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근을 첨가한 쉰다리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hindari Added with Carrot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1, 2015년, pp.9 - 17  

김소연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은진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indari is a traditional fermented drink of Jeju in Korea, which is made with boiled barley and nuruk for short fermentation periods. This study determined 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modified Shindari with 15% carrots as an additive (carrot Shindari), and this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 전통 음료인 쉰다리의 기본 제조법을 바탕으로 하고 여기에 부재료로 당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당근 쉰다리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당근 쉰다리는 알코올 함량이 거의 없으면서도 발효 과정을 통하여 증식한 젖산균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요구르트처럼 섭취할 수 있는 발효 음료로의 제조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 전통 음료인 쉰다리의 기본 제조법을 바탕으로 하고 여기에 부재료로 당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당근 쉰다리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당근 쉰다리는 알코올 함량이 거의 없으면서도 발효 과정을 통하여 증식한 젖산균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요구르트처럼 섭취할 수 있는 발효 음료로의 제조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쉰다리는 발효시간이 하루 정도로 짧은 것이 특징인 제주의 전통 발효음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쉰다리를 바탕으로 하고 여기에 당근을 첨가한 당근 쉰다리를 제조한 후 발효 전 후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그리고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여 그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30°C에서 24시간 발효 후 pH는 발효 전 일반 쉰다리와 당근 쉰다리의 각각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쉰다리란 무엇인가? 쉰다리란 제주지역의 전통 식품 중 하나로 순달이 또는 단술로 불린다. 제주는 예로부터 토양이 척박하여 벼농사가 어려웠기 때문에 쌀보다는 보리를 주식으로 하였는데, 먹다 남은 보리밥의 보관이 어려울 때 이를 이용하는데서 유래하였다(Oh YJ 2009).
쉰다리의 제조방법은? 제주는 예로부터 토양이 척박하여 벼농사가 어려웠기 때문에 쌀보다는 보리를 주식으로 하였는데, 먹다 남은 보리밥의 보관이 어려울 때 이를 이용하는데서 유래하였다(Oh YJ 2009). 쉰다리는 찬 보리밥에 누룩을 첨가하여 단기간 발효시킨 후 체에 걸러 끓이거나 그대로 단맛을 첨가하여 음용하였다. 짧은 발효기간으로 인해 도수가 1% 내외로 낮고 신맛과 단맛이 강하여 주로 여름철 음료로 이용하였다(Oh YJ 2009).
일반 쉰다리와 당근 쉰다리의 발효 전 후로 총 산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음에도 pH의 감소는 미미한 이유는 무엇인가? 7배, 5배 증가로 시험군이 대조군보다 총 산도의 증가폭이 높았다는 결과와 유사하다(Kim EK 등 2013b). 발효액의 총 산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pH의 감소가 미미한 이유는 미생물의 발효작용으로 단백질이 분해되어 생성된 아미노산 등이 완충능력을 상승시켜 pH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Jeon MH와 Lee WJ 2011, Yang HS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man P, Graham H. 1987. Analysis of total and insouble mixedlinked (1 $\rightarrow$ 3), (1 $\rightarrow$ 4)- $\beta$ -glucans in barley and oats. J Agr Food Chem 35(5):704-709 

  2. Baranski R, Allender C, and Klimek-Chodacka M. 2012. Towards better tasting and more nutritious carrots: Carotenoid and sugar content variation in carrot genetic resources. Food Res Int 47(2):182-187 

  3. Barbara O, Schneeman BO. 1989. Dietary fiber. Food Technol 43:133 

  4. Borges S, Barbosa J, Silva J, Teixeira P.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Pediococcus spp. to be used as a vaginal probiotic. J Appl Microbiol 115(2):527-538 

  5. Cheon JE, Baik MY, Choi SW, Kim CN, Kim BY. 2013. Optimization of Makgeolli manufacture using several sweet potatoes. Korean J Food Nutr 26(1):29-34 

  6. Cho HK, Lee JY, Seo WT, Kim MK, Cho KM.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during Makgeolli fermentation by purple sweet potato-rice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44(6):728-735 

  7. Fotherby MD, Williams JC, Forster LA, Craner P, Ferns GA. 2000. Effect of vitamin C on ambulatory blood pressure and plasma lipids in older persons. J Hypertens 18(4):411-415 

  8. Hamilton IMJ, Gilmore WS, Benzie IFF, Mulholland CW, Strain JJ. 2000. Interactions between vitamins C and E in human subjects. Brit J Nutr 84(3):261-267 

  9. Jang DB, Park SK, Lee HJ, Pyo SE, Lee HS. 2013. Isolation of the alcohol-tolerant lactic acid bacteria Pediococcus acidilactici K3 and S1 and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4):442-448 

  10. Jeon MH,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3):444-449 

  11. Jeong JW, Park KJ, Kim MH, Kim D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fermentation by addition of chestnut peel powder.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12(3):329-336 

  12. Jo HK, Lee JY, Seo WT, Kim MK, Jo KM.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during Makgeolli fermentation by purple Sweet Potato-rice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44(6):728-735 

  13. Jo SJ, Oh SM, Jang EK, Hwang K, Lee SP.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rot juice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2):210-216 

  14. Kim BH, Eun JB. 201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adde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4):417-421 

  15. Kim BS, Kang SK, Park NH, Oh MS, Oh S, Ko DO, Park YK. 2010.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using sweetbarley. 2010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10:268 

  16. Kim DK, Baik MY, Kim HK, Hahm YT, Kim BY. 2012. Manufacture of the red ginseng vinegar fermented with red ginseng concentrate and rice wine, and its quality evalu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2):179-184 

  17. Kim EK, Chang YH, Ko JY, Jeong YH. 2013a.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mulberry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0):1682-1689 

  18. Kim EK, Chang YH, Ko JY, Jeong YH. 2013b.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dded with kiwi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1):1821-1828 

  19. Kim GW, Lee JH, Lee SA, Shim JY. 2012. Brewing characteristics of Grape-Makgeolli. Food Eng Prog 16(3):263-269 

  20. Kim HS. 2011. Quality properties of saccharified schindari added with citrus juice. Master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 40 

  21. Kim SC. 1998. Changes in components of the porridge with rice flour, Shuindari, during fermentation. Master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p 3-5 

  22. Kim SC, Kim HS, Kang YJ. 1998. Changes of components in the rice-porridge fermented by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5):1017-1021 

  23. Kim SH, Park JM, Yoon HS, Song DN, Song IG, Eom HJ. 2013. Phys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added Paprika. Korean J Food Sci Technol 45(5):578-582 

  24. Kim SK, Lee EJ, Park KY, Jun HK. 1998.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curvatus SE1 isolated from Kimchi. J Microbiol Biotechnol 8(6):588-594 

  25. Kim YK, Bai YH, Yoon S. 1990.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fruit-vegetable juice. Korean J Soc Food Sci 6(4):59-68 

  26. Kim YH, Min JH, Kang MG, Kim JH, Ahn BH, Kim HK, Lee JS.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korean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0(4):325-332 

  27. Ko SB, Kang KS. 2010. Problems in Cheju carrot marketing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17(4):133-159 

  28. Lee HC, Koo YJ, Shin DH. 1988. Mixed culture fermentation of steamed barley by a tri-culture system. Korean J Food Nutr 1(2):56-63 

  29. Lee HN, Lee JM, Chang Y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ranberri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1):85-91 

  30. Lee HS, Park YS, Bai D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Rice Wine) fermented with Koji by starch types. Food Eng Prog 18(3):214-221 

  31. Lee JM, Lee HN, Chang Y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using Angelica gigas nakai water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3):332-340 

  32. Lee JS, Lee TS, Park SO, Noh BS. 1996.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 316-323 

  33. Lee KD, Chang HG, Kim H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3):432-436 

  34. Lee MJ, Jang BS, Jeong NH. 2012. Application as a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of carrot glycoprotein. J Korean Oil Chemists Soc 29(2):257-267 

  35. Lee SH. 2005. Optimization of processing conditions for improving the carotenoid stability of carrot. J Sci Culture 2(1): 399-410 

  36. Lee TJ, Hwang DY, Lee CY, Son HJ. 2009.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 45(4):391-396 

  37. Mill MB, Daron CM, Roe JH. 1949. Ascorbic acid, dehydroascorbic acid and diketogluconic acid in fresh and processed foods. Anal Chem 29:707-710 

  38. Oh YJ. 2009. Jeju Traditional Food Fermentation culture in environment of east asia. J Cheju Studies 32:157-203 

  39. Oh YS, Hwang JH, Oh HJ, Lim SB.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ixed citrus and carrot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5):598-604 

  40. Park SY, Ko YT, Lee JY, Mok CK, Park JH, Ji GE. 1997. Fermentation of carrot juice by Bifidobacterium. Korean J Food Sci Technol 29(3):571-575 

  41. Seung JK, Ahn TY, Sohn JH. 2012.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in Makgeolli fermentation using PCR-DGGE. J Life Sci 22(2):232-238 

  42. Son MJ, Son SJ, Lee SP.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rot juice containing Phellinus linteus extract and beet extract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6):798-804 

  43. Son SJ, Son MJ, Lee SP. 2008. An application of fermented carrot juice as a food material. 2008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Yang HS, Eun JB. 2011.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liquor (Makgeolli) added with citron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4):438-445 

  45. Yang HS, Hwang SJ, Lee SH, Eun JB. 201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dried citron peel. Korean J Food Sci Technol 43(5):603-610 

  46. Yook C, Whang YH, Pek UH, Park KH. 1990. Preparation of Shikhae with starch hydrolysing enzymes/Malt mixture in Tea-bag. Korean J Food Technol 22(3):296-2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