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물 생장조건을 고려한 생태면적률 제도 개선 방향
A Study on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Biotope Area Ratio System Considering the Plant Growth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2, 2015년, pp.1490 - 1499  

이건원 (목원대학교 건축학부) ,  정윤남 (밀라노공대 건축학부) ,  지성균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  김세용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생태면적률 제도 보완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도시농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많은 공동주택단지에서 주민들이 텃밭을 일구고 있지만 이에 대한 건축 및 도시계획적 대응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이미 널리 활용 중인 생태면적률 제도를 활용하여, 이러한 도시농업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생태면적률 제도는 작물이 아닌 초목 만을 고려한 것으로 작물재배를 위해서는 한계가 분명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생태면적률 제도를 보다 확장하여 작물생장 성능까지 담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생태면적률의 요소에 일조, 간격, 면적, 토심이라는 요소를 더 추가하여 생태면적률의 보완가능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생태면적률 제도를 보완하여 최근의 도시농업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Biotope Area Ratio(BAR) systems used in the various fields.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demand in urban agriculture as well as more residents cultivating farms on a small scale. However, there are few measures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에서 식육가능한 작물 생장측면을 검토하여, 이를 유형화하여, 기존의 생태면적률 지표와 연결시킴으로써 생태면적률에 대해서 재검토하고, 그 수정·보완방향을 제안하는 것까지를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생태면적의 종류를 보다 세분화하기 위해서 작물생육조건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일조, 식재면적에 대해 분석을 실시했다.
  • 이를 위해서 간이 환경분석을 위해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Ecotect 2011을 활용했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태면적률의 발전방향을 검토할 수 있었으며, 실제로 도시공간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작물의 종류에 대해서 검토할 수 있었다.
  • 이를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친환경인증제의 필수지표 중 하나인 생태면적률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 지표는 이미 토양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자 개발된 지표이기 때문이다.
  • 둘째, 수도권의 아파트 단지 중 비교적 개발여건이 좋은 지역의 단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와같이 수도권인 판교택지개발지구 내 단지를 선정한 이유는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작물생장조건 중 일조가 용적률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너무 용적률이 평균적인 단지를 선정함으로써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이 용적률은 최근 5년간의 공동주택의 평균용적률이 2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계획의 중요한 패러다임 중 하나가 된 것은 무엇인가? 1992년 리우환경회의에서 ESSD의 제창 이래, 지속가능한 도시개념은 이제는 도시계획의 중요한 패러다임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도시는 최근엔저에너지도시, 저탄소 도시 등의 개념까지 포괄하며, 그것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다.
지속가능한 도시가 최근 포함한 개념은 무엇인가? 1992년 리우환경회의에서 ESSD의 제창 이래, 지속가능한 도시개념은 이제는 도시계획의 중요한 패러다임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도시는 최근엔저에너지도시, 저탄소 도시 등의 개념까지 포괄하며, 그것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다.
공동주택단지에서 건축 및 도시계획적 대응이 부족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은 어떤 방법이 있는가? 최근 도시농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많은 공동주택단지에서 주민들이 텃밭을 일구고 있지만 이에 대한 건축 및 도시계획적 대응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이미 널리 활용 중인 생태면적률 제도를 활용하여, 이러한 도시농업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생태면적률 제도는 작물이 아닌 초목 만을 고려한 것으로 작물재배를 위해서는 한계가 분명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 N. Kang, J. K. Lee, K. H. Kim, M. H. Lee, Revitalization Planning of Urban Farming Based on Vegetable Garden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6(1), 167-176, 2007 

  2. S. B. Kim, J. H. Kim, E. H. Jung, Environmental Friendly City and City Farming, Journal of Nakdonggang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7(1), 71-91, 2002 

  3. Ministry of environment, "Biotope area ratio application guidance", 2011 

  4. J. H. Koo, E. S. Lee, J. L. Lee, K. H. Lee, A Study on the Biotop Area Ratio Standard for the Apartment Housing Site : A Case of the Class II, III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in Seoul, Seoul Study, Seoul Study, 8(3), 131-142, 2007 

  5. H. S. Kim, S. Y. Moon, D. H. Jang, K. H. Lee,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Surface Type and It's Weight in Biotope-Area-Factor,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2(5), 175-182, 2006 

  6. H. S. Kim, S. Y. Moon, Practical Use of Biotop surface Factor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Plann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Proceeding, 24(1), 523-526, 2004 

  7. J. W. Hwang, A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Small Garden from the viewpoint of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2(4), 169-184, 2010 

  8. J. I. Hwang, Y. J. Choi, B. G. Jang, and S. Y. Rhee, Segment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Urban Farmers Behavior,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1(4), 619-631, 2010 

  9. H. J. Kang, S. Y. Kim, Drawing Crop Indices for revitalizing Urban Agriculture as Landscape Elements and Improvement of Biotope Area Ratio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4(2), 253-258, 2012 

  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gricultural Technology, http://www.rda.go.kr, (accessed Sept. 1, 2014) 

  11. Maki Fumie, Ishikura Hiroyuki, My house veranda 愛 vegetable gardening, A Kademibuk, 2007 

  12. T. H. Kim, M. W. Seo, Grow potted vegetable sprouts good for the body, Dong ailbosa,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