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요법이 치매의 초조행동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Music Therapy on Agitation in Dementi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1, 2015년, pp.106 - 116  

공은희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박명화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assess the quality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usic interventions in reducing agitation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and randomized crossover studies were identified by searching MEDLINE, EMBASE, CINAHL, P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초조행동 감소를 위해서 적용된 음악 요법 관련 논문들을 분석 및 평가하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적용한 연구이다. 문헌고찰 과정은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5.
  •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초조행동 감소를 위해서 적용된 음악 요법 관련 논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음악요법의 초조행동 감소에 대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중간정도의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는 체계적인 문헌고찰방법을 적용하여 무작위 실험연구 방법으로 치매노인의 초조행동에 대한 음악요법 중재의 효과를 보고한 연구들을 검색 및 평가하여 음악요법의 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존의 치매노인을 위한 음악요법 분야에 새로운 지식을 추가하고, 치매노인을 돌보는 실무현장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음악요법을 적용함으로 치매에서의 초조행동을 감소시키고 치매 환자의 행동관리에 있어 비약물적 중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의 초조행동에 대한 음악요법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치매노인을 간호하는 실무현장에서 사용하기 용이하고, 비용효과 측면에서 유용한 중재이나 효과측면에서 여전히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하고, 효과 있는 음악중재를 적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혼란과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체계적인 문헌고찰방법을 적용하여 무작위 실험연구 방법으로 치매노인의 초조행동에 대한 음악요법 중재의 효과를 보고한 연구들을 검색 및 평가하여 음악요법의 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존의 치매노인을 위한 음악요법 분야에 새로운 지식을 추가하고, 치매노인을 돌보는 실무현장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음악요법을 적용함으로 치매에서의 초조행동을 감소시키고 치매 환자의 행동관리에 있어 비약물적 중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조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초조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지난 20년 동안 많은 비약물적 중재 연구들이 국외와 국내에서 보고되었다. 초조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들로는 감각중재, 활동 중재, 사회적 접촉 중재, 간호자 교육 중재, 환경조정 중재, 행동요법 중재, 의학적/간호학적 중재, 복합중재 들이 있다[5-7]. Kong 등[6]은 치매노인의 초조행동에 대한 비약물적 중재효과에 관한 국내외 무작위실험연구들만 대상으로 메타분석한 결과 비약물적 중재 중에서 감각중재(부드러운 음악과손 마사지, 열목욕요법, 아로마 요법)만이 치매노인의 초조행동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다.
초조행동이란 무엇인가? 초조행동의 정의는 매우 다양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정의는 Cohen-Mansfield 와 Billig[3]가 주장한 ‘대상자의 요구 또는 혼돈 등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적절한 언어적, 음성적, 운동적 활동’이다. 치매노인의 초조행동에 대해서 개념분석한 Kong[2]의 논문에 의하면 치매노인의 초조행동은 ‘과도하고, 부적절하고, 반복적이며, 비특정적이고, 관찰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국외연국에서 치매노인의 초조행동에 대한 음악요법의 효과에 대한 근거가 매우 미약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음악요법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보고들에도 불구하고, 치매노인의 초조행동에 대한 음악요법의 효과에 관한 근거는 매우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국외연구에서 2000년 이전까지 치매노인에게 음악중재를 제공한 연구가 매우 적고,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수가 매우 적으며, 무작위 대조군 실험방법을 적용한 연구의 수가 적어서 그동안 체계적인 문헌고찰연구가 어려웠다. 또한 발표된 문헌고찰연구 대부분이 기존의 문헌을 요약하는 수준의 서술적 고찰에 그쳤다. 국내연구에서는 2014년 현재까지도 치매노인의 초조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연구가 매우 극소수이며, 무작위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치매노인의 초조행동에 대한 음악요법의 효과를 조사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yalon L, Bornfeld H, Gum AM, Arean PA. The use of problem-solving therapy and restraint-free environment for the management of depression and agitation in long-term care. Clinical Gerontologist. 2009;32(1):77-90. http://dx.doi.org/10.1080/07317110802468728 

  2. Kong E. Agitation in dementia: concept clarific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5):526-3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5.03613.x 

  3. Cohen-Mansfield J, Billig N. Agitated behaviors in the elderly: I. a conceptual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86;34(10):711-21. 

  4. Cohen-Mansfield J, Libin A, Marx MS.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gitation: a controlled trial of systematic individualized intervention.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 Medical Sciences. 2007;62A(8):908-16. http://dx.doi.org/10.1093/gerona/62.8.908 

  5. Cohen-Mansfield J.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for inappropriate behaviors in dementia: a review, summary, and critiqu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1;9(4):361-81. http://dx.doi.org/10.1097/00019442-200111000-00005 

  6. Kong E, Evans LK, Guevara JP.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agitation in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ing & Mental Health. 2009;13(4):512-20. http://dx.doi.org/10.1080/13607860902774394 

  7. McGonigal-Kenney ML, Schutte DL. Nonpharmacologic management of agitated behaviors in persons with Alzheimer disease and other chronic dementing condition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6;32(2):9-14. 

  8. Kim BY.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for dementia senile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0;2(1):22-35. 

  9. Kim HK, Lee OR. A study on the effects of cognition, behavior and affection of the music therapy for dementia senile peopl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0;12(3):463-76. 

  10. Kim HJ, Jung JW. A study on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with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d dementia.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2013;9(3):19-38. 

  11. Hong YK, Kang YS. Effects of a music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isturbing behavior in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9;11(1):5-15. 

  12. Brotons M, Koger SM, Pickett-Cooper P. Music and Dementias: a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Music Therapy. 1997;34 (4):204-45. http://dx.doi.org/10.1093/jmt/34.4.204 

  13. Spiro N. Music and dementia: observing effects and searching for underlying theories. Aging & Mental Health. 2010;14(8):891-9.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0.519328 

  14. Goodall D, Etters L. The therapeutic use of music on agitated behavior in those with dementia. Holistic Nursing Practice. 2005;19(6):258-62. http://dx.doi.org/10.1097/00004650-200511000-00005 

  15. Livingston G, Kelly L, Lewis-Holmes E, Baio G, Morris S, Patel N,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sensory, psychological and behavioural interventions for managing agitation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2014;18(39):1-256. http://dx.doi.org/10.3310/hta18390 

  16. Sung H, Chang AM. Use of preferred music to decrease agitated behaviours in older people with dementia: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5;14(9):1133-40.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5.01218.x 

  17. Choi AN, Ryu KK.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cognition, depressive mood, quality of life and BPS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07;46(3):143-74. 

  18. Craig J. Music therapy to reduce agitation in dementia. Nursing Times. 2014;110(32/33):12-5. 

  19.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What is music therapy? [Internet]. Silver Spring: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2014[cited 2014 December 7]. Available from: http://www.musictherapy.org 

  20. Higgins JPT,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Internet]. United Kingdom: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cited 2014 November 10]. Available from: http://www.cochrane-handbook.org 

  21. Oh S. Meta-analysis: theory and practice. 1st ed. Seoul: Konkuk press; 2002. 

  22. Copas J, Shi JQ. Meta-analysis. funnel plots and sensitivity analysis. Biostatistics. 2000;1(3):247-62. http://dx.doi.org/10.1093/biostatistics/1.3.247 

  23. Cochrane Information and Knowledge Department. RevMan 5.3 beta [Internet]. United Kingdom: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cited 2014 October 03]. Available from: http://tech.cochrane.org/news/revman-53-beta-now-live. 

  24. Cooke ML, Moyle W, Shum DHK, Harrison SD, Murfield J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xploring the effect of music on agitated behaviours and anxiety in older people with dementia. Aging & Mental Health. 2010;14(8):905-16. http://dx.doi.org/10.1080/13607861003713190 

  25. Lin Y, Chu H, Yang C, Chen C, Chen S, Chang H, et al. Effectiveness of group music intervention against agitated behavior in elderly persons with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1;26(7);670-8. http://dx.doi.org/10.1002/gps.2580 

  26. Narme P, Clement S, Ehrle N, Schiaratura L, Vachez S, Courtaigne B, et al. Efficacy of musical interventions in dementia: evidence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2014;38:359-69. http://dx.doi.org/10.3233/JAD-130893 

  27. Raglio A, Bellelli G, Traficante D, Gianotti M, Ubezio MC, Gentile S, et al. Efficacy of music therapy treatment based on cycles of session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ging & Mental Health. 2010;14(8):900-4. http://dx.doi.org/10.1080/13607861003713158 

  28. Raglio A, Bellelli G, Traficante D, Gianotti M, Ubezio MC, Villani D, et al. Efficacy of music therapy in the treatment of behavioral and psychiatric symptoms of dementia.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2008;22(2):158-62. http://dx.doi.org/10.1097/WAD.0b013e3181630b6f 

  29. Remington R. Calming music and hand massage with agitated elderly. Nursing Research.2002;51(5):317-23. http://dx.doi.org/10.1097/00006199-200209000-00008 

  30. Ridder HMO, Stige B, Qvale LG, Gold C. Individual music therapy for agitation in dementia: an explorator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ging & Mental Health. 2013;17(6):667-78.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3.790926 

  31. Sung H, Chang AM, Abbey J. The effects of preferred music on agitation of older people with dementia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6;21(10):999-1000. http://dx.doi.org/10.1002/gps.1585 

  32. Sung H, Chang S, Lee W, Lee M. The effects of group music with movement intervention on agitated behaviours of institutionalized elders with dementia in Taiwan.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2006;14(2):113-9. http://dx.doi.org/10.1016/j.ctim.2006.03.002 

  33. Sung H, Lee W, Li T, Watson R. A group music intervention using percussion instruments with familiar music to reduce anxiety and agitation of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2;27(6):621-7. http://dx.doi.org/10.1002/gps.2761 

  34. Kim MR, Lee SJ, Shin AY, Kim SR. A review of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dementia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3;33(4):895-910. 

  35. Ueda T, Suzukamo Y, Sato M, Izumi S. Effects of music therapy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eing Research Reviews. 2013;12(2):628-41. http://dx.doi.org/10.1016/j.arr.2013.02.003 

  36. Vink AC, Bruinsma MS, Scholten RJPM. Music therapy for people with dementia.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3;(4):1-48.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3477.pub2 

  37. McDermott O, Crellin N, Ridder HM, Orrell M. Music therapy in dementia: a narrative synthesis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3;28(8):781-94. http://dx.doi.org/10.1002/gps.38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