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근거한 조경분야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 - 갭분석을 중심으로 -
A Methodology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Focused on Methodology for Gap Analysis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1, 2015년, pp.40 - 53  

변재상 (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 ,  안성로 (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 ,  신상현 (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업현장의 변화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2001년에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와 국가자격체제(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s, 이하 NQF)의 도입이 결정되었다. 건설분야 내 조경 역시 2008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조경"이 시범 개발되어 2009년부터 3년간 시범운영되었다. 특히 2013년 출범한 박근혜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로 '학벌이 아닌 능력 중심의 사회 구현'이 채택되면서,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NCS 체제 구축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점이다. 그러나 국가에서 개발한 NCS의 경우, 이상적인 직무수행능력을 명시하였기 때문에 각 대학의 학생수준의 차이, 기자재와 교수들의 확보문제, 현행교육과정의 시수 문제 등 실질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을 반영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현실적인 교육과정에 연착륙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교육과정과 NCS와의 차이 즉 갭(gap)을 명확히 분석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갭분석은 기존의 교육과정을 NCS 기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기 위한 초기 단계의 방법론으로 NCS 능력단위별 능력단위요소와 수행준거를 기준으로 학과 내 기존 교육과정과의 괴리도 혹은 일치 정도를 1에서 5까지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기입한 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처럼 현재의 대학 내 교육과정과 NCS와의 일치 및 괴리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향후 NCS 운영을 희망하는 대학에서는 NCS의 적용 가능성과 개발 운영 이후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초 도구를 확보할 수 있다. 갭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편의 장점으로는 첫째,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정성적인 학과별 NCS 도입률에 대한 정량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 시 부족한 혹은 포화상태인 부분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공해 준다. 즉, 해당 NCS 세분류 도입 시 부족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기존 과목별 능력단위요소별로 보완 사항도 추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한 상세 강의계획서 및 기초 교과목 개설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장점이 있다. 다만, 현재까지 개발된 갭분석의 이론을 보완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정비해야 하는 과제는 남아 있다. 교육부, 고용노동부는 산업현장의 요구를 교육훈련 및 자격에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관련 산업계 인사들이 모여 실무적인 차원에서 NCS 표준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하여야 하며, NCS 적용을 희망하는 대학에서는 일과 자격이 연계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NCS 기반으로 개편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는 관련 산업 전망 및 대학 내 교수자원과 지역 산업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NCS 세분류를 명확히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후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을 위해 갭분석을 사용하여 개편의 방향과 기준을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수립하여 교육과정명세서에 대한 명확한 논리적 근거를 확보하고 있어야 과정이수형 자격제도에 효율적으로 동참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train the manpow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industrial field,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s(hereinafter referred to as NQF) was determined in 2001 b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hereinafter referred to as NCS) centrally of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선행 연구사업의 최종 목적은 ‘일-학습 연계’를 위해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기준으로 NCS를 개발하고, 교육훈련과정과 자격기준으로 활용함으로써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하는데 있다. 따라서 교육훈련기관을 대상으로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을 적극적으로 도입․운영하도록 권장하기 위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NCS의 효과성을 검증․홍보하고, 상세한 적용 지침을 마련하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2009년 NCS 교육과정 시범 운영 교육기관으로 실업계고교로는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전문대학으로는 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를 지정하여 NCS 교육과정의전과정을운영․평가하는연구가진행되었다(Shingu College, 2010; 2011; 2012; KRIVET, 2012b; Jung et al.
  • 본 연구는 NCS를 교육훈련기관 즉 대학에 객관적인 동시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론을 연구하고자 진행하였다. 즉, 국가에서 개발한 NCS의 경우, 이상적인 직무수행능력을 명시하였기 때문에 각 대학의 학생수준의 차이, 기자재와 교수들의 확보 문제, 현행교육과정의 시수 문제 등 실질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을 반영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현실적인 교육과정에 연착륙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교육과정과 NCS와의 차이를 명확히 분석하는 갭분석(Gap Analysis)이 선행되어야 한다.
  • 이후 NCS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편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갭분석을 사용하여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과 기준을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NCS 연구의 첫 단계로서, 이미 개발된 NCS를 대학 교육 내에 적용시키기 위한 초기의 방법론를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한편, 교육과정 개편 이후 NCS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워크샵과 대학별 교재개발, NCS 미달자의 재교육 방책 등이 정책적으로 요구된다.
  • 갭분석 실시를 통한 교육과정 개편의 장점으로는 첫째, 재정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정성적인 학과별 NCS 도입률에 대한 정량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 시 부족한 혹은 포화상태인 부분에 대한 기준을 제공해 준다. 즉, 해당 NCS 세분류 도입 시 부족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기존 과목별 능력단위요소별로 보완 사항도 추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한 상세 강의계획서 및 기초 교과목 개설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CS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NCS란 한 개인이 산업현장에서 자신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직무능력 즉 지식과 기술, 태도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출하여 표준화한 것이다. 여기서 직무능력은 직무수행능력과 직업기초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직무수행능력은 다시 필수직업능력, 선택직업능력 그리고 산업 공통직업능력으로 나누어진다(Jung and Na, 2008).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필수직업능력은 해당 분야에서 특정 직무를 수행 하기 위해 필요한 직업능력으로 해당 직업에 진입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직업능력이고, 선택직업능력은 해당 분야에서 기업간 업무범위, 장비 등의 차이점에 대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직업능력으로, 해당 직업에 진입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직업능력은 아니지만, 기업체의 특성에 따라 갖추어야 하는 직업능력이다.
갭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편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처럼 현재의 대학 내 교육과정과 NCS와의 일치 및 괴리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향후 NCS 운영을 희망하는 대학에서는 NCS의 적용 가능성과 개발 운영 이후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초 도구를 확보할 수 있다. 갭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편의 장점으로는 첫째,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정성적인 학과별 NCS 도입률에 대한 정량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 시 부족한 혹은 포화상태인 부분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공해 준다. 즉, 해당 NCS 세분류 도입 시 부족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기존 과목별 능력단위요소별로 보완 사항도 추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한 상세 강의계획서 및 기초 교과목 개설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장점이 있다.
NCS란 무엇인가? NCS란 한 개인이 산업현장에서 자신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직무능력 즉 지식과 기술, 태도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출하여 표준화한 것이다. 여기서 직무능력은 직무수행능력과 직업기초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직무수행능력은 다시 필수직업능력, 선택직업능력 그리고 산업 공통직업능력으로 나누어진다(Jung and Na,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k, Jeong-Hee, Kyu-Seoub Kim, and Jae-Keun Lee(2012) Study on redesign of landscape architect certification requirements by utilizing NC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5), 129-139. 

  2. Byeon, Jae-Sang(2011) Example of the school which demonstrate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b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2011-materials of college job training. 

  3. Byeon, Jae-Sang(2014) 2014 Industry Training Report. Gyeonggi: Shingu College. 

  4. Byeon, Jae-Sang and Sang-Hyun Shin(2009) A human resources study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3): 33-45. 

  5.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2013)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application package in 2013(small classification: Landscape/sub-category: LandscapeMaintenance, LandscapeManagement). 

  6. Jang. M., S. Kim, H. Kim, and H. Jeon(2009) Develo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qualifications framework in 2008: development of education training process(development of curriculum in landscape field). KRIVET. 

  7. Joo, S.(2014) Practitioners' perception of landscape education in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13-24. 

  8. Jung. H., H. Kim, D. Park, and K. Lim(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2010: management of curriculumb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Shingu College. KRIVET. 

  9. Jung. H. and H. Na(2008) Approval of Training Institution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Seoul: KRIVET. 

  10. Kang, I.(2014) Concep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status of project. The 3rd NCS Workshop Materials of Shingu College. 

  11. Kim, D., D. Lee, I. Ju, and J. Park(2008b) Develo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Qualifications Framework in 2008 : Certification Framework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KRIVET. 

  12. Kim, H., J. Jo, and D. Lee(2008a) Cultivation of NVQ b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KRIVET. 

  13. KOSCA, KRIVET(2008)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Landscape Architecture. 

  14. KRIVET(2008a) Develo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qualifications framework in 2008: development of education training process(development of curriculum at university in landscape field). 

  15. KRIVET(2008b) Develo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qualifications framework in 2008: development of education training process(development of curriculum at college in landscape field). 

  16. KRIVET(2012a) Survey of national skills prospect. 

  17. KRIVET(2012b)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education training process with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landscape field-Shingu College. 

  18. Lee, S., S. Byeon, M. Jang, J. Kim, and S. Jeon(2009) Manual of Education Training Process with KSS. Seoul: KRIVET. 

  19. Shingu College(2010) Result Report of the 1st Year in Education Training Process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20. Shingu College(2011) Result Report of the 2nd Year in Education Training Process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21. Shingu College(2012) Result Report of the 3rd Year in Education Training Process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22. http://www.ncs.go.kr (National Ccmpetency Standards) 

  23. http://www.assembly.go.kr (Korea Assembly) 

  24. http://www.moleg.go.kr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