness at Different Resolutions,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21, 935-944. 

  31. Pressey RL, Humphries CJ, Margules CR, Vane-Wright RI, Willians PH. 1993. Beyond Opportunism: Key Principles for Systematic Reserve Selection, Trends in Ecology&Evolution, 8(4), 124-128. 

  32. Thorn JS, Nijman V, Smith D, Nekaris KAI. 2009. Ecological niche modelling as a technique for assessing threats and setting conservation priorities for Asian slow lorises (Primates:Nycticebu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5(2), 289-2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