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문화콘텐츠 창제작 프로젝트 기반 수업 :신촌 도시재생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PBL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Project Based Learning for University-Led Urban Regeneration: A Case Study on the Strategic Communication Campaign Class for the Sinchon Regeneration Projec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2, 2020년, pp.207 - 215  

유승철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정광희 ,  류정민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고PR을 포함한 문화콘텐츠 응용학문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이하 PBL)에 대한 수요가 날로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전략 커뮤니케이션 캠페인'과목을 PBL 방식으로 두 학기 동안 진행한 후 수업 프로젝트가 목표한 성과를 측정하고 관련된 요인 구조를 파악했다. 구체적으로,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 도시재생'을 주제로 진행된 프로젝트 기반수업에서 수강생 대상으로 학기 초와 말에 두 차례 진행한 사전-사후 설문 분석결과 본 수업에서 주요 변수로 간주한 '신촌에 대한 장소애착'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수업의 지적효용, 수업의 즐거움, 수업만족과 장소애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토한 결과 수업만족이 장소애착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했다. 수업성적은 장소애착에 직접적 영향을 행사하지만 타 변인들과의 영향관계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창제작 분야 PBL 수업 실제 사례를 다룬 연구로 문화콘텐츠 영역 PBL 학술연구뿐 아니라 대학교육 현장에서 PBL을 실제 적용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가 대학들에 PBL 교수법을 확산시킴으로써 문화콘텐츠 관련 전공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청년들의 취창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도 일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 함의가 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BL in a college AD/PR class. This class was run under the theme of 'Sinchon Regeneration Project' in the 'Seodaemun-gu & University Collaborative Project Program'. As a result of the pre-post surveys, the authors found a significant incr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Relph[24]의 연구에 의하면, ‘친밀감’이라는 감정이 특정 장소에서 ‘공동’이라는 연대감을 느끼게 만든다. 또, 친밀감을 통해 장소를 궁금해 하게 되고, 일상과는 다른 특별한 곳으로 기억되며 그 기억을 타인과 공유하게 된다[25] 본 연구는 PBL을 통해 지역재생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이 얼마나 장소애착을 형성하게 되었는지를 측정해 지역-대학 연계 수업을 통한 지역사회 소속감 증진을 확인하려고 했다. 구체적으로, 학생들 스스로 직접 지역을 방문하고 발로 뛰며 ‘장소’에 대한 연구와 고민을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장소애착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 했다.
  • 본 연구는 지역재생을 주제로 진행된 전략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수업에서 학생들의 수업만족이 프로젝트 주제 지역에 대한 장소애착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를 탐색하려고 한다. 장소애착에 주목한 이유는 소위 대학촌이라고 불리는 신촌의 주요 구성원이 대학생들이지만 최소 4년 이상의 젊은 황금기를 보내는 지역사회라는 무대에서 대학생들은 자신을 ‘주인’이 아니라 ‘손님’ 이자 ‘방관자’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가설 설정

  • RQ 2: PBL에서 수업의 지적효용과 수업의 즐거움은 수업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Analytical Evaluation Report". 2019.02.01. http://www.nabo.go.kr/ 

  2. H. J. Ju & H. J. Ju, "The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Unemployed Youth in Korea: Focusing on Youth Panel Data", Korea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Review, 16(2), pp51-74, 2017. 

  3. S. H. Lee, "Cases of Project-Based Learning in Japanese Communication Classes", The Center for Japanese Studies, 34, pp61-76, 2013. 

  4. E. H. Koh & S. S. Yang.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Attitude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Non-cognitive Results in Action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4(2), pp477-501, 2012. 

  5. G. H Bang, H. M. Park, Y. I. Kim, S. S. Lee & G. R. Park, "Development of Project-based Learning Model for Promot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n Practical Arts Subject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28 No.4, pp287-304, 2015. 

  6. 이성, 진미석, 손유미, 김형숙, 봉현철, 고수일 & 장경원, "자기관리와 미래준비", 경문사, 2011. 

  7. E. H. Koh, "Research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of Faculty with Action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25, pp69-94, 2013. 

  8. I. H. Lee & S. C, Kwon, "A Case Study of the Action Learning-Based General Arts Education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7 No.4, pp207-252, 2013. 

  9. K. C, Hong, "A Case Study on the Action Learning for College Classes", The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Vol.11 No.2, pp63-89, 2015. 

  10. J. W. Kim, "A Study of Advertisement Businessmen's Perceptions of Advertisement Education in Colleg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7 No.11, pp193-204, 2007. 

  11. K. H. Han & J. H. Moon,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College Education in the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Major - Case Analyses of the Curriculums of Korean and U.S. Universities Based on Seven Key Cod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Vol.18 No.1, pp193-214, 2016. 

  12. J. S. Park, H. S. Lee & M. H. Se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Future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Education : Comparing Korea and USA". Advertising Research, No.115, pp120-142, 2017. 

  13. Etzkowitz, H, "The future of the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the future: Evolution of ivory tower to entrepreneurial paradigm". Research Policy, Vol 29, Issue 2, pp313-330, 2000. 

  14. D. B. Yeom, "Community Regeneration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Korean Association of Governmental Studies Academic presentation, pp155-183, 2013. 

  15. C. Y. Kim,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i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 - Focusing on Case Studies of Collaboration Planning Program between Local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in Japa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Vol.14 No.5, pp65-78, 2013. 

  16. H. J. Yeo, H. K. Kim, J. I. Lee, & U. Lim, "University-Community Partnership and Regenerating", Urban Information Service, No.338 pp3-15, 2010. 

  17. Seodaemun-gu Office, "Seodaemun-gu University-community related Class Progress Report(Internal data)". Seodaemun-gu Urban Regeneration team. ( $\divideontimes$ Internal data is cited after obtaining permission), 2019. 

  18. S. Y. Roh, "A Study on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Dance Sports Participants ".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2002. 

  19. K. I. Jung & J. K. Ko, "The emotion of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on Relation to the Typ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Journal of Institute of School Health & Physical Education, Vol.16, No.1, pp405-416, 2009. 

  20. E. J. Kim, "Examining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or Learning Engagement and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ume 16, Number. 1/4, pp107-129, 2015. 

  21. J. H. Cho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tudents' Engagement with Classroom Activiti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2, pp1-22, 2004. 

  22.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Definition of "Attachment", 2019. 06. 07.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pageSize10&searchKeyword%EC%95%A0%EC%B0%A9# 

  23. Brown, B. B., & Perkins, D. D. "Disruptions in place attachment. In Place attachment", Springer, Boston, MA,pp 279-304, 1992. 

  24. Relph, E.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Limited, 1976. 

  25. Low, S. M., & Altman, I, "Place attachment. In Place attachment" , Springer, Boston, MA, pp. 1-12, 1992. 

  26. Y. J. Joo, N. Y. Kim, & H. K. Cho,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Online Task Valu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Cyber Education",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Broadcasting, Vol. 14. No.3, pp115-135, 2008. 

  27. S. S. Kim, "Optimizing measurement conditions for students; evaluation of e-learning system using generalizability study".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Evaluation, Vol. 19, pp305-322, 2006. 

  28. H. Y. Kiim, & B. W. Lee, "A Study of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web-based course at Cyber University; an exploratory analysis",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Vo.35, pp409-429, 2004. 

  29. H. J. Park, M. S. Choi & G. M.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yber Course Evaluation Tool",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Evaluation, Vol. 19 pp203-223, 2006. 

  30. Pine, B. J., & Gilmore, J. H,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6, pp97-105, 1998. 

  31. Y, M. Kwon, "The Influence of Experien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Cultural Industry, Vo.10, No.3, 2010. 

  32. Ramkissoon, H., Smith, L. D. G., & Weiler, B, "Testing the dimensionality of place attachment and its relationships with place satisfac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u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Tourism management, Vol 36, pp552-566, 2013. 

  33. Kyle, G. T., Mowen, A. J., & Tarrant, M, "Linking place preferences with place meaning: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motivation and place attach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 24, Issue 4, pp439-454, 2004. 

  34. Hwang, H., & Takane, Y, "Generalized structured component analysis: A component-based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hapman and Hall/CRC, 2014. 

  35. Tenenhaus, M, "Component-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otal quality management, Vol 19, Issue7-8, pp871-886, 2008. 

  36. Hwang, H., Jung, K., & Kim, S, "WEB GESCA (Version 1.5)" [Software]. Available from http://sem-gesca.com/webgesca/, 2019. 

  37. Y. H. Park, Y.G. Cho & Y. J. Ahn, "대University and Regional Development : Reviews and Prospect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36, No.4, pp418-433, 2001. 

  38. D. H. Oh & K. H. Kwon, "A Case Study on the Regions Where Urban Regenerations were Tied by City Marketing through Culture". Journal of korean Planning Association, Vol. 42, No.5, pp109-1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