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조류 4종(Chlorella vulgaris, Nitzschia sp., Phaeodactylum tricornutum, Skeletonema sp.)의 성장에 미치는 발광다이오드 단일파장의 영향
Effect of Monochromatic Light Emitting Diode on the Growth of Four Microalgae Species (Chlorella vulgaris, Nitzschia sp., Phaeodactylum tricornutum, Skeletonema sp.)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1 no.1 = no.66, 2015년, pp.1 - 8  

오석진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권형규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  전진영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양한섭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규조류 Nitzschia sp., Phaeodactylum tricornutum, Skeletonema sp.와 녹조류 Chlorella vulgaris의 성장에 미치는 발광다이오드(LED) 단일파장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4종의 미세조류는 청색 LED(450 nm), 황색 LED(590 nm), 적색 LED(650 nm) 그리고 형광램프(복수파장)에서 배양하였다. Nitzschia sp., P. tricornutum 그리고 Skeletonema sp.의 최대성장속도와 최대세포밀도는 청색 LED에서 가장 높았고 형광램프, 적색 LED, 황색 LED 순이지만, C. vulgaris는 적색 LED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청색 LED는 다른 파장에 비해서 규조류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미세조류의 단일파장 하에서 성장속도는 종 특이성 또는 분류군 특이성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향후 LED와 미세조류를 활용한 중금속 오염 퇴적물의 복원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nochromatic light emitting diode (LED) on the growth of diatoms Nitzschia sp., Phaeodactylum tricornutum, Skeletonema sp. and green algae Chlorella vulgaris. The four microalgae species were cultured under blue LED (450 nm), yellow LED (590 nm), red LED (650 nm) an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 그리고 퇴적물의 고농도의 독성물질(암모니아, 황화수소, 중금속 등)에 대한 내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규조류 Skeletonema costatum 및 저서성 미세 조류 Nitzschia sp.(Metaxas and Lewis, 1991; Kwon, 2013)의 LED 파장과 광량에 따른 미세조류의 광학적 특성을 파악하며, LED와 미세조류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중 중금속의 생물학적 제거 가능성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광다이오드의 특징은 무엇인가? 미세조류를 배양함에 있어 광원의 선택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전까지는 광원으로 주로 태양광, 형광등, 할로겐 금속 램프와 같은 전체 스펙트럼의 인공광원이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이러한 광원들을 LED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LED는 양과 음의 성질을 띠는 두 개의 화합물을 접합하여 전기가 흐르면 빛이 발생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접합하는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빛의 파장이 달라져 이론적으로는 모든 파장대의 빛을 구현해 낼 수 있다. 특히, LED는 식물의 광합성 및 성장에 필요한 파장역을 단일 또는 혼합하여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며, 빛 조사시간 동안 분 단위 또는 초 단위의 간헐적인광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LED는 육상식물의 육성을 위한 인공광원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세조류의 배양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광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Wang et al., 2007; Xue et al.
빛의 파장이 미세조류에 가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처럼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기반으로 하는 생명체이므로 무엇보다도 광 관련 인자 즉, 빛의 파장 및 광량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빛의 파장은 광합성 색소의 조성, 광합성 속도, 세포 내 생화학적 조성, 성장속도, 이온 수송, 영양염 흡수속도, 세포외 배출, 효소활성에 관여하는등 미세조류의 생리적인 측면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Wallen and Geen, 1971; Vesk and Jeffrey, 1977; Grotjohann et al., 1991; Schimid and Dring, 1996; Sάnchez-Saavedra and Voltolina, 1996; Oh et al.
미세조류의 특징은 무엇인가? 미세조류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을 유기물로 합성하는 광합성 작용을 하며, 부산물로 산소를 방출한다. 이처럼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기반으로 하는 생명체이므로 무엇보다도 광 관련 인자 즉, 빛의 파장 및 광량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rkipo G. E., M. E. Kja and L. O. Ogbonnaya(2004), Cd uptake by the green alga Chlorella emersonii, Global J. Pure Appl. Sci., Vol. 10, pp. 257-262. 

  2. Baba, M., F. Kikuta, I. Suzuki, M. M. Watanabe and Y. Shiraiwa(2012), Wavelength specificity of growth, photosynthesis, and hydrocarbon production in the oil-producing green alga Botryococcus braunii, Biores. Technol., Vol. 109, pp. 266-270. 

  3. Brand, L. E., R. R. L. Guillard and L. S. Murphy(1981), A method for the rapid and precise determination of acclimated phytoplankton reproduction rates, J. Plankton Res., Vol. 3, pp. 193-201. 

  4. Butler, A.(1998),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transition metal ions by marine organisms, Science, Vol. 281, No. 5374, pp. 207-209. 

  5. Carvalho, A. P., S. O. Silva and J. M. Baptista(2011), Light requirements in microalgal photobioreactors; an overview of biophotonic aspects, Appl. Microbiol. Biotechnol., Vol. 89, pp. 1275-1288. 

  6. Fraile, A., S. Penche, F. Gonzalez, M. L. Blazquez, J. A. Munoz and A. Ballester(2005). Biosorption of copper, zinc, cadmium and nickel by Chlorella vulgaris. Chem. Ecol., Vol. 21, pp. 61-75. 

  7. Fu, W., O. Guomundsson, G. Paglia, G. Herjolfsson, O. S. Andresson, B. O. Palsson and S. Brynjolfsson(2013), Enhancement of carotenoid biosynthesis in the green microalga Dunaliella salina with light-emitting diodes and adaptive laboratory evolution,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 97, No. 6, pp. 2395-2403. 

  8. Gostan, J., C. Lechuga-Deveze and L. Lazzara(1986), Does blue light affect the growth of Chaetoceros protuberans (Bacillariophyceae), J. Phycol., Vol. 22, pp. 63-71. 

  9. Grotjohann, R., M. Rho and W. Kowallik(1991), Influences of blue and red light on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of Chlorella kesslery, Bot. Acta, Vol. 108, pp. 168-173. 

  10. Guillard, R. R. L. and J. H. Ryther(1962), Studies of marine planktonic diatoms Cyclotella nana Hustedt and Detonula conjervaces (Cleve) Gran, Can. J. Microbiol., Vol. 8, pp. 223-239. 

  11. Gupta, V. K. and A. Rastogi(2008), Biosorption of lead from aqueous solutions by green algae Spirogyra species: kinetics and equilibrium studies, J. Hazard Mater., Vol. 152, pp. 407-414. 

  12. Jeffrey, S. W. and M. Vesk(1977), Effects of blue-green light on photosynthetic pigments and chloroplasts structure in the marine diatom Stephanopyxis turris, J. Phycol., Vol. 13, pp. 271-279. 

  13. Jeon, Y. C., C. W. Cho and Y. S. Yun(2005), Measurement of microalgal photosynthetic activity depending on light intensity and quality, Biochemical Engineering Journal, Vol. 27, No. 2, pp. 127-131. 

  14. Katsuda, T., A. Lababpour, K. Shimahara and S. Katoh(2004), Astaxanthin production by Haematococcus pluvialis under illumination with LEDs,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Vol. 35, No. 1, pp. 81-86. 

  15. Kianianmomeni, A. and A. Hallmann(2014). Algal photoreceptors: in vivo functions and potential applications, Planta, Vol. 239, pp. 1-46. 

  16. Kim, T. H., Y. H. Lee, S. H. Han and S. J. Hwang(2013), The effects of wavelength and wavelength mixing ratios on microalgae growth and nitrogen, phosphorus removal using Scenedesmus sp. for wastewater treatment. Biores. Tech., Vol. 130, pp. 75-80. 

  17. Kwon, H. K.(2013), A study on phytoremediation of eutrphic coastal sediments using benthic microalgae and light emitting diode. Ph. D. Thesis, Pukyung National University, Busan, p. 255. 

  18. Kwon, H. K., S. J. Oh and H. S. Yang(2013), Growth and uptake kinetics of nitrate and phosphate by benthic microalgae for phytoremediation of eutrophic coastal sediments, Bioresource technology, Vol. 129, pp. 387-395. 

  19. Lederman T. C. and P. Tett(1981), Problems in modeling the photosynthesis-light relationship for phytoplankton, Bot. Mar., Vol. 24, pp. 125-134. 

  20. Matthijs, H. C., H. Balke, U. M. Van Hes, B. Kroon, L. R. Mur and R. A. Binot(1996), Application of light-emitting diodes in bioreactors: flashing light effects and energy economy in algal culture (Chlorella pyrenoidosa), Biotechnol Bioeng., Vol. 50, pp. 98-107. 

  21. Menon, K. R., R. Balan and G. Suraishkumar(2013). Stress induced lipid production in Chlorella vulgaris: Relationship with specific intracellular reactive species levels. Biotechnol. Bioeng., Vol. 110, pp. 1627-1639. 

  22. Metaxas, A. and A. G. Lewis(1991). Copper tolerance of Skeletonema costatum and Nitzschia thermalis. Aqua. toxic., Vol. 19, pp. 265-280. 

  23. Monteiro, C. M., P. M. L. Castro and F. X. Malcata(2011), Biosorption of zinc ions from aqueous solution by the microalgae Scenedesmus obliquus, Environ. Chem. Lett., Vol. 9, pp. 169-176. 

  24. Oh, S. J., I. S. Kang, Y. H. Yoon and H. S. Yang(2008), Optical Characteristic on the Growth of Centric Diatom, Skeletonema costatum(Grev.) Cleve Isolated from Jinhae Bay i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Vol. 26, No. 2, pp. 57-65. 

  25. Oh, S. J., Y. H. Yoon, D. I. Kim, Y. Shimasaki, Y. Oshima and T. Honjo(2006), Effects of Light Quantity and Quality on the Growth of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Algae, Vol. 21, No. 3, pp. 311-316. 

  26. Sanchez-Saavedra, M. P. and D. Voltolina(1996), Effect of blue-green light on growth rat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ree diatoms,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Vol. 8, No. 2, pp. 131-137. 

  27. Schimid, R. and M. J. Dring(1996), Blue light and carbon acquisition in brown algae: an overview and recent developments, Sci. Mar., Vol. 60, pp. 115-124. 

  28. Shih, S. C. C, N. S. Mufti, M. D. Chamberlain, J. Kim and A. R. Wheeler(2014), A droplet-based screen for wavelength -dependent lipid production in algae, Energy Environ. Sci., Vol. 7, pp. 2366-2375. 

  29. Shikata, T., A. Nukata, S. Yoshikawa. T. Matsubara, Y. Yamasaki, Y. Shimasaki, Y. Oshima and T. Honjo(2009), Effects of light quality on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meroplanktonic diatom blooms in a eutrophic shallow sea. Mar. Biol., Vol. 156, pp. 875-889. 

  30. Takano, H., T. Arai, M. Hirano and T. Matsunaga(1995), Effects of intensity and quality of light on phycocyanin production by a marine cyanobacterium Synechococcus sp. NKBG 042902. Appl. Microb. Biotech., Vol. 43, pp. 1014-1018. 

  31. Torres, E., A. Cid, C. Herrero and J. Abalde(1998), Removal of cadmium ions by the marine diatom Phaeodactylum tricornutum Bohlin accumulation and long-term kinetics of uptake. Biores. Technol., Vol. 63, pp. 213-220. 

  32. Vesk, M. and S. W. Jeffrey(1977), Effect of blue-green light on photosynthetic pigments and chloroplast structure in unicellular marine algae from six classes, J. Phycol., Vol. 13, pp. 280-288. 

  33. Wallen, D. G. and G. H. Geen(1971), Light quality in relation to growth, photosynthetic rates and carbon metabolism in two species of marine plankton algae, Mar. Biol., Vol. 10, pp. 34-43. 

  34. Wang, C. Y., C. C. Fu and Y. C. Liu(2007), Effects of using light-emitting diodes on the cultivation of Spirulina platenesis, Biochem. Eng. J., Vol. 37, pp. 21-25. 

  35. Xu, B., P. Cheng, C. Yan, H. Pei and W. Hu(2013), The effect of varying LED light sources and influent carbon/nitrogen ratios on treatment of synthetic sanitary sewage using Chlorella vulgaris, World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 29, No. 7, pp. 1289-1300. 

  36. Xue, S., Z. Su. and W. Cong(2011). Growth of Spirulina platensis enhanced under intermittent illumination. J. Biotech., Vol. 151, pp. 271-277. 

  37. Yan, C., X. Luo and Z. Zheng(2013), Effects of various LED light qualities and light intensity supply strategies on purification of slurry from anaerobic digestion process by Chlorella vulgaris, Inter. Biodeter. Biodegra., Vol. 79, pp. 8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