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Blog)에 나타난 도시공원 미시담론 - 서울숲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Micro Discourse about Urban Parks in Blogs - In the Case of the Seoul Forest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1, 2015년, pp.29 - 39  

이제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전공)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숲에 대한 일반인들의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인식 및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의 실질적인 의견을 파악할 수 있는 블로그(blog)를 통해 서울숲을 둘러싸고 펼쳐지는 일반인의 미시담론을 분석하였다. 블로그를 매개로 한 일반인의 미시담론 형성 배경과 요인 등을 해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법을 선택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담론분석을 위주로 하여 블로그에 게시된 미시담론의 내용과 그 형성 배경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서울숲에 대한 일반인의 구체적인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숲이 조성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초기에는 서울숲 조성과 관련된 주체나 결과물에 대한 평가를 하면서 설계가나 서울시 등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사회적 담론이 형성되었다. 둘째, 형성기의 서울숲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서울숲을 비교적 관점에서 평가 및 서술하면서 긍정 및 부정적 장소감이 복합적으로 드러나는 담론이 형성되었다. 셋째, 조성된 지 4~5년 후인 전개기에 게시된 블로그에서는 주로 공원의 시설 및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고 난 후의 이용적 담론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성숙기에 들어서는 이용자들이 그들만의 언어로 서울숲을 해석한 장소적 담론이 주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일반인의 미시담론들을 통해 실제 이용 주체가 각 시기별로 서울숲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었는지 그 담론적 구조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미시담론에는 공원을 이용하는 개별 주체들이 생산하는 상호작용, 경험, 이야기 등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들의 고찰을 통해 일반인 이용자가 장소를 어떻게 재현하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발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micro-discourse from blogs as personal media that reflect citizens' actual opinions of the Seoul Forest without intervention of experts. Furthermor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discourse analysis was selected to analyze the micro-discourse regarding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각 시기별로 서울숲에 대한 미시담론이 어떠한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는지, 그 형성 배경을 각 시기의 미시담론과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는 서울숲에 대한 이용 만족도의 인과 구조를 파악하고, 이후에 이용자들로 하여금 더욱 다층적인 이용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일조할 수 있을것이라 판단한다.
  • 본 연구는 인터넷상에서 1인 미디어의 이용이 활성화 되었으며, 공간에 대한 정보나 경험 정보 및 의견을 자유롭게 게재하는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전제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인 미디어를 이용자의 생각 및 의견 등이 여과 없이 드러난 공간이라 상정하고, 여러 1인 미디어 중에서도 공간에 대한 정보와 이미지, 장소 경험에 대한 일상적 이야기와 그에 따른 장소감 등을 자유롭게 게시하고, 간편한 검색 기능을 통해 개인이 가진 기억의 재현을 오래도록 가능하게 하는 블로그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도시공원에 대한 개인들의 담론 즉, 미시담론의 시기별 형성 배경과 주요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일반인이 도시공원을 해석하는 주체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을 확인하고자한다. 단순히 정보 전달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그것을 보는 또 다른 이용자가 새로운 경험과 의미를 생산해 낼 수 있는 1인 미디어에 대한 연구는 인간과 공간 간의 새로운 관계와 반응을 생산하기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주로 분석 도구의 측면에서 1인 미디어에 접근한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궁극적인 도시공원의 이용주체인 개인들이 기록하고 운영하는 1인 미디어의 개체성에 주목하며, 1인 미디어가 여론을 수렴하는 소통의 장인만큼 개인들이 기록하고 공유하는 도시공원에 대한 이야기들이 미시담론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디지털 미디어(digital media)의 발전이 인간이 가진 커뮤니케이션의 욕구를 시․공간적으로 확장하여 충족시켜주고 있는 셈이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개인’이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인터넷에 접속하여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고,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 및 습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더불어 자신의 생각 및 의견을 가상공간에 자유롭게 게재한다는 것은 블로그(blog), 트위터(twitter) 등과 같이 개인화된 공간 즉, ‘1인 미디어’의 발달이 가져온 중요한 변화이다.
미디어의 발달이 가져온 변화는 무엇인가? 미디어(media)의 발달은 인류 역사 이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방법과 범위, 영향 등에 있어 급진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디지털 미디어(digital media)의 발전이 인간이 가진 커뮤니케이션의 욕구를 시․공간적으로 확장하여 충족시켜주고 있는 셈이다.
서울숲의 강령은 무엇인가? 시민이 함께 만드는 참여의 숲’이라는 강령을 내걸고 2005년에 조성된 서울숲은 주체적인 시민 참여로 인한 서울숲만의 공원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적 측면의 시민 참여를 넘어 시민이 공원을 이루는 한 요소로서 공원에서의 풍부한 경험을 위해 자발적으로 공원에 대한 평가를 하거나, 자원봉사를 하는 등 그들의 의견을 표출하는 것 또한 일종의 시민참여로 보고, 서울숲을 위한 시민모임인 서울숲 사랑모임에서 운영하는 블로그 및 웹사이트, 서울숲 웹사이트 등이 매우 활성화된 점은 시민참여 및 소통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k, S. K.(1995) The Semiology of Report. Sungkyunkwan Publishing Department. 

  2. Bark, S. H. and Y. G. Kim(2011) The landscape of Seonyoo-do Park captured in one-person media focusing on blog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3): 64-73. 

  3. Bell, A. and Peter G.(1998)(eds.) Approaches to Media Discourse. Blackwell. 

  4. Cho, E. Y. and D. K. Kim(2012) Analysis of visitors' behavior by blogs. Design Forum 35: 77-86. 

  5. Cho, H. J.(2010) Aspect and meaning of social discussion in media discourse of clothing reuses. Journal of the Society of Practice Folkloristics 16: 121-165. 

  6. Choi, Y. H.(2005) What Seoul forest brings us, what is the task of urban parks in the 21st century?.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209: 99. 

  7. Collomb, N.(2010) Value of urban park, new ideas on urban parks.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0.11.24. 

  8.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2005) What Seoul forest brings us, what is the task of urban parks in the 21st century?.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209: 98-103. 

  9. Huckin, T.(2002) Textual silence and the discourse of homelessness. Discourse & Society 13(3): 348-373. 

  10. Jang, B. H.(2005) The park starts from everywhere.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209: 96. 

  11. Jeon, S. Y.(2011) Impacts of local civic consciousness formation: Focused on the Yong-in city.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2): 785-799. 

  12. Joo, S. S.(2005) Volunteering Theories, Institutions & Policies. Seoul: Arche Publishing House. 

  13. Kim, K. K., S. J. Shin, and J. J Kim(2009) Convergence era and individuals as a medium.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14. Kim, Y. I. and J. G. Kim(2011) Citizen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or urban parks and greens: A case study of Anyang city, Bucheon city and Uijeongbu city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1): 157-170. 

  15. Korea Landscape Architecture Newspaper(2013) May 2nd, Beyond the Resident Participation to Initiative of Local People. 

  16. Kymlicka, W. and N. Wayne(1995) Return of the Citizen: A Survey of Recent Work on Citizenship Theory in Theorizing Citizenship. Ronald Beiner (ed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7. Lee, J. W.(1993)(Trans.) L' Ordre du Discours. Seoul: Sae-gil. 

  18. Lee, J. W., I. W. Park, and J. H. Kim(1996) What is discourse?: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discouse concept.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56: 257-290. 

  19. Mo, K. H., M. J. Kim, and S. M. Song(2010) A survey on the civil consciousness of Korean youth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42(1): 77-101. 

  20. Park, J. W.(2012a) An analysis of social discourse on the enactment of school sport promotion law produced in the media.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9): 434-446. 

  21. Park, Y. M.(2012b)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consumption of space in Seonyudo Park.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2. Seoul City(2006) Seoul Reflects the Future of Us: The 3rd Local Election (2002-2006) the Result of Policy, Planning Officer of Seoul. 

  23. The Cho-Sun Ilbo(2005) 'Central Park' of Seoul is coming soon. 

  24. The Dong-A Ilbo(2005) June 9th, 'Hyde Park of Seoul', Seoul Forest will be opened on June 18th. 

  25. The Kook-Min Ilbo(2005) June 9th, 'Central Park of Seoul' will come to citizen. 

  26. The Korea Economic Daily(2005) June 11th, 'Central Park' of Seoul, Seoul Forest will be opened on June 18th. 

  27. The Se-Gye Ilbo(2005) June 9th, 'Central Park' in Seoul will be opened. 

  28. Walker, C.(2004) The public value of urban parks. In: Beyond Recreation: A Broader View of Urban Parks. The Urban Institute. 

  29. http://www.koreanclick.co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