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서에 나타난 개발사업의 생태면적률 검토 연구
Analysis of Biotope Area Ratio in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7 no.4, 2018년, pp.394 - 401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환경영향평가생태면적률의 인구, 지역, 사업 유형, 총 사업면적에 따른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생태면적률은 총대지면적 중 생태적 기능이 있는 토지면적의 비율로, 생태계 보존과 개발된 단지에서 생활하는 시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에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환경영향평가에서는 가중치가 고려된 생태면적과 총 사업면적의 비로 생태면적률을 산출하며, 각 사업 유형 별로 최소 목표 생태면적률을 제시하여 최소한의 생태면적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경향성에 대한 평가는 도시의 개발,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 조성, 관광단지 개발, 폐기물처리시설 및 분뇨처리시설의 설치 사업 등 총 4가지 사업에 대하여 총 55개의 표본을 근거로 하였다. 본 연구는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인구에 대한 고려가 반영된 척도, 사업빈도와 지역 전체를 고려한 생태면적률 조정, 그리고 최소달성치 달성 여부에 대한 규제 강화를 통해 현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이후로 더 많은 수의 데이터를 포함한 광범위한 연구와, 구체적 제도개선에 대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ndency in ratio of biotope area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ccording to population, location, project type, and total project area was analyzed by type of the projects. According to EIA, biotope area ratio is the ratio of the weighted biotope areas and total project area. biotope 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계획 수단으로서 성공적인 이행을 위하여 환경영향평가에 실제 적용된 계획생태면적률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실행시 보완점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서의 계획 생태면적률을 이용하여 사업유형, 지역, 인구 등에 따라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사업들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 그러므로 계획 수단으로서 성공적인 이행을 위하여 환경영향평가에 실제 적용된 계획생태면적률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실행시 보완점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서의 계획 생태면적률을 이용하여 사업유형, 지역, 인구 등에 따라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사업들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면적률이란? 생태면적률이란 전체 개발 면적 중 생태적 기능 및 자연순환기능이 있는 토양면적이 차지하는 비율로서 개발공간의 생태적 기능 지표로 활용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1).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개별사업 유형별 생태면적률 달성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계획 목표생태면적률 설정 및 영향평가 협의시의 지표로 활용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6).
총대지면적에 따른 비율뿐만 아니라 인구 및 인구밀도를 기준으로 한 척도를 반영한 최소달성목표치가 마련되어야 하는 이유는? 본 연구는 인구에 대한 고려가 반영된 척도, 사업 빈도와 지역 전체를 고려한 생태면적률 조정, 그리고 최소달성치 달성 여부에 대한 규제 강화를 통해 현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총대지면적 뿐만 아니라 인구에 대한 생태면적 또한 증가하는 경 향이 있었으나 도시 개발 사업의 경우 평균적으로 1 인당 0.0018ha로, 생태면적은 낮은 수치라고 판단된 다. 도시는 시민들이 생활하는 터전으로, 거주민들의 삶의 질은 녹지면적에 의해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다(Kim & Lee 2007). 따라서 총대지면적에 따른 비율뿐만 아니라 인구 및 인구밀도를 기준으로 한 척도를 반영한 최소달성목표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도시의 녹지의 효과는? 도시의 녹지는 대기환경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Jo et al. 2003), 친환경적인 토지 이용형태로 인한 대기환경 악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하다(Joo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kbari H, Pomerantz M, Taha H. 2001. Cool surfaces and shade trees to reduce energy use and improve air quality in urban areas. Solar energy, 70 (3): 295-310. 

  2. Arnold CL Jr, Gibbons CJ. 1996. Impervious surface coverage: the emergence of a key environmental indicator.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2 (2): 243-258. 

  3. Bonay M, Aubier M. 2007. Air pollution and allergic airway diseases. Medical Science. 23(2): 187-192 

  4. Elvidge CD, Milesi C, Dietz JD, Tuttle BT, Sutton PC, Nemani R, Vogelman JE. 2004. US constructed area approaches the size of Ohio.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85 (24): 233-240. 

  5.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pport System. 2017. http://www.eiass.go.kr 

  6. Jo HG, Joe YH, Ahn TW. 2003. Effects of Urban Greenspace on Improving Atmospheric Environment - Focusing on Jung-gu in Seo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3): 83-90. [Korean Literature] 

  7. Joo HS, Kim SC, Choi SS, Bae SY. 2005. Study on the influence of green environment o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Korean Literature] 

  8. Keeley M. 2011. The Green Area Ratio: an urban site sustainability metric,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54(7): 937-958. 

  9. Kim SO, Lee SD. 2007. Study on the Ratio of Greenness in Residential Complex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6(5): 311-318. [Korean Literature] 

  10. Lakes T, Kim HO. 2012. The urban environmental indicator “Biotope Area Ratio”?an enhanced approach to assess and manage the urban ecosystem services using high resolution remote-sensing. Ecological Indicators. 13(1): 93-103.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Guidelines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biotopes. [Korean Literature]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Revised guidelines for biotope area ratio. [Korean Literature]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Revised guidelines for biotope area ratio. [Korean Literature] 

  14. Primack RB. 2012.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 Fifth Edition, Sinauer Associates Inc. 

  15. Salvi S. 2001. Pollution and allergic airways disease. Current Opinion in Allegy and Clinical Immunology. 1(1): 35-41. 

  16. Seo WH, Jang SS, Kwon HJ. 2000.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and Asthma in Taej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nvironmental Hygiene. 26(2): 80-90.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