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영재의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 특성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Summarized Activities using Science Notebook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4 no.1, 2015년, pp.46 - 57  

조영석 (적서초등학교) ,  강호감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riting styles and features of science writing by using science notebook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37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in P city. The preliminary 1 hour instruction was conducted to ex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영재의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의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교육의 목적은? 영재교육의 목적은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조기에 발굴하여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고,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며,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 하게 하는 것이며(Ministry of Education, 2013), 그 중에서도 과학영재교육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자율적으로 탐구하는 능력, 지도력 등을 계발하는 것이다(Korea Edu- 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2).
과학 글쓰기의 방법으로 이용하는 방법은? 과학 글쓰기의 방법으로 교사가 제공하는 학습지를 이용하거나, 실험관찰, 다양한 유형의 과학 공책, 과학 일지 또는 과학(관찰) 일기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 과학 노트는 학생들이 과학 수업 중에 또는 수업 이후에 학생 수준에 맞게 스스로 수업을 통해 알게 된 것과 더 알고 싶은 것을 자유 로운 형식으로 정리하고, 자신의 활동을 되돌아보면서 검토, 반성해 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Lee, 2011).
영재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인 수업 모형은? 이처럼 영재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이며, 이를 개발하기 위한 수업 모형 및 방법의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인 수업 모형으로는 Creative Problem Solving(CPS) 모형과 프로젝트 학습 모형이 있다(Woo et al., 2000). 또한, 쓰기는 창의적이고 종합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문제해결력을 함양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 중의 하나였다(Kim, 2003). 과학 수업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글쓰기를 강조하는 이유는 글을 잘 쓰는 능력을 키우기 보다는 과학 글쓰기를 수단으로 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의사 결정력과 같은 통합적인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이다(Park,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utler, M. & Nesbit, C. (2008). Using science notebooks to improve writing skill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Science Activities, 44(4), 137-146. 

  2. Cheon, J. H. (2006). Science writing activities for developing scientific thinking.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3. Chesbro, R. (2006). Using interactive science notebooks for inquiry-based science. Science Scope, 29(7), 30-34. 

  4. Choi, Y. K. (2011). The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expressive writing in the wrap-up phase in the science classes.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 Do, H. A. (2010). Effects of drawing based note-taking activity in science learning.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Jeon, R. N. (2013). The effects of argument level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apply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teaching methods.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7. Ji, Y. S. (2006). The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science writing activities on 'Earth and Moon' unit. Master's thesis,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8. Kim, K. M. (2010). A study on difference of classification ability between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Kim, M. H. (2013). The effect of the worksheet with emphasis on writing and self-note activity shown in the 1st grade students' science education of middle school.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Kim, O. J. (2003). Study on writing education for creativity improvement. Master's thesis, Kook Min University. 

  11. Klentschy, M. & Micheal, P. (2005). Science notebook ESSENTIALS. Science & Children, 43(3), 24-27. 

  12.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2). A study of operation guideline development for science curriculum for the gifted (I). 

  13. Kwak, M. S. (2007). Th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 of elementary students through science journal writing.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 Lee, S. J. (2011). Effects of science education using students' science-learning-notebook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5. Lee. J. Y. (2009). The effects of verbal analogy activities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attitude through scaffolding.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Ministry of Education (2013).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17. Park, E. Y. (2011). The influence of drawing graphs in science experiments on elementary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concepts and science process skill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8. Park, H. J. (2013).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focused on science writing to enhanc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examination of its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9. Park, J. H. (2009). The investigation about using mind mapping i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lessons.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 Park, K. K. (2011). Effects of lessons with the explanatory diagram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1. Shin, S. Y. (2010). The effects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teaching on summary writing, cognitive levels and the achivement of learning.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2. Son, J. W. (2009). The study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cience writing. Journal of The Korean Science Education Society for the Gifted, 1(3), 21-32. 

  23. Woo, J. H. (2003). The implications of illustrative note making for creativity and academic accomplishment in science classe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Woo, J. W., Kim, S. H. & Kang, S. W. (2000).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structional model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3(1), 1-28. 

  25. Yun, J. H. (2009). Analysis of writing patterns appeared in the science writing activities for the sixth grader.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