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팔강변증(八綱辨證)에 대한 비교 연구 - 장개빈(張介賓).정국팽(程國彭).강함돈(江涵暾)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Research of Eight Principle Pattern Identification - based on Zhang Jie-Bin, Cheng Guo-Peng, and Jiang Han-Tun -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6 no.2, 2013년, pp.47 - 59  

김진호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Syndrome differentiation(辨證) has clinical importance in East Asian Traditional Medicine. There are several ways for Syndrome differentiation. However, Eight Principle Pattern Identification(八綱辨證) is the base of other Syndrome differentiations. Of the physicians focused on Eight Princip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논자는 팔강변증에 관하여 뚜렷한 논술을 펼친 張의 『景岳全書』中 「陰陽篇」, 「六變辨」, 「表證篇」, 「裏證篇」, 「虛實篇」, 「寒熱篇」과 程의 『醫學心悟·寒熱虛實表裏陰陽辨』 및 江의 『筆花醫鏡·表裏虛實寒熱辨』을 대상25)으로 하여 세 의가의 견해를 비교·연구하고, 이를 통하여 팔강변증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辨證이란 무엇인가/ 辨證이란 疾病에 對하여 判斷을 내리는 方法으로서1), 한의학의 기본이론을 임상에 적용시킴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이며 집약적인 절차라고 할 수 있다2). 이와 같은 변증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니, 八綱辨證·臟腑辨證·氣血津液辨證·六經辨證·衛氣營血辨證·三焦辨證·病因辨證 등이 있다3).
六綱의 구분을 살펴보면, 張의 경우 표리는 표를 만들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고 허실은 도표화 하였으나 그래도 세부적인 구분이 많은 반면 한열에 있어서는 비교적 간단하고 명확하게 구분을 지었는데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무엇인가? 六綱의 구분을 살펴보면, 張의 경우 표리는 표를 만들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고 허실은 도표화 하였으나 그래도 세부적인 구분이 많은 반면 한열에 있어서는 비교적 간단하고 명확하게 구분을 지었다. 이러한 차이는 한열이 六綱중에서 음양을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범주로서 나머지 四綱에 비해 비교적 층차가 복잡하지 않은 특징108)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다.
변증의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 辨證이란 疾病에 對하여 判斷을 내리는 方法으로서1), 한의학의 기본이론을 임상에 적용시킴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이며 집약적인 절차라고 할 수 있다2). 이와 같은 변증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니, 八綱辨證·臟腑辨證·氣血津液辨證·六經辨證·衛氣營血辨證·三焦辨證·病因辨證 등이 있다3). 그 중에서 팔강변증은 다른 각종 변증의 總綱으로서4), 팔강은 기초이자 포괄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臨證時에는 팔강을 辨別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신영일. 傷寒溫病學의 辨證에 대한 硏究.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9. 12(1). p.52. 

  2. 곽민아.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86례에 대한 변증치료. 東西醫學. 2002. 27(3). 

  3. 배노수 外 3인. 한열변증 설문지 개발을 위한 한열 고찰.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5. 9(1). 

  4. 오수완 外 8인. 과민성대장증후군의 변증유형과 양도락 결과의 분석. 한방성인병학회지. 2000. 6(1). 

  5. 申尙玗, 金楨氾. 傷寒雜病論의 診斷體系에 關한 硏究. 동의병리학회지. 1998. 12(1). 

  6. 손지희 外 3인. 설진의 표준화를 위한 제언: 설태 후박의 진단기준을 중심으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2. 33(1). p.3. 

  7. 홍명주 外 4인. 사상체질과 부인과설문지를 통한 변증과의 관계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 15(1). 

  8. 安圭錫. 한의학의 변증체계와 그 내용.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987. 2(1). 

  9. 강철민, 강정수, 김병수. 太少陰陽과 八綱의 분석에 근거한 사상인 변증분류체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 22(5). 

  10. 유현희 외 5인. 한열 변증 설문지 개발에 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 22(6). p.1411. 

  11. 김경철. 개체체질과 병인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 19(4). p.835. 

  12. 유현희 외 5인. 허실 변증 설문지 개발 가능성에 대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 23(3). p.535. 

  13. 김구 외 4인. 20대와 60대에서 사상체질 완실무병 지표 소화 대변 땀 소변의 특징 비교. 사상체질의학회지. 2010. 22(2). p.77. 

  14. 이진철, 박상균, 방정균. 瀕湖脈學의 體狀 詩, 主病詩와 景岳全書중 脈神章의 正脈16部 비교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2. 25(2). p.123. 

  15. 배노수, 오환섭, 박영배. 호흡변이도 및 호흡 지표와 한열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8. 12(2). p.104. 

  16. 김숙경, 박영배. 한열변증 설문지 개발.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3. 7(1). p.72. 

  17. 이광영, 박찬국. 상한론과 사상의학의 병기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8. 11(1). p.681. 

  18. 申天浩 編譯. 問答式 한의학 개론. 서울. 成輔社. 1990. p.363, 365. 

  19. 朴英培, 金泰熙 編著. 韓方診斷學.[II]辨證. 서울. 成輔社. 2004. p.41. 

  20. 金完熙 選編. 한의학원론. 서울. 成輔社. 1990. p.257. 

  21. 劉渡舟 著. 傷寒論臨證指要. 北京. 學苑出版社. p.33. 

  22. 方伯英 主編. 中醫學問答題庫.診斷學分冊.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p.41, 42. pp.41-42. 

  23. 김기욱 外 15인. 강좌 중국의학사. 경기도. 대성의학사. 2006. p.252. 

  24. 李劉坤 강의, 임진석 정리. 臨床溫病學特講. 서울. 대성의학사. p.24. 

  25. 李? 著. 醫學入門. 대구. 東洋綜合通信敎育院. 1978. p.639. 

  26. 朴炅 譯釋. 入門診斷學譯釋. 서울. 大星文化社. 1996. p.60, 597. 

  27. 劉飛白 編著. 舌診指南. 台北. 五州出版社. 1984(민국73년). p.15. 

  28. 陳大舜, 曾勇, 黃政德 엮음. 各家學說-中國 篇. 서울. 대성의학사. 2001. p.330. 

  29. 鄧鐵濤 主編, 柳黃淋 主譯. 漢方診斷學. 서울. 우용출판사. p.259. 

  30. 徐大椿 撰. 徐大椿醫學全集.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6. pp.1054-1055. 

  31. 鄧鐵濤 主編. 中醫診斷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7. p.268. 

  32.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四象醫學. 서울. 집문당. 2001. p.154. 

  33.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제3회 졸업생 편역. 국역 筆花醫鏡. 서울. 정담. 1996. p.21, 22, 92. pp.21-22, 22-23. 

  34. 張介賓 編著. 景岳全書.上. 서울. 大星文化社. 1988. p.4, 5, 6, 7, 8, 9, 10, 11, 12, 14, 15, 16, 92, 123. pp.8-9, 11-12, 12-13. 

  35. 程國彭 撰. 醫學心悟.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9. p.15. pp.14-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