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권리관점에서 본 영유아보육법 제정법령 분석 및 평가
An Analytical Study on the 1st Enacted 'Child Edu-care Act(1991)' -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6 no.1, 2015년, pp.125 - 146  

강현구 (서울대학교 유아교육최고위과정) ,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및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CCEP)" is important because it is responsible for providing 'care and education service' to young children in their 'most sensitive period' of human development. In reality, however, children's rights can only be sanctioned by adults and their rights are recogni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둘째, ‘시민권과 자유권’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에서 육아지원정책을 어떻게 정의했나? 한국 역시 1961년 아동복리법 제정 이후 영유아보육과 유아교육에 대해 국가의 책임을 명시화하는 변화를 겪었다. 최근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등 정부기관에서 “영유아기 아동의 보다 나은 성장과 발달, 그리고 인간성을 키울 수 있도록 보호하고 육성하는 정책”을 ‘육아지원정책’이라 정의하면서, 공공의 재정지원을 더욱 확대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이다.
제적 차원에서 아동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유엔에서 무엇이 공포되었나? 아동은 중요한 권리주체이면서 보호의 대상이지만, 스스로 적극적인 권리보호에 나설 수 없기 때문에 ‘아동 부재의 아동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이유로 1989년 유엔에서 ‘아동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이하 CRC)’이 공포되는 등 국제적 차원에서 아동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육아지원정책이 관심 받게된 이유는?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영유아기가 전 생애 발달에 있어 민감기로서 중요하며, 이 시기 아동에 대한 인적자본 투자가 다른 어느 시기보다도 효율성이 높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밝혀졌기 때문이다(Cunha & Heckman, 2008; Park & Jang, 2014). 또한 미래 세대의 보호·육성이라는 면에서 공동체 차원에서 육아정책을 다뤄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된 때문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ies, Philippe. (2003). The birth of children (translated by Moon, J.). Seoul: Saemulgyeol. 

  2. Bennett, Woodhouse., & Barbara Bennett (1994). 'Out of children's needs, children's rights: The child's voice in defining the family, BYU Journal of Public Law, 8(2), 321-342. 

  3. Byun, Y. (1999). The second country report on the Convention on the Right of Children for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3(20). 43-68. 

  4. Carvalho, E. (2008). Measuring children's rights: An alternative approach.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s, 16(4), 545-564. 

  5. Cho, H. (2000).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and Implementation of Child Welfare Policy in Korea. Korean Social Science Review. 22(3.4). 187-218. 

  6. Cunha, F., & Heckman, J. J. (2008). Formulating, identifying and estimating the technology of cognitive and noncognitive skill formation. Journal of Human Resources, 43(4), 738-782. 

  7. Hart, S. N., & Zeidner, M. (1993). Children's rights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ors: early findings of a cross national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s, 1. 165-188. 

  8. Hwang, O. (2010). A Study on Children's Rights Education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4(4). 677-706. 

  9. Hwang, S. (1997).Children's rights: a constitution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1(2). 65-82. 

  10. KCCR(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development team for indicators of children's rights. (1999). Indicators of Korean children's wellbeing,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3(2). 5-19. 

  11. Kim, D. (2004). A Study on the Children''s Righ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I., & Lee, C. (2011). Child educare policy. Paju: Kyomunsa. 

  13. Kim, J. (2009). Meaning of care-giving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in care-giving teachers, and its implementation standar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S. (2002). Devlopment and ideas of social welfare.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5. Kim, S., & Kim, H. (2008). A found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2(2). 117-134. 

  16. Lee, H., Kim, Y., Kim, S., & Yoon, H. (2009). A study on developing indicators for children's and youth's rights.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17. Lim, H., Kim, H., & Ahn, J. (2012).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hildren's and youth's rights II (Research report 12-R11).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18. Merey, Z. (2014).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urkey.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6, 3641-3645. 

  19. Na, J. (2010). UNICEF's benchmarks of minimum standards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s rights and a review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4(3), 101-122. 

  20. Oslera, A. (1994).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Educational Review, 46(2) Special Issue: Teacher Education and Equal Rights, 141-150. 

  21. Park, E., & Jang, M. (2014). A comparative study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8 countrie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5(1), 149-180. 

  22. Seo, M., Ahn, H., & Lee, S. (2003). A study on developing Children's Rights Index(Policy report 2003-14).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3. Sung, N. (2013). Constitutional law. Seoul: Bobmunsa. 

  24. UNICEF (2008). The child care transition: A league tab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economically advanced countries(Innocenti Report Card 8). Florence: UNICEF Innocenti Research Centre. 

  25. Wald, M. S. (1979). Children's rights: A framework for analysis. University of.California, Davis Law Review, 12, 255-282. 

  26. Yang, O. (1996). Comparative study of international child care system. Seoul: Changjisa. 

  27. Yi, S., Lee, H., Lee, S., Hwang, H. et al. (2009). Introduction of child edu-care. Seoul: Hakjisa. 

  28. Yi, S., Min, H., Lee, S., Lee, W., Hwang, H. et al. (2013). Child welfare-theories and practices. Seoul: Hakjisa. 

  29. Yoo, H., Kim, E., Hwang, O., & Kim, J. (2011). A study on the reality and improvement of the Rights of the Children in edu-care institutes(Reseaarch report 2011-10).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