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향적 자료분석을 통한 낙상위험 사정도구의 타당도 비교: 종합병원 입원 환자를 중심으로
Validation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in South Korea using Retrospective Data Analysi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1, 2015년, pp.29 - 38  

강영옥 (충남대학교병원) ,  송라윤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fall risk assessment scales among hospitalized adult patients in South Korea us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by comparing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s,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Morse Fall Scale (MFS), Bobath Me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성인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지를 이용하여 낙상여부를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낙상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Morse 낙상위험 사정도구((MFS), Bobath Memorial Hospital 낙상위험 사정도구(BMFRAS), Johns Hopkins Hospital 낙상위험 사정도구(JHFRAT)를 이용해 점수를 구하고,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를 분석함으로써 타당도 높은 낙상위험 사정도구를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입원한 성인 환자에게 예측력과 타당도가 높은 낙상위험 사정도구를 선정하여 활용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으로, Morse 낙상위험 사정도구, Bobath Memorial Hospital 낙상위험 사정도구와 Johns Hopkins Hospital 낙상위험 사정도구를 적용하여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를 비교 ‧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성인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지를 이용하여 낙상여부를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낙상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Morse 낙상위험 사정도구((MFS), Bobath Memorial Hospital 낙상위험 사정도구(BMFRAS), Johns Hopkins Hospital 낙상위험 사정도구(JHFRAT)를 이용해 점수를 구하고,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를 분석함으로써 타당도 높은 낙상위험 사정도구를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Morse 낙상위험 사정도구와 Bobath Memorial Hospital 낙상위험 사정도구, Johns Hopkins Hospital 낙상위험 사정도구를 종합병원의 일반 병동에 입원한 환자에게 적용하여 경계점수(cut-off score)를 확인한 후 각 도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를 비교 ‧ 분석하여 타당도 높은 낙상위험 사정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병원현장에서 발생한 낙상 사례의 충분한 숫자의 확보를 위하여 후향적 접근방법을 통해 환자안전관리 보고시스템에 등록된 낙상군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시도하였으며 국내외 대표적인 낙상위험 사정도구를 종합병원의 일반 병동에 입원한 환자에게 적용하여 타당도 높은 낙상위험 사정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상사고 발생률은? 낙상은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안전을 위한 주요지표 중 하나로 최근 국내 의료기관 인증평가 기준에서 지속적인 성과 관리를 하고 경영진과 직원이 그 결과를 공유하도록 하고 있다[1]. 의료기관은 낙상발생의 잠재적 위험이 있는 장소로 외국의 경우 일 재원 환자 수 1,000명 당 0.7~4.0건 또는 3~5건 낙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2,3], 국내 연구에서도 종합병원 입원 환자 1,000명당 낙상사고가 1.9건으로 보고되고 있어[4] 최근 국내 종합병원에서의 낙상위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낙상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나? 낙상은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안전을 위한 주요지표 중 하나로 최근 국내 의료기관 인증평가 기준에서 지속적인 성과 관리를 하고 경영진과 직원이 그 결과를 공유하도록 하고 있다[1]. 의료기관은 낙상발생의 잠재적 위험이 있는 장소로 외국의 경우 일 재원 환자 수 1,000명 당 0.
낙상발생으로 인한 문제는? 낙상은 환자에게 신체적으로는 타박상이나 부종, 열상, 골절, 뇌손상 등의 심각한 상해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5] 심지어는 사망까지 이르게도 하며[6], 정서적으로는 불안과 낙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정상 생활로부터 환자를 위축시키며 우울 및 자신감 상실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낙상으로 인한 손상을 치료하기 위해 재원일수가 길어지고 검사나 수술, 재활치료로 인한 추가적인 의료비용의 부담과 의료과실로 인한 소송까지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7]. 이처럼 의료기관에서의 낙상발생은 환자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의료비 상승 등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2.0.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4;19-20. 

  2. Bouldin ED, Andresen EM, Dunton NE, Simon M, Waters TM, Liu M, et al. Falls among adult patients hospitalized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trends. Journal of Patient Safety. 2013;9(1):13-7. http://dx.doi.org/10.1097/PTS.0b013e3182699b64 

  3. Oliver D, Healey F, Haines TP. Preventing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hospitals.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010;26(4):645-92. http://dx.doi.org/10.1016/j.cger.2010.06.005 

  4. Kim YS, Choi-Kwon SM. Fall risk factors and fall risk assessment of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 (1):74-82.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74 

  5. Kim CG.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6. Coussement J, De Paepe L, Schwendimann R, Denhaerynck K, Dejaeger E, Milisen K.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falls in acute-and chronic-care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2008;56 (1):29-36.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7.01508.x 

  7. Bergland A, Wyller TB. Risk factors for serious fall related injury in elderly women living at home. Injury Prevention. 2004; 10(5):308-13. http://dx.doi.org/10.1136/ip.2003.004721 

  8. Oliver D, Daly F, Martin FC, McMurdo MET. Risk factors and risk assessment tools for falls in hospital in-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ge and Ageing. 2004;33(2):122-30. http://dx.doi.org/10.1093/ageing/afh017 

  9. Lopez KD, Gerling GJ, Cary MP, Kanak MF. Cognitive work analysis to evaluate the problem of patient falls in an inpatient setting.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2010;17(3):313-21. http://dx.doi.org/10.1136/jamia.2009.000422 

  10. Morse JM. Preventing patient falls: establishing a fall intervention program. New York: Springer 2009. 

  11. Morse JM. Enhancing the safety of hospitalization by reducing patient fall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02;30 (6):376-80. http://dx.doi.org/10.1067/mic.2002.125808 

  12. Kim SR, Yoo SH, Shin YS, Jeon JY, Kim JY, Kang SJ, et al. Comparis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ll risk assessment tools in patients with acute neurological disord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1):24-32.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24 

  13. Kim KS, Kim JA, Kim MS, Kim YJ, Kim ES, Park KO, et al.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s based on the nursing proces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falls and pai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1):133-47. 

  14. Myers H, Nikoletti S. Fall risk assessment: a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nurses' clinical judgement and risk assessment tools in predicting patient fall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03;9(3):158-65. http://dx.doi.org/10.1046/j.1440-172X.2003.00409.x 

  15. Chapman J, Bachand D, Hyrkas K. Testing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feasibility of four falls risk assessment tools in a clinical setting.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1;19 (1): 133-42.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0.01218.x 

  16. Kim EA, Mordiffi SZ, Bee WH, Devi K, Evans D. Evaluation of three fall-risk assessment tools in an acute care sett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60(4):427-35.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419.x 

  17. O'Connell B, Myers H.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orse fall scale in an acute care sett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2;11(1):134-36. http://dx.doi.org/10.1046/j.1365-2702.2002.00578.x 

  18. Kim KS, Kim JA, Choi YK, Kim YJ, Park MH, Kim HY,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the validity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in korean hospitals. Asian Nursing Research. 2011;5(1):28-37. http://dx.doi.org/10.1016/S1976-1317(11)60011-X 

  19. Beack YG. Fall risk of patients admitted to emergency room. Global Health Nursing. 2011;2(1):34-42. 

  20. Park IS, Cho IS, Kim EM, Kim MK. Evaluation of a fall risk assessment tool to establish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process for inpatients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84-92.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484 

  21. Baek SY. Clinical usability evaluation of fall risk assessment tool implemented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master's thesis]. Seoul: Catholic University; 2012. 

  22. Vassallo M, Stockdale R, Sharma JC, Briggs R, Allen S. A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four fall risk assessment tools on acute medical ward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5;53(6):1034-38.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5.53316.x 

  23. Perell KL, Nelson A, Goldman RL, Luther SL, Prieto-Lewis N, Rubenstein LZ. Fall risk assessment measures: an analytic review. Journal of Gerontology. 2001;56(12):761-66. http://dx.doi.org/10.1093/gerona/56.12.M761 

  24. Morse J, Morse R, Tylko S. Development of a scale to identify the fall-prone patient. Canadian Journal on Aging. 1989;8(4): 366-77. http://dx.doi.org/10.1017/S0714980800008576 

  25. Poe SS, Cvach M, Gartrell GD, Radzik RB, Joy LT.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fall risk assessm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lesson learned.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5;20(2):107-16. 

  2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tistical report on the aged.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1. [cited 2014 July 3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 

  27. Schwendimann R, De Geest S, Milisen K. Evaluation of the morse fall scale in hospitalized patients. Age and Ageing. 2006; 35(3):311-13. http://dx.doi.org/10.1093/ageing/afj066 

  28. Lee YH, Jung IS, Jun SS.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dictive validity among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sca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2):162-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