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를 활용한 광주광역시 도시재생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Urban Regeneration in Gwangju-City Using GI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1, 2015년, pp.99 - 107  

이민석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ppropriate approach to urban regeneration by analyzing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the study, residential area of Asia Culture Complex was analyzed based on GIS. The areas concerned were categorized and looked into by their Situation based on the anal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GIS에 의한 공간분석은 지도를 통해서 공간상에서 여러 가지 현상을 파악하거나 공간상에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한다. 지도란 공간상의 의사결정을 위한 기본적인 데이터라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도시를 이루고 있는 요소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보고,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도시재생의 방향을 설정해보고자 한다. 또한 인구감소와 도심외곽으로의 전출로 인해 점차 쇠퇴화 되고 있는 도심지역에 대한 특성을 통해 물리적 사회적 환경개선이 필요한 지역을 도출하고, 도시재생사업의 사각지역으로 전락된 도심쇠퇴지역을 위한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민의 특성, 인구분포, 소득분위, 주택유형 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광주광역시의 도시재생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도시를 이루고 있는 요소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보고,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도시재생의 방향을 설정해보고자 한다. 또한 인구감소와 도심외곽으로의 전출로 인해 점차 쇠퇴화 되고 있는 도심지역에 대한 특성을 통해 물리적 사회적 환경개선이 필요한 지역을 도출하고, 도시재생사업의 사각지역으로 전락된 도심쇠퇴지역을 위한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도시재생사업은 물리적인 조건에 의해서 시행되고 있지만, 해당도시의 잠재력과 물리적인 상황을 토대로 도지재생사업의 방향을 결정해야 하는 것이 향후 미래도시를 위한 주요한 사항이다.
  • 연구방법은 상기 언급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도시재생 쇠퇴지역을 추출하기 위해서 지리정보시스템(GIS)를 활용한 도시·건축적 특성분포도를 작성하여 미래 도시재생지역 및 재생방향을 선정하고, 도시재생의 목표설정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하고자 한다
  • 연구범위는 광주광역시의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인구분포, 연령대별 인구분포를 통해서는 도시지역의 도시민특성을 조사하고, 인구의 소득분위를 통해 사회적 약자 계층이 밀집한 지역을 파악하고, 저층형주거밀집지역과 공시지가변동율을 통해서 도시재생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인구관련 자료는 2013년 국토교통부와 통계청 정보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토지가격은 2006년부터 2013년 국토교통부의 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였다.
  • 또한 인구감소와 도심외곽으로의 전출로 인해 점차 쇠퇴화 되고 있는 도심지역에 대한 특성을 통해 물리적 사회적 환경개선이 필요한 지역을 도출하고, 도시재생사업의 사각지역으로 전락된 도심쇠퇴지역을 위한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민의 특성, 인구분포, 소득분위, 주택유형 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광주광역시의 도시재생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택재개발·재건축사업이 지역의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재생으로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는 과정에서 어떤 문제가 있는가? 그리고 도시재생은 점차 신도시 개발이 아닌 주택재개발·재건축사업이 지역의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재생으로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재생사업이 필요한 지역을 지정하고 개발하기 위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지만, 실제 도시재생사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지역이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았거나 잘못 지정된 곳이 있으며 어떠한 방법과 기준으로 문제를 해결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합리적인 방향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재생은 언제를 기점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가? 현재 도시재생은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13년, 이후 도시재생법)제정이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도시재생사업은 각각 지역의 특성에 맞추어진 사업유형과 모델에 따라 도시재생활성화 지역을 선정하고 도시재생활성화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도시재생사업은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가? 현재 도시재생은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13년, 이후 도시재생법)제정이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도시재생사업은 각각 지역의 특성에 맞추어진 사업유형과 모델에 따라 도시재생활성화 지역을 선정하고 도시재생활성화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재생은 점차 신도시 개발이 아닌 주택재개발·재건축사업이 지역의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재생으로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im, Y. P. & Im, E. S. (2004). Application of GIS-based spatial Analysis Methodology (KRIHS 2004-35). Anyang-city, Kyonggido; KRIHS. 

  2. KPA (2010). Space information Utilization GIS for Urban Planning and Administration. Seoul; Boseonggak. 

  3. KURC (2012). The New Idea for the Urban Regeneration System, Seoul; Paju-City Kyonggido; Hanul Academy. 

  4. Lee, G. R., Cho, H. J., & Lee, M. S. (2008). A study on site selecting process for urban regeneration. Korea Planners Association, 2008(6), 283-291. 

  5. Lee, M. S. (2013). A Study on the Regeneration of Urban Residential Area using GIS-Focused on Seoul Rental Housing District.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2), 265-274. 

  6. Oh, K. S., & Jong, S.H. (2013). GIS for Urban Spatial Analysis. Paju-City Kyonggido; Hanul Academy. 

  7. Won, J. M. (2012). The Urban Regeneration Theory and Experience. Seoul; Jokyeong. 

  8. http://www.biz-gis.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