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진(問診)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
A Literature Study on interrogation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8 no.1, 2015년, pp.21 - 34  

김진호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treatment starts with physical examination. The four examinations(四診) is a method to examine the disease. The books on history of diagnostics about it contained substantial contents about inspection(望診) and palpation including pulse taking(切診), while they contained little content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등과 같은 것이다. 또한 신체의 통증에 있어서는 반드시 惡瘡을 앓은 여부를 확인토록 하였다.
  • 본서에서는 問診에 관한 내용을 구분하여 정리하지는 않았지만, 본서를 인용한 後代의 醫書들이 본내용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소개하였는바, 後代의 분류를 빌려 살펴보기로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臨床家에 있어서 진료의 시작을 크게 실제적인 의미에서 본다면 무엇인가? 臨床家에 있어서 진료의 시작은 과연 어디서부터일까? 크게 본다면, 당해 년의 운기나 當月의 계절 및 그날의 날씨로부터 간호사가 환자에 앞서 건네주는 진료기록부의 기재내용, 즉 환자의 성명, 성별, 나이, 주소, 직업, 결혼여부 등을 살펴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환자와 대면을 하지 않은 상태로서 主訴하는 바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적인 의미에서 본다면 四診이 진료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問診이 가지는 望診·聞診·切診와의 다른 차별점은? 질병의 치료는 정확한 진단을 필요로 하며 정확한 진단은 四診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기에, 이에 대한 연구는 역대 의가들이 중시해온 바이다. 한편望診·聞診·切診이 의사가 환자로부터 환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얻어내는 방법이라면, 問診은 환자의 의지 즉 대답을 통해 정보를 얻는다는 측면에서 앞의 세 가지 診法과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으며, 임상에 있어 가장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진단방법이기도 하다. 그러나 四診을 대상으로 한 진단학의 역사를 살펴볼 것 같으면 問診에 대한내용은 望診과 切診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약함을 면할 수 없다2).
望·聞·問·切의 四診은 무엇인가? 望·聞·問·切의 四診은 질병을 진찰하는 방법으로서, 한의학 기본이론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病情을 파악하고 病證을 分別하는 도구이자 기본이론과 실제임상을 결부시키는 교량역할을 하고 있다1). 질병의 치료는 정확한 진단을 필요로 하며 정확한 진단은 四診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기에, 이에 대한 연구는 역대 의가들이 중시해온 바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권건혁 역, 주굉 저. 국역활인서. 서울. 반룡. 1999. p.28. Translated by Gwon GH, Written by Zhu G. Gookyeokhwalyinseo. Seoul. Banryong. 1999. p.28. 

  2. 김기욱 外15人. 강좌 중국의학사. 고양. 대성의학사. 2006. p.262. Kim KW et al. Gangjwa Joonggookeuihaksa. Goyang. Daesung publisher. 2006. p.262. 

  3. 윤창렬.김용진.김정규 編譯, 吳謙 原著. 四診心法要訣. 대전. 주민출판사. 2005. p.1. Translated by Yun CY.Kim YJ.Kim JG, Written by Wu Q. Sizhenxinfayaojue. Daejeon. Jumin publisher. 2005. p.1. 

  4. 윤창열.신영일.김선호 譯, 柯琴 著. 柯氏傷寒論注. 대전. 주민출판사. 2007. p.290. Translated by Yun CY.Sheen YI.Kim SH, Written by Ke Q. Keshishanghanlunzhu. Daejeon. Jumin publisher. 2007. p.290. 

  5. 李鳳敎 編著. 漢方診斷學. 서울. 成輔社. 1992. p.21. Lee BG. Hanbangjindanhak. Seoul. Seongbosa. 1992. p.21. 

  6. 최승훈 역. 難經入門. 서울. 법인문화사. 1998. p.287. Choi SH. Nangyeongyipmun. Seoul. Bubin publisher. 1998. p.287. 

  7. 楊維傑 編著. 黃帝內經素問譯解. 서울. 大星文化社. 1990. p.111, 183, 680, 682, 683, 686. pp.681-682. Yang WJ. Huangdineijingsuwenyijie. Seoul. Daesung publisher. 1990. p.111, 183, 680, 682, 683, 686. pp.681-682. 

  8. 楊維傑 編著. 黃帝內經靈樞譯解. 서울. 大星文化社. 1990. p.43, 266. Yang WJ. Huangdineijinglingshuyijie. Seoul. Daesung publisher. p.43, 266. 

  9. 施發. 察病指南(歷代中醫珍本集成.十三). 上海. 三聯書店. 1990. p.29. Shi F. Chabingzhinan(Lidaizhongyizhenbenjicheng.Shisan). Shanghai. Sanlianshudian. 1990. p.29. 

  10. 徐春甫. 古今醫統大全.上. 서울. 아울로스출판사. 1994. pp.192-194. Xu CF. Gujinyitongdaquan.Shang. Seoul. Aullos publisher. 1994. pp.192-194. 

  11. 李?. 編註醫學入門1卷. 서울. 大星文化社. 1990. p.372, 378. pp.372-378. Li C. Bianzhuyixuerumen1juan. Seoul. Daesung publisher. 1990. p.372, 378. pp.372-378. 

  12. 張三錫. 醫學準繩六要.問病必詳(古今圖書集成醫部全錄.三冊).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1. p.581. pp.580-581. Zhang SX. Yixuezhunshengliuyao.Wenbingbixiang (Gujintushujichengyibuquanlu.Sance). Beijing. Renminweishengchubanshe. 1991. p.581. pp.580-581. 

  13. 張介賓. 景岳全書.上. 서울. 大星文化社. 1988. p.18, 19, 22, 23. pp.17-18, 18-19, 19-20, 20-21, 21-22, 22-23. Zhang JB. Jingyuequanshu.Shang. Seoul. Daesung publisher. 1988. p.18, 19, 22, 23, pp.17-18, 18-19, 19-20, 20-21, 21-22, 22-23. 

  14. 王紹隆. 醫燈續焰(中國醫學大成).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7. p.361. Wang SL. Yidengxuyan(Zhongguoyixuedacheng) .Beijing. Zhongguozhongyiyaochubanshe. 1997. p.361. 

  15. 李中梓. 診家正眼(李中梓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pp.400-401. Li ZZ. Zhenjiazhengyan (Lizhongziyixuequanshu). Beijing. Zhongguozhongyiyaochubanshe. 1999. pp.400-401. 

  16. 喩昌. 醫門法律(喩嘉言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p.183. Yu C. Yimenfalu(Yujiayanyixuequanshu). Beijing. Zhongguozhongyiyaochubanshe. 1999. p.183. 

  17. 吳謙.劉裕鐸 等纂. 醫宗金鑑.二冊.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1. pp.14-17. Wu Q.Liu YD. Yizongjinjian.Erce. Shanghai. Shanghaigujichubanshe. 1991. pp.14-17. 

  18. 何夢瑤 撰. 醫?(續修四庫全書).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2. p.373, 375, 376. pp.373-375, 375-376. He MY. Yibian(Xuxiusikuquanshu). Shanghai. Shanghaigujichubanshe. 2002. p.373, 375, 376. pp.373-375, 375-376. 

  19. 陳修園. 醫學實在易(陳修園醫書七十二種.上冊). 台北. 文光圖書公司. 民國49. p.9. Chen XY. Yixueshizaiyi (Chenxiuyuanyishuqishierchong.Shangce). Taibei. Wenguangtushugongsi. Minguo49. p.9. 

  20. 石壽棠. 醫原. 江蘇省. 江蘇科學技術出版社. 1983. p.59. pp.59-60. Dan ST. Yiyuan. Jiangsusheng. Jiangsukexuejishuchubanshe. 1983. p.59. pp.59-60. 

  21. 李?. 身經通考.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1993. pp.123-125. Li Y. Shenjingtongkao. Beijing. Zhongyigujichubanshe. 1993. pp.123-125. 

  22. 林之翰. 四診抉微. 太原. 山西科學技術出版社. 2012. pp.75-86. Lin ZH. Sizhenjuewei. Taiyuan. Shanxikexuejishuchubanshe. 2012. pp. 75-86. 

  23. 欣澹庵. 四診秘錄. 北京. 學苑出版社. 2010. pp.63-69. Xin DA. Sizhenbilu. Beijing. Xueyuanchubanshe. 2010. pp.63-69. 

  24. 周學海. 形色外診簡摩(周學海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p.392. pp.391-392. Zhou XH. Xingsewaizhenjianma (Zhouxuehaiyixuequanshu). Beijing. Zhongguozhongyiyaochubanshe. 1999. p.392. pp.391-392. 

  25. 王宗殿 編著. 中醫問診. 合肥. 安徽科學技術出版社. 1990. p.1. Wang ZD. Zhongyiwenzhen. Hefei. Anhuikexuejishuchubanshe. 1990. p.1. 

  26. 甄志亞 主編. 中國醫學史. 서울. 一中社. 1992. p.232. Zhen ZY. Zhongguoyixueshi. Seoul. Iljungsa. 1992. p.232. 

  27. 崔桓壽, 金容辰, 尹暢烈. 中醫診斷學의 史的考察(1).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6. 5(1). Choi HS, Kim YJ, Yun CY. A historical study on diagnostics of Chinese Medicine. J.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in Daejeon University. 1996. 5(1). 

  28. 劉國萍, 王憶勤. 中醫問診理論的源流及發展. 上海中醫藥大學學報. 2008. 22(3). Liu GP, Wang YQ. Origin and Development of Inquiring Diagnosis Theory of TCM. ACTA UNIVERSITATIS TRADITIONIS MEDICALIS SINENSIS PHARMACOLOGIAEQUE SHANGHAI. 2008. 22(3). 

  29. 何建成, 王文武. 中醫問診溯?. 江蘇中醫藥. 2009. 41(1). He JC, Wang WW. Zhongyiwenzhensuhui. Jiangsuzhongyiyao. 2009. 41(1). 

  30. 梁建慶, 何建成. 中醫問診文獻綜述. 中華中醫藥學刊. 2014. 32(10). Liang JQ, He JC. Literature Review of TCM inquiry. CHINESE ARCHIV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4. 3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