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at Child Care Cent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2, 2019년, pp.1 - 19  

박소연 (제주신화월드 어린이집) ,  조인주 (원광대학교 복지보건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eacher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in child care cent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in the Jeonbuk region,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this study, 186 completed questionnaire...

주제어

표/그림 (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에서 2016년 사이에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과태료 부과금액과 건수는?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제63조 제1항 제2호에 의하면, 신고의무자가 아동학대 범죄를 알거나 아동학대가 의심이 되는 경우에 정당한 이유 없이 신고를 하지 않게 되면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지난 2012년에서 2016년 사이에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에게 부과된 과태료는 총 7,080만원으로 53건에 해당되었다(메디컬월드뉴스, 2017. 10.
아동복지법의 기본 이념에 명시되어있는 아동의 기본적인 존엄성 관련 조문은 무엇인가? 아동은 완전하고 조화로운 인격발달을 위하여 안정된 가정환경에서 행복하게 자라나야 한다’고 아동복지법의 기본 이념에 명시되어 있듯이 아동도 성인과 같이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도록 기본적인 존엄성을 존중받아야 한다. 아동을 보호하고 권리를 보장해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정서적, 신체적, 성적 학대에서부터 영아 살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아동학대 사건들을 대중매체를 통해 자주 접하게 될 만큼 아동학대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었다.
아동학대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 이유는? ‘아동은 완전하고 조화로운 인격발달을 위하여 안정된 가정환경에서 행복하게 자라나야 한다’고 아동복지법의 기본 이념에 명시되어 있듯이 아동도 성인과 같이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도록 기본적인 존엄성을 존중받아야 한다. 아동을 보호하고 권리를 보장해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정서적, 신체적, 성적 학대에서부터 영아 살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아동학대 사건들을 대중매체를 통해 자주 접하게 될 만큼 아동학대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었다. 학대를 받는 아동의 연령이 낮을수록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미숙하기 때문에 아동 스스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기 어렵고 보호를 요청하거나 대처할 수 없다는 점 등을 미루어 볼 때 영유아 학대의 피해는 더욱 우려된다(임선희,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상, 유수정 (2014).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145-165. 

  2. 김수정 (2012). 초등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수정, 이재연 (2013a). 초등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 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학회지, 34(3), 39-58. 

  4. 김수정, 이재연 (2013b).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과 권리, 17(2), 205-228. 

  5. 김진선, 박경숙 (2005). 간호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영향요인.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1(2), 211-220. 

  6. 김현주, 박미경 (2018).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영향 요인. 아동과 권리, 22(2), 127-144. doi:10.21459/kccr.2018.22.2.127 

  7. 메디컬월드뉴스. (2017. 10. 16). 최근 5년간(2012-2016년) 연도별 아동학대 신고 건수. http://www.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3675&page16&page16 에서 2019년 3월 2일 인출 

  8. 박미경, 김현주, 강명진 (2015). 초중고등학교 교원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32, 115-135. 

  9.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7). 2016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10. 양명자 (2016). 보육교사의 아동학대인식이 신고의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보호연구, 1(1), 21-49. 

  11. 유영의, 이진희, 임진형 (2013).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아동학대의 심각성과 신고에 대한 인식이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2(3), 123-147. 

  12. 임선희 (2014).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정부규제 평가에 관한 연구-서울소재 민간어린이집 원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조윤정, 신혜령 (2013).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의 아동학대 신고 경험과 인식에 관한 차이 및 신고 행동의 영향요인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4, 213-237. 

  14. 최경일 (2011).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청소년복지연구, 13(1), 27-46. 

  15. 황인옥 (2015).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교육, 24(3), 329-345. 

  16.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doi:10.1016/0749-5978(91)90020-T 

  17.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doi:10.1037/0033-295X.84.2.191 

  18. Ben Natan, M., Faour, C., Naamhah, S., Grinberg, K., & Klein-Kremer, A. (2012). Factors affecting medical and nursing staff reporting of child abus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9(3), 331-337. doi:10.1111/j.1466-7657.2012.00988.x 

  19. Christodoulou, A. D., Abakoumkin, G., & Tseliou, E. (2019). Teachers' intention to report child maltreatment: Testing theoretically derived predictions. Child & Youth Care Forum, 1-15. doi:10.1007/s10566-019-09492-x 

  20. Costello, L. H. (2009). A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child maltreatment and mandatory repor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ton, USA. 

  21. Feng, J. Y. (2003).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A national survey of Taiwanese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Buffalo, USA. 

  22. Feng, J. Y., Huang, T. Y., & Wang, C. J. (2010).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of reporting child abuse in Taiwan. Child Abuse and Neglect, 34(2), 124-128. doi:10.1016/j.chiabu.2009.05.007 

  23. Feng, J. Y. & Levine, M. (2005).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A national survey of Taiwanese nurses. Child Abuse and Neglect, 29(7), 783-795. doi:10.1016/j.chiabu.2004.11.006 

  24. Fraser, J. A., Mathews, B., Walsh, K., Chen, L., & Dunne, M. (2010). Factors influencing child abuse and neglect recognition and reporting by nurses: A multivariat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2), 146-153. doi:10.1016/j.ijnurstu.2009.05.015 

  25. Feng, J. Y. & Wu, Y. W. B. (2005). Nurses'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in Taiwan: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8(4), 337-347. doi:10.1002/nur.20087 

  26. Goebbels, A. F. G., Nicholson, J. M., Walsh, K., & De Vries, H. (2008). Teachers' reporting of suspected child abuse and neglect: Behaviour and determinants. Health Education Research, 23(6), 941-951. doi:10.1093/her/cyn030 

  27. Greytak, E. A. (2009). Are teachers prepared? Predictors of teachers' readiness to serve as mandated reporters of child abu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USA. 

  28. Hinson, J. & Fossey, R. (2000). Child abuse: What teachers in the '90s know, think, and do. Journal of Education for Students Placed at Risk, 5(3), 251-266. doi:10.1207/S15327671ESPR0503_4 

  29. Kenny, M. C. (2001). Child abuse reporting: Teachers' perceived deterrents. Child Abuse and Neglect, 25(1), 81-92. doi:10.1016/S0145-2134(00)00218-0 

  30. Lee, P. Y. (2008). Child abuse and neglect reporting among nurses in Taiwan: professional knowledge, perceptions, attitudes, and self-effic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Brisbane, Australia. 

  31. Walsh, K., Mathews, B., Rassafiani, M., Farrell, A., & Butler, D. (2012). Understanding teachers' reporting of child sexual abuse: Measurement methods matter.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4(9), 1937-1946. doi:10.1016/j.childyouth.2012.06.004 

  32. Waldecker, C. E. (2009). Predicting child abuse reporting practices among school psychologis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 John's University, New York, USA. 

  33. Webster, S. W., O'Toole, R., O'Toole, A. W., & Lucal, B. (2005). Overreporting and underreporting of child abuse: Teachers' use of professional discretion. Child abuse & Neglect, 29(11), 1281-1296. doi:10.1016/j.chiabu.2004.0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