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의 식재 유형별 여름철 표면온도 비교
Comparison of Planting Types on an Extensive Green Roof Based on Summer Surface Temperature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2, 2016년, pp.55 - 69  

한이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학과) ,  이빛나라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학과) ,  안근영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  이은희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gnificant efforts are being devoted in mitigating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and extensive green roofs are an option for mitig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urface temperature, vegetation types, and plant species on an extensive green roof. Test beds were created in May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온도저감에 효과적인 저관리·옥상녹화에 적합한 식재 유형 및 식물 종 선정을 위하여 생육상 모니터링과 더불어 표면 온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 식물의 혼합식재 및 단일식재의 표면온도 분석과 비교를 통하여, 향후 도시 내 열섬효과 완화 및 건축물 온도저감에 효과적인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 식물 종 및 식재유형 선정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 혼합식재 실험구와 단일식재 실험구는 면적의 차이로 인하여 동등하게 비교할 수 있는 대상으로는 부적합하지만 향후 식재 유형의 제안으로서 활용하고자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6월의 경우 유형2가 3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은? , 2007). 도시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계획수준에서는 공원계획, 가로수계획 등, 건물계획수준에서는 옥상녹화, 고반사율 지붕, 벽면녹화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Park et al., 2010), 이 중 옥상녹화는 추가 적인 토지의 확보 없이 녹지를 확대하고 도시홍수의 완화 및 도시열섬현상 완화, 에너지 절약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도시 내 국지적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원인은? 급격한 산업화, 도시의 팽창, 인구 및 에너지 소비의 지속적 증가로 인하여 도시 내 녹지공간이 감소되고 도시생태계가 파괴됨에 따라 도시 홍수, 도시열섬현상 등 도시 내 국지적 기후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특히 도시열섬현상은 도시의 중심부 기온을 상승시켜 도시민의 건강과 경제적 손실 등 건강 및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Cha et al.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에서 온도저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 혼합식재를 어떻게 선정해야 하는가? 8°C까지 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도저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일식재 하는 것 보다 혼합식재 하는 것이 보다 긍정적인 효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혼합식재의 식재 식물 선정 시 생육특성을 고려할 경우 온도저감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a JG?Jung EH?Ryu JW and Kim DW. 2007. Constructing a Green Network and Wind Corridor to Alleviate the Urban Heat-Isla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 102-112. 

  2. Dunnett N. and Kingsbury. N. 2008. Planting Green Roofs and Living Walls(2nd edition). Timber Press, Portland Oregon. 

  3. EP Del Barrio. 1998. Analysis of the green roofs cooling potential in buildings. Energy and Buildings. 27(2): 179-193. 

  4. Jang HK and Lee EH. 2011. Covering Types and Covering Ratio Changes of Planted Species on an Extensive Green Roof.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3): 404-411. 

  5. Jeong MI?Han SW?Kim JS and Song JS. 2013. Selection of Native Herbal Plants Capable to Survive Year-Round in Roof Garden Adopting Extensive Green Roof System in the Central District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21(4): 172-181. 

  6. Johnston J. and Newton J. 1993. Building Green: A Guide to Using Plants on Roofs, Walls and Pavements The London Ecology Unit, London. 

  7. Kim JH and Yoon YH. 2011. Economic Analysis and Energy Reduction by the Types of the Green Roof. Seoul Urban Research. 12(2): 125-140. 

  8. Kim SC and Park BJ. 2013. Assessment of Temperature Reduction and Heat Budget of Extensive Modular Green Roof System.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1(4): 503-511. 

  9. Kim YS and Lee JS. 2005. Selection of Appropriateness Genus Sedum Low Management and Light Weight Rooftop Greening. Flower Research Journal. 13(1): 14-20. 

  10. Lee DK?Yoon SW?Oh SH and Jang SW. 2005. The Effect of Temperature Reduction as Influenced by Rooftop Greening.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Technology. 8(6): 34-44. 

  11. Lee EH?Cho EJ?Park MY?Kim DW and Jang SW. 2007. Selecting Plants for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 Based on Herbal Plants. 10(2): 84-96. 

  12. Lee EJ and Kim JH. 2012. Adoption of the Green Roof vs Non Green Roof - Application in DaeJeon Area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32(6): 134-140.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Technology Development for Restoration Natural Ecosystem of Urban Artificial Ground Final Report. 

  1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Design Basis of Building greening and Development of Recommended Design Book. 

  15. Nagase A and Dunnett N. 2010. Drought Tolerance in Different Vegetation Types for Extensive Green Roofs: Effects of Watering and Divers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7(4): 318-327. 

  16. Noh HS?Jeong BC?Lee KK and Lee JS. 2004. Studies of the Proper Shading Levels for the Native Ground Cover Plants. Flower Research Journal. 12(4): 330-336. 

  17. Oh SH. 2007. The Analysis of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of an Extensive Greenroof.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8. Park EJ?Kang YK, Nam MA. 2010. Green Roof Strategy for Mitigating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Policy Research. 2010-2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9. Rhie YH?Yun NY?Lee SY and Kim KS. 2013. Effect of Temperature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Variegated Solomon's Seal for Year-round Production. Flower Research Journal. 21(1): 23-26. 

  20. S. Naeem?L. J. Thompson?S. P. Lawler?J. H. Lawton and R. M. Woodfin. 1994. Declining Biodiversity can Alter the Performance of Ecosystems. Nature. 368: 734-737. 

  21. Youn HJ?Jang SW and Lee EH. 2013. Temperature Monitoring of Vegetation Models for the Extensive Green Roof.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3(5): 89-96 

  22. Zhang H.?Lu S.?Wu J.?Jiang Y.? Lu Y. and Zhao H. 2014. Effect of substrate depth on 18 non-succulent herbaceous perennials for extensive green roofs in a region with a dry spring. Ecological Enginerring. (71): 490-5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