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역량에 대한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Triage Competency in Emergency Nursing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0 no.3, 2017년, pp.41 - 52  

문선희 (광주대학교 보건복지교육대학 간호학과)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concept analysis identified attributes and defined triage competency among emergency nurses. Method : Walker and Avant's approach was used to guide the concept analysis. A literature review was completed including 26 studies, 5 reports of related associations, and 5 books. Results :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념분석을 위한 방법 중 Walker와 Avant(2011)의 방법은 개념의 기능과 구조를 검증하여 실제세계에서 개념을 발견하고 측정할 수 있는가를 중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alker와 Avant(2011)의 방법에 따라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역량에 관한 개념분석을 하여 그 의미와 속성을 파악하고 추후 도구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역량에 대한 개념 분석을 통해 그 속성을 파악하였다. 추후 본 연구에서 확인된 5가지 속성을 토대로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응급실에서 간호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발전시키기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역량은 환자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이고 중요한 개념이나 현실에서는 그 의미와 속성이 명확히 파악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역량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여 추상적인 개념을 명확히 함으로 추후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도구의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까지 연계되는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분석을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역량에 관한 의미와 속성을 파악하고, 중증도 분류 역량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제시하여 추후 도구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증도 분류를 하지 않는다면 어떠한 사태가 벌어지는가? 종합병원 응급실에서 환자관리의 시작인 중증도 분류는 내원하는 모든 환자들을 신속하게 사정하여, 적절한 중증도 등급을 할당하고 치료받을 수 있는 장소를 정하는 과정이다(Emergency Nurses Association[ENA], 2007). 응급실에 내원하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자신의 건강상태가 위급하다고 여기지만 환자들이 한꺼번에 몰리는 상황에서 시간을 지체할 수 없는 중환자가 내원하면 나중에 온 중환자는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으로 중증도 분류는 중증도 분류자가 환자의 위급함과 질환의 종류에 따라 우선순위를 매기는 것으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모든 환자를 위한 안전망과 같다 할 수 있다(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KTAS] Committee, 2015).
중증도 분류란? 최근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의 전파 과정에서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의 미흡한 환자관리가 전염성질환 확산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Choi, 2015). 종합병원 응급실에서 환자관리의 시작인 중증도 분류는 내원하는 모든 환자들을 신속하게 사정하여, 적절한 중증도 등급을 할당하고 치료받을 수 있는 장소를 정하는 과정이다(Emergency Nurses Association[ENA], 2007). 응급실에 내원하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자신의 건강상태가 위급하다고 여기지만 환자들이 한꺼번에 몰리는 상황에서 시간을 지체할 수 없는 중환자가 내원하면 나중에 온 중환자는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다.
중증도 분류자가 충분한 역량을 갖추었는지를 평가하기 전에 선행 되어야 하는 것은? Frykberg(2005)의 연구에 의하면 중증도 분류자가 경한 상태의 환자를 중환자로 분류한 경우 중환자들의 치료시기가 지연돼 사망률이 상승할 수 있다. 중증도 분류자가 충분한 역량을 갖추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은 중요한 절차이고,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역량이 무엇이고 어떤 속성으로 이루어졌는지 개념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중증도 분류 역량에 대한 개념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를 측정하는 도구의 개발도 진행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ndersson, A. K., Omberg, M., & Svedlund, M. (2006). Triage in the emergency department-a qualitative study of the factors which nurses consider when making decisions. Nursing in Critical Care, 11(3), 136-145. 

  2. Benner, P. (1984). From novice to expert. Menlo Park, California: Addison-Wesley. 

  3. Castner, J. (2011). Emergency department triage: What data are nurses collecting?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7(4), 417-422. 

  4. Chen, S. S., Chen, J. C., Ng, C. J., Chen, P. L., Lee, P. H., & Chang, W. Y. (2010).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curacy of triage nurses' judgement in emergency departments. Emergency Medicine Journal, 27(6), 451-455. 

  5. Choi, E. H. (2015).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in Korea, 2015.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22(3), 131-135. 

  6. Cone, K. (2000).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strument to measure decision making i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aint Louis University, Missouri. 

  7. Dictionary.com. (2003). Retrieved June 7 2016 from http://www.dictionary.com/ 

  8. Edwards, T. A. (2014). Art of triage [electronic resource]. New York: New York : Nova Science Publishers. 

  9.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2007). Emergency nursing core curriculum. (6th ed.). Des Plaines, IL: Elsevier Health Sciences. 

  10.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2011). Triage qualifications. Retrieved April 10, 2016, from https://www.ena.org/SiteCollectionDocuments/Position%20Statements/TriageQualifications.pdf. 

  11. Epstein, R. M., & Hundert, E. M. (2002). Defin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 competence.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7(2), 226-235. 

  12. Frykberg, E. R. (2005). Triage: Principles and practice. Scandinavian Journal of Surgery, 94(4), 272-278. 

  13. Goransson, K. E., Ehrenberg, A., & Ehnfors, M. (2005). Triage in emergency departments: National surv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4(9), 1067-1074. 

  14. Harding, A. D., Walker-Cillo, G. E., Duke, A., Campos, G. J., & Stapleton, S. J. (2013). A framework for creating and evaluating competencies for emergency nurs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9(3), 252-264. 

  15. Hitchcock, M., Gillespie, B., Crilly, J., & Chaboyer, W. (2014). Triage: An investigation of the process and potential vulnerabiliti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0(7), 1532-1541. 

  16. Holdgate, A., Morris, J., Fry, M., & Zecevic, M. (2007). Accuracy of triage nurses in predicting patient disposition. Emergency Medicine Australasia, 19(4), 341-345. 

  17. Jenkins, L. S., & Waltz, C. F. (Eds.). (2001). Measurement of nursing outcomes: Measuring nursing performance in practice, education, and research (Vol. 1).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8. Kelly, A. M., & Richardson, D. (2001). Training for the role of triage in Australasia. Emergency Medicine Australasia, 13(2), 230-232. 

  19.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Committee. (2015).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educational manual. Retrieved April 10, 2015, from the PRISM 3.0 Web site:http://www.prism.go.kr/homepage/researchCommon/downloadResearchAttachFile.do;jsessionid59EA8C107842F557A2B27A8BC96DE03D.node02?work_key001&file_typeCPR&seq_no002&pdf_conv_ynN&research_id1351000-201400241 

  20.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ing (ICN) (2003). An implementation models for the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generalist nurse. Standards and competencies series (2nd ed.). Geneva: ICN. 

  21. Lauri, S., & Salantera, S. (2002). Developing an instrument to measure and describe clinical decision making in different nursing field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8(2), 93-100. 

  22. Lenburg, C. B. (1999). The framework, concepts and methods of the competency outcomes and performance assessment (COPA) model.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4(2), 1-12. 

  23.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 

  24. Moon, S.H. (2017). Establishing emergency room limits for non-emergency patients? Medical times. Retrieved June 20, 2017, from http://www.medicaltimes.com/News/1110141 

  25. Moon, S.H., & Park, Y.H. (2016). Thinking strategies of triage nurses' decision ma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ink aloud study.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9(1), 15-26. 

  26. National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2014). Role of the triage nurse. Retrieved April 10, 2016, from http://nena.ca/role-of-the-triage-nurse/ 

  27.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1992).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Retrieved June 7 2016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 

  28. Noone, J. (2002). Concept analysis of decision making. Nursing Form, 37(3), 21-32. 

  29. Park, J., Choi, H., Kang, B., Kim, C., Kang, H., & Lim, T. (2014). A nationwide survey of korea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systems and scales; A first step towards reform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5(5), 499-508. 

  30. Reay, G., Rankin, J. A., & Then, K. L. (2016). Momentary fitting in a fluid environment: A grounded theory of triage nurse decision making.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26, 8-13. 

  31. Santa Guzzo, A., Marzolini, L., Diaczenko, A. M., Ruggieri, M. P., & Bertazzoni, G. (2012). Improving quality through clinical risk management: A triage sentinel event analysis. Internal and Emergency Medicine, 7(3), 275-280. 

  32. Schwartz-Barcott, D., & Kim, H. S. (2000).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B. L. Rodgers & K. A. Knafl (Ed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p. 129-159). Philadelphia: W.B. Saunders Co. 

  33. Shekelle, P. G., Wachter, R. M., Pronovost, P. J., Schoelles, K., McDonald, K. M., Dy, S. M., ... & Larkin, J. W. (2013). Making health care safer II: an updated critical analysis of the evidence for patient safety practices. Evidence report/technology assessment, (211), 1-945. 

  34. Sprung, C. L., Danis, M., Iapichino, G., Artigas, A., Kesecioglu, J., Moreno, R., . . . Cohen, S. L. (2013). Triage of intensive care patients: Identifying agreement and controversy. Intensive Care Medicine, 39(11), 1916-1924. 

  35. University of Newcastle. (2009). Clinical reasoning. Instructor resources. Retrieved April 10, 2016, from http://ro.uow.edu.au/hbspapers/3175/Callaghan 

  36. Walker, L. & Avant, K. (2011).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5th ed.). Boston: Boston : Prentice Ha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