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방전플라즈마제트를 이용한 생식용 곡류의 미생물 저감
Microbial Inactivation of Grains Used in Saengshik by Corona Discharge Plasma Je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1, 2015년, pp.70 - 74  

윤금아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목철균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식제조에 사용되는 곡류의 미생물 오염을 저감하기 위하여 코로나방전플라즈마제트(CDPJ)를 사용하여 곡류 표면의 미생물을 살균을 시도하고, CDPJ 처리에 따른 곡류 품질변화 여부를 조사하였다. 곡류의 초기 오염도는 $1.7{\times}10^3-9.9{\times}10^5CFU/g$ 정도를 보였다. 곡류에 대한 CDPJ의 살균력은 1-1.5 A 범위에서 전류세기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토출거리 25 mm에서 가장 양호한 살균 효과를 나타냈다. 곡류 미생물의 CDPJ 살균패턴은 의사 1차반응 모델인 Singh-Heldman 모델에 부합하였고, 세균이 진균에 비해 더 민감한 살균효과를 보였다. 곡류별로는 백미가 가장 잘 살균되었고, 압맥, 현미 순으로 살균효과가 낮아졌다. 처리시간 10분 이하의 처리는 곡류의 TBA가에 영향을 주지 않아 CDPJ 처리는 생식제조용 곡류의 지방특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미생물을 저감함으로써 생식의 위생 향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in grains used for saengshik, a formulated health food, was attempted by corona discharge plasma jet (CDPJ). The initial microbial counts of the grains were in the range of $1.7{\times}10^3-9.9{\times}10^5CFU/g$. The CDPJ-inactivation effect was increased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생식의 주원료가 되는 곡물의 미생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CDPJ를 이용한 미생물 저감화를 시도하였고, 처리에 따른 곡류의 품질변화를 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Values with same letters within same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식제품의 비가열살균기술로써 저온 플라스마 기술 중 코로나방전플라즈마제트는 어떤 방식인가? 저온플라즈마에는 반응성이 높은 라디칼과 이온 등의 전하입자가 풍부하여 미생물 세포막을 파괴하고 아울러 플라즈마에 포함된 자외선이 DNA 변형을 일으켜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특히 코로나방전플라즈마제트(corona discharge plasma jet, CDPJ)는 세라믹 실드 전극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송풍장치를 통해 전극 주위에 다량의 공기를 유입함으로써 온도를 낮추는 동시에 제트형태로 플라즈마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운영이 쉬운 장점을 갖고 있으며 4.5 log 이상의 살균효과를 나타낸다(6).
생식 제조 시 사용되는 곡류의 미생물 오염 저감을 위해 코로나방전플라즈마제트를 사용한 곡류의 표면 미생물 살균력은 전류에 따라 어떻게 관찰되는가? 9×105 CFU/g 정도를 보였다. 곡류에 대한 CDPJ의 살균력은 1-1.5 A 범위에서 전류세기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토출거리 25 mm에서 가장 양호한 살균 효과를 나타냈다. 곡류 미생물의 CDPJ 살균패턴은 의사 1차반응 모델인 Singh-Heldman 모델에 부합하였고, 세균이 진균에 비해 더 민감한 살균효과를 보였다.
생식제품이 미생물학적 위해가 잠재하는 식품군에 속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cereus 등 식중독균도 검출되고 있다(3). 또한 생식제품은 물, 우유, 두유 등에 섞어 바로 음용하므로 이들 미생물이 그대로 체내로 유입되어 식중독이나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나, 주로 상온에서 유통되고 구입 후 장시간 보관하면서 소비하지만 소비자들은 건조식품이므로 위해 가능성이 낮다고 인지하고 있어 미생물학적 위해가 잠재하는 식품군에 속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Lee JY, Mok C. Development of saengshik beverage products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od Eng. Prog. 13: 341-347 (2009) 

  2. KFDA. Food Code. 20-1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ju, Korea. pp. 510-511 (2005) 

  3. Kim JH, Lee YK, Yang JY. Analysis on hazard microorganisms in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environment for sunsik manufacture. J. Fd. Hyg. Safety. 26: 410-416 (2011) 

  4. Park HJ, Min KJ, Park NY, Cho JI, Lee SH, Hwang IG, Heo JJ, Yoon KS. Estimation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with high consumer risk percep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59-69 (2013) 

  5. Mok C, Lee T.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Food Eng. Prog. 16: 33-39 (2012) 

  6. Mok C, Lee T.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inactivation performance of corona discharge plasma jet system. Food Eng. Prog. 17: 266-270 (2013) 

  7. Chun JK, Kim KH, Mok C, Lee SJ, Kwon YA. Food Engineering. McGraw-Hill Korea, Seoul, Korea. pp. 114-115 (2002) 

  8. Singh RP, Heldman DR. Introduction to Food Engineering, 4th Ed. Academic Press, Burlington, MA, USA. p. 417 (2009) 

  9. Uhm JT, Lee YJ, Lee SB, Kim JD, Lee OH, Yoon WB. Comparison of changes of lipid oxidation of soybean powders from Korea and east Russia at different packages. Food Eng. Prog. 16: 207-213 (2012) 

  10. Kim PG. The Prospect of saengshik Food Market.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004) 

  11. Mok C, Song DM. Low-pressure plasma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Food Eng. Prog. 14: 202-207 (2010) 

  12. Kim CK, Sun HL, Yun MS, Oh HS, Cho MK. Disinfection effects of heat- and cold-treatment and UV-irradiation on Campylobacter jejuni. Korean. J. Microbiol. 27: 291-296 (1989) 

  13. Kim SY, Park YS, Mok C. Sterilization of yakju (rice wine) using a batch-type high voltage pulsed electric field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247-1253 (1999) 

  14. Kim WJ, Cha BS, Lee SY. Food Processing & Preservation Principle and Application. Hyoil Press, Seoul, Korea. p. 172 (2011) 

  15. Korean Nutrition Society. Sourcebook of Food Nutrient Content.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pp. 22-24 (1998) 

  16. Delcour JA, Hoseney RC. Principles of Cereal Science and Technology. 3rd Ed. AACC International Inc., St. Paul, MN, USA. pp. 80-82 (2010) 

  17. Sung JH, Kin H, Choi HD, Kim YS. Fat acidity and flavor pattern analysis of brown rice and milled rice according to storage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613-617 (2011) 

  18. Jang MS, Kim KD, Kim KW, Lee JY, Kang YJ. The changes of lipid oxid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xtruded pellet feed by dietary moisture level and storage temperature. J. Aquaculture 21: 226-233 (2008)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