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용 식생기반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탄소고정량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Carbon Storag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Soil for Extensive Green Rooftop Used in Kore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8 no.1, 2015년, pp.115 - 125  

이상진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관수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장성완 (에코앤바이오(주)) ,  이항구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환우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comparison of carbon storag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soil for extensive green rooftop establish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september 2013. For this study, 42 plots were made by 2 kinds of vegetation soil including A-type and B-typ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채취한 식물체 시료는 지퍼 백에 밀봉한 후 아이스박스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하였으며, 종이봉투에 옮겨 담아 건조기로 85℃로 항량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건조된 식물체 시료는 분말 형태로 분쇄한 후 회화 법을 이용하여 탄소함량(%)을 분석하였다.
  •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경량형 식생기반재에 따른 식생기반재의 수분ㆍ양분함량 등의 이화학적 특성과 식재된 식물과 식생기반재의 탄소함량을 분석하여 지상부와 지하 부, 그리고 식생기반재의 탄소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재 후 11개월이 경과한 A형 식생기반재와 B형 식생기반재의 pH는 A형 식생기반재에서는 7.
  • 실험에 사용된 식생기반재의 기초 특성 조사를 위하여 실험구가 조성된 2013년 9월에 A형 과 B형의 식생기반재에서 각각 3개씩 시료를 채취하여 식생기반재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향후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와 식생기반재의 탄소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4년 8월에 전체 36개 실험 구에서 분석용 시료를 각각 채취하였다. 또한 식물체의 탄소고정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처리의 수종별로 3반복을 두어 총 36점의 식물 시료를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채취하였다. 채취한 식물체 시료는 지퍼 백에 밀봉한 후 아이스박스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하였으며, 종이봉투에 옮겨 담아 건조기로 85℃로 항량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 식생기반재의 이화학적 특성의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분함량은 토양수분측정기(WT-1000H)를 이용하여 2014년 5월에서 9월까지 매월 첫째 주에 처리구당 3반복으로 측정하였다. 식생기반재의 pH는 1:5법을 활용하였으며, 유기물함량은 회화법, 전질소함량은 Kjeldahl법, 유효인산함량은 Lancaster법, 치환성 양이온은 EDTA적정법, C.
  • 식생기반재 내에 저장되어있는 탄소량 을 측정하기 위해 토양 샘플러를 활용하여 채취한 시료는 생중량을 측정하고 48시간 이상 풍건한 후 시료를 분말형태로 곱게 분쇄하여 65℃로 항량에 달할 때 까지 건조하였다. 탄소함량(%)은 회화법을 이용하여 부식의 함량을 구한 후 탄소 환산계수 1.
  • 식생기반재의 깊이는 환경부의 생태면적 적용 지침(2011)을 만족하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을 적용하였으며, 28cm × 28cm × 24cm 규격의 플라스틱 포트에 20cm의 깊이로 A형과 B형의 식생기반재를 채웠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두 종류의 경량형 식생기반재를 활용하여 초본과 목본을 식재한 후 실험에 사용된 경량형 식생기반재에 따른 수분ㆍ양분함량 등의 이화학적 특성의 차이를 조사하고 식생기반재에 따른 양분과 수분 함량의 차이를 비교하여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식재된 식물과 식생기반재의 탄소함량을 분석하여 옥상녹화에 의한 지상부와 지하부의 탄소고정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식물 생장 및 탄소고정을 고려한 적절한 식생기반재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 실험에 사용된 초본류와 목본류는 현재 옥상녹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식물 중에서 섬기린초, 벌개미취, 그리고 잔디의 초본류와 사철나무, 영산홍, 그리고 쥐똥나무의 관목류를 식재하였다. 조성된 실험구는 모두 3반복으로 처리되었으며, 전체 36개의 실험구를 조성하였다.
  • 또한 식물체의 탄소고정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처리의 수종별로 3반복을 두어 총 36점의 식물 시료를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채취하였다. 채취한 식물체 시료는 지퍼 백에 밀봉한 후 아이스박스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하였으며, 종이봉투에 옮겨 담아 건조기로 85℃로 항량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건조된 식물체 시료는 분말 형태로 분쇄한 후 회화 법을 이용하여 탄소함량(%)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이외에도 건축물에 미치는 하중을 최소화하고 배수성 및 보수력의 향상을 위해 자연토양 또는 기타 물질들과 혼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펄라이트와 부엽토를 9:1로 배합한 A형 식생기반재와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코코피트, 부엽토를 6:2:1:1로 배합한 B형 식생기반재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실험구는 2013년 9월,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대학교 교내에 위치한 9층 높이의 상록관 옥상에 조성하였다(Figure 1). 식생기반재의 깊이는 환경부의 생태면적 적용 지침(2011)을 만족하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을 적용하였으며, 28cm × 28cm × 24cm 규격의 플라스틱 포트에 20cm의 깊이로 A형과 B형의 식생기반재를 채웠다.
  • 실험에 사용된 식생기반재의 기초 특성 조사를 위하여 실험구가 조성된 2013년 9월에 A형 과 B형의 식생기반재에서 각각 3개씩 시료를 채취하여 식생기반재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향후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와 식생기반재의 탄소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4년 8월에 전체 36개 실험 구에서 분석용 시료를 각각 채취하였다. 또한 식물체의 탄소고정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처리의 수종별로 3반복을 두어 총 36점의 식물 시료를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채취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초본류와 목본류는 현재 옥상녹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식물 중에서 섬기린초, 벌개미취, 그리고 잔디의 초본류와 사철나무, 영산홍, 그리고 쥐똥나무의 관목류를 식재하였다. 조성된 실험구는 모두 3반복으로 처리되었으며, 전체 36개의 실험구를 조성하였다.

데이터처리

  • 식생기반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탄소량 그리고 식물체의 탄소고정량을 비교하기 위해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SAS Ver. 9.4)를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 수분함량은 토양수분측정기(WT-1000H)를 이용하여 2014년 5월에서 9월까지 매월 첫째 주에 처리구당 3반복으로 측정하였다. 식생기반재의 pH는 1:5법을 활용하였으며, 유기물함량은 회화법, 전질소함량은 Kjeldahl법, 유효인산함량은 Lancaster법, 치환성 양이온은 EDTA적정법, C.E.C는 Brown법을 활용하였다(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 식생기반재 내에 저장되어있는 탄소량 을 측정하기 위해 토양 샘플러를 활용하여 채취한 시료는 생중량을 측정하고 48시간 이상 풍건한 후 시료를 분말형태로 곱게 분쇄하여 65℃로 항량에 달할 때 까지 건조하였다. 탄소함량(%)은 회화법을 이용하여 부식의 함량을 구한 후 탄소 환산계수 1.724를 적용하였으며(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단위 깊이 당 탄소량(kg/m2)은 탄소함량(%)과 용적밀도를 이용하여 단위면적으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1). 식생기반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탄소량 그리고 식물체의 탄소고정량을 비교하기 위해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SAS Ve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시의 보고에 따르면 도시 내 생활권 공원면적을 1인당 1m2를 늘리기 위해서는 어느정도의 녹지가 필요하다고 보는가? 하지만 도심 과밀화 현상과 지가 상승 등의 이유로 도심 내 녹지 공간 확보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특히 지가 상승 등으로 인하여 지상 녹지면적 확보를 위한 토지 매입에 천문학적인 예산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서울시의 보고에 따르면 도시 내 생활권 공원면적을 1인당 1m2를 늘리기 위해서는 10,321,496m2(약 10km2, 서울시 면적의 약 1.7%)의 녹지가 필요하며, 지상 녹지면적 확보를 위한 토지 매입에 필요한 금액은 100조가 넘는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히고 있다(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7).
도심 내 녹지 공간 확보는 도심 과밀화 현상과 지가 상승 등의 이유로 어려운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부각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도심 내 건물의 옥상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비록 개별 건물의 옥상은 그 면적이 협소하지만, 수많은 건물이 도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 전체적인 옥상녹화를 실시할 경우 도시의 온도를 낮춰 열섬현상을 해결하고(Park, 2014), 도시의 미관 또한 증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녹화가 대두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온 그리고 대도시에서 발생하는 열섬현상 등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도시녹화가 대두되고 있으며, 앞으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도심 과밀화 현상과 지가 상승 등의 이유로 도심 내 녹지 공간 확보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특히 지가 상승 등으로 인하여 지상 녹지면적 확보를 위한 토지 매입에 천문학적인 예산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GY.Han SW and Lee EH. 2011. The Analysis of Instantaneous $CO_2$ Uptake and Evapotranspiration of Herbaceous Plants for Artificial Roof Greening. Kor. J. Env. Eco. 25(1): 91-10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Allaire S. E..J. Caron.I. Duchesne.L. E. Parent and J. A. Rioux. 1996. Air filled porosity, gas relative diffusivity and tortuosity: Indices of Prunus xcistena sp. growth in peat substrate. J. Amer. Soc. Hort. Sci. 121: 236-242. 

  3. Brady N. C. 1990.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Macmillan Pub. Com., N. Y., 621p. 

  4. Bunt A. C. 1988. Media and mixes for containergrown plants. Unwin Haymen LTD, London. pp. 309. 

  5. Choi JM.Kim LY and Lee BG. 2009a. Bed soil. Hakyesa. pp. 564. (in Korean) 

  6. Choi WY.Ryu ER.Kim WR.Park BJ.Bae UH.Park JH.Joo JH and Yoon YH. 2009b. Changes of plant species growing by difference of soil mixture ratio for green rooftop. Symposium of conference o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8(1): 539-541. (in Korean) 

  7. Huh KY and Shim KK. 2000.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soils used alone or in a blending with field soil for the greening of artificial ground. J. Kor. Inst. Landscape Architecture. 28(2): 28-3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Hyundai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HICT). 1997. A study on the greenery on artificial ground. Hyundai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Seoul. 

  9. Jo HK and Cho DH. 1998. Annual $CO_2$ Uptake by Urban Popular Landscape Tree Species. Korean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25(2): 38-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o HK.Yun YH and Lee KE. 1995. Atmospheric $CO_2$ Sequestration by Urban Greenspace -In the Case of Chuncheon -. Korean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23(3): 80-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HL.Kim HD.Kim JG.Kwack YB and Choi YH. 2010a. Effect of Organic Substrates Mixture Ratio on 2-year-old Highbush Blueberry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6): 858-86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Kim HS and Kim KH. 2011.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rticultural Substrate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Peatmoss, Perlite and Vermiculite.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4(3): 321-33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Kim IH.Huh KY.Shin HC and Park NC. 2010b. Assessment of Plant Growth and Soil Properties of Extensive Green Roof System for Rhododendron indicum Sweet.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8(6): 1057-106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Kim SK. 2007. Plant-growth response to the amount of soil organic matter and the soil depth in a green rooftop with low irrigation maintenance. Master's thesis of Sungkyunkwan University's Graduate School. pp. 4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5.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1. Research and Analysis of Biomass and Soil Carbon in Urban Forest. pp. 49. (in Korean) 

  16. Kristin L..D. Getter.R. G. Bradley.R. Philip. M. C. Bert and A. A. Jeffrey. 2009.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Extensive Green Roofs. Environ. Sci. Technol. 43: 7564-7570. 

  17. Lee EY and Moon SK. 1999. Effects of Soil mixtures and Soil Depths on the Growth of Zoysia japonica for the Artificial Planting Ground. J. Korean Env. Res. Tech. Vol 2(3): 1-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Lee SJ.Park GS.Lee DK.Jang SW.Park BH.Lee HG.Yun JY.Jang KW.Lee SW.Lee HY.Kwon OJ.Lee SM and Kil SH. 2011. A Study on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Green Roof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38(4): 641-64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9. Lee SJ.Park GS.Kim DI.Lee DK.Kil SH. Jang SW.Park BH.Yun JY.Jang KW. Lee HY and Kwon OJ. 2013a. Change of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Green Roofs in Dongguk University. J. Korean Env. Res. Tech. 16(1): 193-20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Lee SJ.Park GS.Lee DK.Lee EH.Jang SW. Kim MH.Kil SH.Lee HG.Jang KW. Park BH.Yun JY and Kwon OJ. 2013b. A Study on the Changes of Plant Species and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Green Roofs at Seoul Women's University.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6(6): 109-11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1. Lee SW.Byun JK and Kim SH. 2010. Carbon storage in Forest Floors and Mineral Soils, Korea. The Annual meeting of Korean For. Soc. pp. 230-232. (in Korean)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Guidelines for Ecological Area Ratio. (in Korean) 

  23.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Analysis Method of Soil and Vegetation. pp. 202. (in Korean) 

  24. Park EJ. 2014. Selection of Green Roof Initiative Zone for Improving Adaptation Capability against Urban Heat Island.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7(1): 135-14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7. Manual of Management and construction Green roof system. pp. 1-24. (in Korean) 

  26. Yang J.Yoon YH and Ju JH. 2014. Evaluation of Hydrophilic Polymer on the Growth of Plants in the Extensive Green Roof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3): 357-36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7. Yoon YM.Chang SH.Kim JG and Pak CH. 1999. The Effect of Moisture Characteristics in Medium Mixed with Vermiculite, Perlite, and Cocopeat on Growth of Bletilla striata.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17(5): 674-67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