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타 손상 후 소극적 대처 전략이 통증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ssive Coping Strategies in Pain and Function After Whiplash Injur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0 no.1, 2015년, pp.45 - 52  

조현표 (서산의료원 물리치료실) ,  김영민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 of pain and function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manual passive coping strategies after whiplash injury. METHODS: The study was tested with 30 patients with neck pain. Coping was measured at after 10 days using the Pain Management Inv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편타 손상 후 초기 통증 대처에 따라 통증 및 기능의 회복간의 관계를 보고하는 것이었다. 또한, 어떠한 사람들이 회복 과정 중에 더 높은 수준의 통증과 더 많은 경부 통증 장애를 보고할 것인지를 아는 것은, 이러한 사람들이 구체적인 2차 예방의 타깃이 되어야 한다는 것에 가치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30명의 급성 편타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대처전략의 사용 수준에 따라 통증 및 기능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중재 전후 통증수준 및 통증장애, 경부 장애지수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편타 손상 후 통증 대처전략 에 따라 통증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편타 손상은 경부 통증이 일반적이며 이런 손상으로부터의 회복은 장기적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편타 손상 후 통증 대처전략 에 따라 통증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편타 손상은 경부 통증이 일반적이며 이런 손상으로부터의 회복은 장기적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증 대처란 무엇인가? 대처(coping)는 외부 또는 내부의 스트레스 유발 요인을 관리하려는 인지적, 행동적 노력으로(Lazarus와 Folkman, 1984), 사회 인구학적 요인과 성격은 물론 특정한 스트레스 발생요인의 영향을 모두 받는 것으로 개념화되어 왔다(Holahan 등, 1996). 통증은 스트레스 발생 요인이기 때문에 통증 대처는 통증의 부정적 영향을 관리하거나 최소화하려는 목적을 가진 인지적 또는 행동적 노력을 일컫는다 (Rosenstiel와 Keefe, 1983; Jensen 등, 1991). 또한, 심리적 상태 같은 결과에서 대처의 중요성을 조사하는 연구 대부분은 만성 통증 관리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클리닉의 환자들에 초점을 맞추면서 지속적 통증 문제에 관심을 가졌었다(Spinhoven 등, 2004; Poelsson과 Gerdle, 2004; Jensen 등, 2001; Keefe 등, 1997).
반더 빌트 통증대처척도에서 통증 대처 전략 유형은 어떠한가? 여기에서는 참여자들에게 이들이 통증이 중간 혹은 더 큰 수준의 강도에 있을 때 어떻게 특정한 대처 전략을 사용하는지를 보고하도록 하였다(Brown과 Nicassio, 1987). 이 설문에서는 통증 대처 전략의 유형은 설문 개발업체에 의해 각각 “수동적”과 “능동적” 대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VPMI는 타당성 있고 신뢰성 있는 척도이다(Mercado 등, 2000; Snow-Turek 등, 1996; Smith 등, 1995; Brown과 Nicassio, 1987).
대처란 무엇인가? 통증은 지극히 주관적인 감정이며, 개인적 경험인 동시에 인간이라면 누구나 인생을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매우 보편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통증에 대한 대처는 대처 유형에 따라 통증을 동반한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된 중요한 예이다(Jensen 등, 2001; Keefe 등, 1997; Poelsson와 Gerdle, 2004). 대처(coping)는 외부 또는 내부의 스트레스 유발 요인을 관리하려는 인지적, 행동적 노력으로(Lazarus와 Folkman, 1984), 사회 인구학적 요인과 성격은 물론 특정한 스트레스 발생요인의 영향을 모두 받는 것으로 개념화되어 왔다(Holahan 등, 1996). 통증은 스트레스 발생 요인이기 때문에 통증 대처는 통증의 부정적 영향을 관리하거나 최소화하려는 목적을 가진 인지적 또는 행동적 노력을 일컫는다 (Rosenstiel와 Keefe, 1983; Jensen 등,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earn EP, Cassidy F, Kelley L, et al. Dimensions of self-rated mood in depressed, manic, and normal subjects. Compr Psychiatry. 2001;42(3):196-201. 

  2. Brown GK, Nicassio PM.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for the assessment of active and passive coping strategies in chronic pain patients. Pain. 1987;31(1):53-64. 

  3. Buitenhuis J, Spanjer J, Fidler V. Recovery from acute whiplash: The role of coping styles. Spine. 2003;28(9):896-901. 

  4. Carroll L, Mercado AC, Cassidy JD, et al. A population-based study of factors associated with combinations of active and passive coping with neck and low back pain. J Rehabil Med. 2002;34(2):67-72. 

  5. Carroll LJ, Cassidy JD, Cote P. The role of pain coping strategies in prognosis after whiplash injury: passive coping predicts slowed recovery. Pain. 2006;124(1):18-26. 

  6. Carroll LJ, Ferrari R, Cassidy JD, et al. Coping and Recovery in Whiplash-associated Disorders: Early use of Passive Coping Strategies is Associated With Slower Recovery of Neck Pain and Pain-related Disability. Pain. 2014;30(1):1-8. 

  7. Cassidy JD, Carroll LJ, Cote P, et al. Effect of eliminating compensation for pain and suffering on the outcome of insurance claims for whiplash injury. N Engl J Med. 2000;342(16):1179-86. 

  8. Choi HW, Kim SY. The Effect of Functional Postural Trunk Exercise on Pa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Range of Motion, Deep Cranio-cervical Flexor Muscle Endurance in Neck Pain Patient by Acute Whiplash-Associated Disorders. J Korean Soc Phys Med. 2013;8(4):655-66. 

  9. Cote P, Hogg-Johnson S, Cassidy JD, et al. Initial patterns of clinical care and recovery from whiplash injurie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Arch Intern Med. 2005;165(19):2257-63. 

  10. Ferrari R, Louw D. Coping style as a predictor of compliance with referral to active rehabilitation in whiplash patients. Clin Rheumatol. 2011;30(9):1221-5. 

  11. Holahan CJ, Moos RH, Schaefer JA. Coping, stress resistance, and growth: Conceptualizing adaptive functioning. England. Oxford.1996:24-43. 

  12. Hoving JL, O'Leary EF, Niere KR, et al. Validity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Northwick Park neck pain questionnaire, and problem elicitation technique for measuring disability associated with whiplash-associated disorders. Pain. 2003;102(3):273-81. 

  13. Jang C, Lee DH, Lee GC, et al. A clinical study of whiplash inju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sciences, 2006;3(2):107-15. 

  14. Jensen MP, Turner JA, Romano JM, et al. Coping with chronic pain: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pain, 1991;47(3):249-83. 

  15. Jensen MP, Turner JA, Romano JM. Changes in beliefs, catastrophizing, and coping are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multidisciplinary pain treatment. J Consult Clin Psychol. 2001;69(4):655-62. 

  16. Keefe FJ, Affleck G, Lefebvre JC, et al. Pain coping strategies and coping efficacy in rheumatoid arthritis: a daily process analysis. Pain. 1997;69(1):35-42. 

  17.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18. Lee H, Nicholson L, Adams R. Cervical range of motion associations with subclinical neck pain. Spine. 2004;29(1):33-40. 

  19. Lee SM, Kim CH. Precipitating Fa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Bus Accident Victims. Kor J Clin Psychol. 2002;21(3):547-63. 

  20. Mercado AC, Carroll LJ, Cassidy JD, et al. Coping with neck and low back pain in the general population. Health Psychol. 2000;19(4):333-8. 

  21. Partheni M, Constantoyannis C, Ferrari R, et al.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the outcome of acute whiplash injury in Greece. Clin Exp Rheumatol. 1999;18(1):67-70. 

  22. Pollard CA. Preliminary validity study of pain disability Index. Percept Mot Skills. 1984;59(3):974. 

  23. Poelsson M, Gerdle B. Coping in patients with chronic whiplash-associated disorders: a descriptive study. J Rehabil Med. 2004;36(1):28-35. 

  24. Rosenstiel AK, Keefe FJ. The use of coping strategies in chronic low back patients: relationship to patient characteristics an current adjustment. Pain. 1983;17(1):33-44. 

  25. Smith CA, Wallston KA, Dwyer KA. On babies and bathwater: disease impact and negative affectivity in the self reports of persons with rheumatoid arthritis. Health Psychol. 1995;14(1):64-73. 

  26. Snow-Turek AL, Norris MP, Tan G. Active and passive coping strategies in chronic pain patients. Pain. 1996; 64(3):455-62. 

  27. Spinhoven P, Kuile M, Kole-Snijders AM, et al. Catastrophizing and internal pain control as mediators of outcome in the multidisciplinary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Eur J Pain. 2004;8(3):211-19. 

  28. Spitzer WO, Skovron ML, Salmi LR, et al. Scientific monograph of the Quebec task force on whiplash-associated disorders: redefining'whiplash'and its management. Spine. 1995;20:1-73. 

  29. Turk DC, Melzack R. Handbook of pain assessment(2 nd ed). USA. Guilford Press.2002. 

  30. Vernon H, Mior S. The Neck Disability Index: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ty. J Manipulative Physiol Ther. 1991;14(7):409-15. 

  31. Young IA, Cleland JA, Michener LA, et al.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patient-specific functional scale, and numeric pain rating scale in patient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Am J Phys Med Rehabil. 2010;89(10):831-8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