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열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polystyrene, 소시지 케이싱, 그리고 훈제연어에서의 식중독균 저해
Inhibition of Foodborne Pathogens on Polystyrene, Sausage Casings, and Smoked Salmon Using Nonthermal Plasma Treatm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4, 2011년, pp.513 - 517  

이한빛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노영은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양희재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민세철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S 필름에 접종된 S. Typhimurium,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를 저해시킬 때 헬륨을 사용한 플라즈마 처리의 경우에는 S. Typhimurium이, 헬륨과 산소를 동시에 사용한 플라즈마 처리의 경우에는 L. monocytogenes가 가장 많이 저해되었다.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는 헬륨과 산소를 함께 사용하여 플라즈마 처리하였을 때 헬륨만 사용하였을 때보다 더 큰 저해를 보였다. 헬륨과 산소를 함께 사용한 비열 플라즈마 처리는 L. monocytogenes가 소시지 케이싱이나 훈제연어에 감염되었을 때보다 PS 필름에 감염되었을 때 L. monocytogenes를 더 효과적으로 저해시켜 감염된 재료에 따라 다른 저해 효과를 보여 주었다. 비열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된 가스의 종류와 미생물이 감염된 재료는 그 처리의 항균 효과에 대한 평가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헬륨과 산소를 사용한 비열 플라즈마 처리는 공정 후 포장재에 감염된 L. monocytogenes를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nonthermal plasma treatments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living on polystyrene (PS), sausage casings, and smoked salmon were investigated. Inoculated PS, casings, and salmon were treated with nonthermal plasma generated with h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플라즈마 처리의 미생물 저해 효과는 처리 전압(13), 교류 진동수(14), 사용 가스(15), 처리 시간(10), 미생물의 종류(16), 미생물이 감염된 재료(2)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 식중독균들(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을 플라스틱(polystyrene) 필름 위에서 두 종류의 가스를 각각 사용한 비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이용하여 처리 시간을 변수로 두고 처리시켜 그들의 저해 정도를 관찰하고, L. monocytogenes 저해 효과가 높은 가스를 사용하는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해 소시지 케이싱과 훈제연어에서의 L. monocytogenes 저해 정도를 처리 시간을 변수로 놓고 연구함으로써 비열 플라즈마의 식품 살균 기술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비열처리 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식품에 유입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열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면서도 미생물을 저해하고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식품의 품질 저하를 감소시키는 식품의 비열처리(nonthermal food preservation method)에 관한 연구가 식품 과학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어왔다(3,4). 비가열 살균은 방사선 조사(5), 초고압 처리(6), pulsed electric field 처리(7), 자외선 조사(8)를 포함한다. 각각의 이들 비열처리 공정기술은 비약의 발전을 해 왔지만, 그들을 사용해 다양한 상업적 제품들을 생산하기에는 아직도 궁극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들이 있다.
가열 살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가열 살균은 전통적인 살균 방식으로 살균에는 효과적이지만 처리 중 식품으로 유입되는 열에 의해 식품의 영양학적 특성, 관능적 특성, 그리고 기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1,2). 식품에 유입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열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면서도 미생물을 저해하고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식품의 품질 저하를 감소시키는 식품의 비열처리(nonthermal food preservation method)에 관한 연구가 식품 과학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어왔다(3,4).
식품의 비열처리의 역할은 무엇인가? 가열 살균은 전통적인 살균 방식으로 살균에는 효과적이지만 처리 중 식품으로 유입되는 열에 의해 식품의 영양학적 특성, 관능적 특성, 그리고 기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1,2). 식품에 유입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열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면서도 미생물을 저해하고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식품의 품질 저하를 감소시키는 식품의 비열처리(nonthermal food preservation method)에 관한 연구가 식품 과학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어왔다(3,4). 비가열 살균은 방사선 조사(5), 초고압 처리(6), pulsed electric field 처리(7), 자외선 조사(8)를 포함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uksiene Z, Buchovec I, Paskeviciute E. Inactivation of several strains of Listeria monocytogen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packaging material by Na-chlorophyllin-based photosensitization. J. Photoch. Photobio. B 101: 326-331 (2010) 

  2. Yun H, Kim B, Jung S, Kruk ZA, Kim DB, Choe W, Jo C.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oculated on disposable plastic try, aluminum foil, and paper cup by atmospheric pressure plasma. Food Control 21: 1182-1186 (2010) 

  3. Min S, Evrendilek GA, Zhang HQ. Pulsed electric fields: processing system, microbial and enzyme inactivation, and shelf life extension of foods. IEEE T. Plasma Sci. 35: 59-73 (2007) 

  4. Paskenviciute E, Buchovec I, Luksicen Z. High-power pulsed light for decontamination of chicken from food pathogens: A study on organoleptic properties. J. Food Safety 31: 61-68 (2011) 

  5. Grecz N, Rowley DB, Matsuyama A. The action of radiation on bacteria and viruses. pp. 167-218. In: Preservation of Foods by Ionizing Radiation. 2nd ed. Josephson ES, Peterson MS (ed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1983) 

  6. Knorr D.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of food: microbiology. pp. 159-175. In: New Methods of Food Preservation. Gould GW (ed).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London, UK (1995) 

  7. Zhang Q, Barbosa-Canovas GV, Swanson BG. Engineering aspects of pulsed electric field pasteurization. J. Food Eng. 25: 261-281 (1995) 

  8. Shama G. Process challenges in applying low doses of ultraviolet light to fresh produce for eliciting beneficial hormetic responses. Postharvest Biol. Tec 44: 1-8 (2007) 

  9. Laroussi M. Low temperature plasma-based sterilization: overview and state-of-the-art. Plasma Process. Polym. 2: 391-400 (2005) 

  10. Ragni N, Berardinelli A, Vannini L, Montanari C, Sirri F, Guerzoni ME, Guarnieri A. Non-thermal atmospheric gas plasma device for surface decontamination of shell eggs. J. Food Eng. 100: 125-132 (2010) 

  11. Gilliland SE, Speck ML. Mechanism of the bactericidal action produced by eletrohydraulic shock. Appl. Environ. Microb. 15: 1038-1044 (1967) 

  12. Gweon BM, Kim DM, Moon SY, Choe W. Escherichia coli deactivation study controlling th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discharge conditions. Curr. Appl. Phys. 9: 625-628 (2009) 

  13. Mok CK, Song DM. Low-pressure plasma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Food Eng. Progress 14: 202-207 (2010) 

  14. Deng S, Ruan R, Mok CK, Huang G, Lin X, Chen P.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n almonds using nonthermal plasma. J. Food Sci. 72: M62-M66 (2007) 

  15. Boucher RM. State of the art in gas plasma sterilization. Med. Device Diagn. Ind. 7: 51-56 (1985) 

  16. Lee K, Paek K, Ju WT, Lee Y. Sterilization of bacteria, yeast, and bacterial endospores by atmospheric-pressure cold plasma using heliu, and oxygen. J. Microbiol. 44: 269-275 (2006) 

  17. Yu H, Perni S, Shi JJ, Wang DZ, Kong MG, Shama G. Effects of cell surface loading and phase of growth in cold atmospheric gas plasma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K 12. J. Appl. Microbiol. 101: 1323-1330 (2006) 

  18. Ben Gadri R, Reece Roth J, Montie TC, Kelly-Wintenberg K, Tsai PPY, Helfritch DJ, Feldman P, Sherman DM, Karakary F, Chen Z, UTK Plasma Sterilization Team. Sterilization and Plasma processing of room temperature (surfaces with a one atmosphere uniform glow discharge plasma (OAUGDP). Surf. Coat. Tech. 131: 528-542 (2000) 

  19. Ozen BF, Floros JD. Effects of emerging food processing techniques on the packaging materials. Trends. Food Sci. Tech. 12: 60-67 (2001) 

  20. Song HP, Kim B, Choe JH, Jung S, Moon SY, Choe WH, Jo C. Evalu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plasma to improve the safety of sliced cheese and ham inoculated by 3-strain cocktail Listeria monocytogenes. Food Microbiol. 26: 432-43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