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환경 보전지역 설정기준에 관한 기초연구
Basic Study on Criteria for Setting Natural Conservation Are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3 no.6, 2010년, pp.1 - 12  

성현찬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황소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녹지조경학과) ,  채미옥 (국토연구원) ,  박은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녹지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evelopment status of surroundings of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and securing an adequate distance from development activities to conserv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efficiently or developing an improvement plan for setting conservation ar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부고속철도 구간은 지상으로 선정될 경우 무제치늪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심각하게 됨으로서, 지하화(원효터널)로 선정되었고, 이 구간을 터널로 통과함으로서 상부 습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들 산지습지로서의 중층습지들은 또한, 터널로 인한 지하 굴착의 영향으로 수직절리와 같은 지질학적 상황에 의해 습지의 물이 빠져나가는 문제 등으로 습지가 훼손될 수 있어, 이 또한 환경부와의 입지검토에서 장기간 상당한 문제가 되었던 사안이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 따라, 자연환경 보전지역 주변의 개발현황을 분석하고, 이들 자연환경 보전지역을 효율적으로 보전하기 위하여 개발로부터의 적정 이격거리를 확보하거나 보전지역 지정 시의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자연환경 보전지역 주변의 개발현황을 분석하고, 이들 자연환경 보전지역을 효율적으로 보전하기 위하여 개발로부터의 적정 이격거리를 확보하거나 보전지역 지정 시의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 여기에서는 분량 상 ‘무제치늪’ 1개소의 분석내용을 다시 요약하여 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 인간과 생물권 계획(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MAB)은 동・식물, 대기, 해안의 자연과 인간을 포함한 전체 생물권에 인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다. 생물 다양성의 보전과 이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지정한 전 세계적으로 뛰어난 생태계를 말하며, 생물권보전지역의 개념은 1971년 설립된 MAB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한 방안으로 고안되었다(환경부, 2002b).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권보전지역을 3가지 용도구역으로 나누면 어떻게 구분되는가? 생물권보전지역은 3가지 용도구역으로 나누고 있으며, 핵심지역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외곽의 완충지대, 그리고 각종 시설 및 행위가 이루어지는 전이지역으로 구분되는데 UNESCO MAB에서의 생물권보전지역에서도 ‘핵심지역’을 각종 개발행위로부터 보전하기 위한 ‘완충지대’가 설정되어 있으며, 역시, 핵심지역과 완충지대, 전이 지역의 거리나 범위는 제시되지 않고 개념적으로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제치늪의 주요 특징은? - 이탄층이 발달된 산지 고층습원 - 희귀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산지 습지
국내의 UNESCO 생물권보전지역은 어느 곳에 지정되어 있는가? 국내의 UNESCO 생물권보전지역은 남한에 설악산(1982년), 제주도(2002년), 신한다도해(2009년)등 3개소, 북한에 백두산(1989년), 구월산(2004년), 북한의 묘향산(2009년)등 3개소로 총 6개소의 생물권보전지역이 지정되어 있으며, 제주도를 예를 들면 표 3과 같이 각각 핵심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으로 구체적인 경계를 구분하여 보전지역이 지정되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공경자. 2005. 연안습지 보전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한국해양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국토연구원. 2000. 자연친화적 국토이용을 위한 자연환경보호구역 관리체계 개선 연구. 

  3. 국토해양부. 2004. 토지적성평가에 관한 지침. 

  4. 박수진. 2007. 연안습지의 체계적 보전을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고찰. 한국해양수산연구회통권 277호 21-36. 

  5. 박용수?김대회?조동길?김귀곤. 2006. 개발예정지역에서의 서식지 가치평가를 통한 보전 지역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3):26-38. 

  6. 박태윤?이동근. 1997. 연안습지의 보전 및 효율적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7. 변병설. 2001.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의 자연환경 보전전략. 국토지리학회지 35(2):101-114. 

  8. 상명대학교. 1997. 연안습지의 현황조사와 보전가치에 대한 경제성 평가. 

  9. 성현찬. 2007. 경기도의 개발사업 유형별 환경친화적 개발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0. 윤익준. 2007. 습지의 보전 및 관리 법제에 관한연구. 한양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관규?성현찬?최재용. 2007. 자치단체지역의 자연환경관리를 위한 보전지역 설정. 한국 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5):1-9. 

  12. 이명우. 1997.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생태환경 분석 및 적지분석:자연생태계 보전지역 설정 및 평가 모형을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학회지 6(2):61-80. 

  13. 이상돈. 2000. 습지보전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제도. 한국습지학회지 2(1):1-9. 

  14. 이상돈. 2003. 우리나라 습지 보전 현황과 향후 관리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5(1):1-13. 

  15. 이우성?박경훈?정성관?유주한?김경태. 2009. 산지습지의 보전가치 평가를 통한 관리권역 설정 - 경상남도 재약산의 산들늪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52-68. 

  16. 이찬원?윤성윤. 1999. 습지보전에 관한 고찰. 한국습지학회지 1:71-76. 

  17. 장동호?김만규. 2009. 안면도 해안지형의 생태보존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2):49-67. 

  18. 한강유역관리청. 2007. 한강 하구 습지보전계획수립 연구. 

  19. 함동선. 2007. 늪지 및 계곡수와 터널공사의 상관성분석. 충남대산업대학원. 

  20. 환경부. 2000. 사전환경성 검토 업무 편람. 

  21. 환경부. 2001. 토지의 환경성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22. 환경부. 2002a. 보전관리지역 등의 지정기준 및 협의방안에 관한 연구. 

  23. 환경부. 2002b.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 자연환경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24. 환경부. 2004. 도시지역의 자연환경성 확보방안 연구. 

  25. 환경부. 2007. 도시계획의 환경성 검토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26. 독도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문화재보호법,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한강수계, 산지관리법, 상수원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습지보전법, 야생 동식물보호법, 자연공원법, 자연환경보전법. 

  27. Canada. 1999. Clayoquot Sound Biosphere Nomination. 

  28. Environmental Law Institute. 1997. Enforceable State Mechanisms for the Control of NPS Water Pollution. 

  29. US. EPA. 1993. Guidelines for Delineation of Wellhead Protections. 

  30. Maryland State. 1986. Chesapeake Bay Critical Area Law. 

  31. http://mab.unesco.or.kr/bs_kpeninsula.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