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북지역 유치원교사의 식생활교육 실태와 연수 요구도
Status and Training Demand on Dietary Educ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in Jeonbuk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4 no.1, 2015년, pp.137 - 148  

박은숙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operation and demand of dietary education in Jeonbuk province. The study was carried out using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s were 148 kindergarten teachers. The question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북 지역에 재직 중인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재직 경력과 연수 경험에 따라 식생활교육 실태와 식생활교육 연수 요구도를 알아보아 식생활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들은 식생활교육의 필요성을 인지와 달리 식생활교육 실시비율의 괴리는?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91.9%는 영양교육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실시율은 65.6%였으며(Suh & Kim, 1998), 경남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 필요성 인지율은 90.8%, 실시율은 64.1%(Yoon & Lee, 2001), 인천지역 교사의 영양교육 필요성 인지율은 97.9%, 실시율은 61.6%로 나타났다(Park & Chang, 2004). 이와 같이 교사들은 식생활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식생활교육을 실시하는 비율은 낮은 편이었다.
국내 유치원에 대한 통계자료는? 유아교육법(「Law of infants’ education」, Law 12336)에 의하면 유치원은 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까지의 유아 교육을 위하여 설립·운영되는 학교를 말하며, 급식 시설ㆍ설비 기준을 갖추고 유아에게 적합한 급식을 할 수 있다. 유치원은 2013년 전국에 8,678개소가 설립되었으며, 등록한 유아는 658,188명이다(Statistics Korea, 2015).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가 정한 3대 핵심가치는?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는 식품의 생산에서 소비까지 전 과정에서 에너지와 자원의 사용을 줄이는 ‘환경’, 영양적으로 우수한 한국형 식생활을 실천하자는 취지의 ‘건강’, 다양한 식생활 체험을 바탕으로 자연과 타인에 대한 배려와 감사를 실천하는 ‘배려’를 3대 핵심 가치로 하는 녹색식생활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Korean Network of dietary education, http://www.greentabl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 Oh (2012) Parental perception and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environmental-friendly food service in kindergarten. Korean J Food Culture 27(6):646-658. 

  2. Choi, M. J., Jung Y. S. (2006) The status of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preschool children in Kyungjoo. Korean J Community Nutr 11(1) : 3-13. 

  3. Her, E. S. & Jung, S. H. (2009). Analysis of dietary education status and the demand of child center teachers in Masan. Korean J. Food & Nutr., 22(2), 166-176. 

  4. Her, E. S. (2013). Eating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food and nutr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Gyeungnam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18(1), 11-24. 

  5. Jeong, M. J., Jung, E. K., Kim, A. J. & Joo, N. M. (2012) Nutrition knowledge and need for a dietary education program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Gyeongbuk region. J Korean Diet Association, 18(1), 30-42. 

  6. Jung, K. A. (2012). A study on the dietary habits of 5th & 6th grade students and dietary life education by teachers-Focused on elementary school in Chuncheon are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3), 266-285. 

  7. Kim, H. H., Park, Y. H., Shin, E. K., Shin, K. H., Bae, I. S., Lee, Y. K. (2006) Students' and parents' percep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8):1016-1024. 

  8. Kim, J. Y. & Sim, K. H. (2011). The actual conditions and recogni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fter execution of the dietary life education support act. Korean J Food & Nutr, 24(3), 295-305. 

  9. Kim, J. Y. & Sim, K. H. (2012). A survey on dietary education needs for implementing dietary education by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2), 183-193. 

  10. Kim, M. S., Kim, H. J. & Lee, Y. E. (2013). Operation and perception on dietary life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of elementary school in Chungbuk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2), 2049-2067. 

  11. Korean Network of dietary education(2010, March 10). Retrieved January 15, 2014, from http://www.greentable.or.kr/main_sub/sub.asp?folder_idx1&folder_page_idx1 

  12. Law of dietary education(Law 12054, 2009.5.27 established). 

  13. Law of Infants' Education(Law 12336, 2014.4.29. established) 

  14. Lee, K. H., Kim, M. H., Choi, M. K. (2013) A comparative study on food services and their satisfactions between kindergartens with and without dietitians in Chungnam. J Korean Sco Food Sci Nutr 42(2):278-285. 

  15. Min, K. C., Park, Y. S., Park, H. W., Lee, M. H., Shin, Y. C., Cho, K. B., Rhie, K. J., Jeaung, K. o., Shon, Y. S. & Yoon, H. S. (2006). Nutrition education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dietitian. Korean J Food & nutr, 19(2), 183-192. 

  1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 Korea Food Education Network (2014) Research of Practice Manual for Food Education Center. pp 57-70. 

  17.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and Fisheries (2010). Environment, health, and thanks for green dietary life. pp 6-15. 

  18. Park, E. S., Kim, U. C. & Park, Y. S. (2007) Analysis of teachers' expectations and evaluation of training institute programs. J of Child Education, 16(2), 201-218. 

  19. Park, E. S. (2014). Operation and training demend on dietary life education of nutrition teachers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Human Ecology, 23(1), 149-161. 

  20. Park, J. A. & Chang, K. J. (2004).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tus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Inche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7(10), 928-937. 

  21. Park, Y. H., Kim, H. H., Shin, K. H., Shin, E. K., Bae, I. S. & Lee, Y. K. (2006).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39(4), 403-416. 

  22. Statistic Korea(2013, November 14). Retrieved December 20, 2014,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ubCont 

  23. Suh, E. N. & Kim, C. K. (1998).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based up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in inner Seoul. Korean J Nutrition, 31(4), 787-798. 

  24. Yoon, H. S. & Lee, K. H. (2001) Study on food service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elementary school in Kyungnam and Ulsan nutrition management. J Korean Diet Assoc 7, 237-247. 

  25. Yu, K. H. (2007)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s and zinc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Ulsan. J. of Korean Nutr 40(4):385-3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