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온수기 필터(pH)의 안정화 성능평가
Stabiliza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Filter(pH) Using Ionic Water Generator 원문보기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전자공학회논문지, v.52 no.3, 2015년, pp.199 - 205  

남상엽 (국제대학교 IT계열) ,  권윤중 (세명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온수기의 필터에 관련된 것으로 요즘 건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물은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서 이온 수기는 의료기기로 분류되어 식약청에서 승인을 거친 후 제조할 수 있고, 기능을 가지고 있는 물을 만드는 시스템이다. 이온 수기는 기본적으로 저장되고 포장된 물이 아니며 이온 수기는 수도나 지하수에 직접 연결되어 여러 가지 필터를 통해 깨끗하게 정수된 pH7~7.5의 중성수를 격막을 이용하여 전기 분해하면 물속에 있는 음이온양이온을 격막을 통해서 -전극 쪽에는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 나트륨($Na^+$)을 포함한 물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이 포함된 알칼리이온수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온수기에서 전기분해의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Ph농도를 5~9까지 변화를 주어 사용한다. 통상1단(pH8), 2단(pH8.5), 3단(pH9), 4단(pH9.5)으로 알칼리 이온 수에 사용되고 -1단(pH6.0), -2단(pH5.0)의 산성이온수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초기 필터의 상태를 확인해 보면 직수에서 필터를 통과한 정수상태에서 물은 약알칼리로 출수된다는 것이 큰 문제이다. 따라서 초기에 설정된 이온수의 pH값은 필터가 안정화된 후 값은 전혀 틀린 값이 나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초기에 설정된 이온수기의 pH 값은 사용 중 크게 변화하여 참값이 될 수 없음을 규명하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일정시간 통수 세척을 해서 사용하거나 필터의 초기 산성화 처리를 해서 중성화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ionic water generator filter Recently, a lot of people feel deep interest in health and drinking water. And there are various types of water. Ionic water generator is a system with special function, and can be classified as a medical device and should be manufactured after appro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림 9.와 같이 이온수기를 직수에 연결하여 중간에 실험하고자 하는 필터를 연결하였고, 활상카본 필터, 공중사막 필터, 카본블록 필터를 3가지를 각각 200리터씩 통수를 하면서 초기 값에서 pH가 안정화하는데 까지를 관찰과 실험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온수기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필터 3가지 활상카본 필터, 공중사막 필터, 카본블록 필터를 초기 값의 pH와 pH가 안정화될 때까지 통수를 하여 정수와 알칼리 이온수 4단계 그리고 산성 수 2단 계를 실험의 항목을 정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음용 기준의 물의 pH는 6.
  • L.이 처음으로 수용액에서 ℓ당 당량 단위의 수소 이온 농도를 나타내기 위해 pH를 측정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수기란? 정수기는 필터를 이용하여 물리적, 화학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해주는 정화 시스템이다. 정수기나 알칼리이온수기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여과 재료는 보통 1단계에서 3단계 정도로 적층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중금속과 잔류염소를 흡착하거나 냄새를 제거하여 물맛을 좋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4~,5] .
pH는 수소 이온 농도를 그 역수의 상용대수로 나타낸 값인 근거는? pH의 p는 대수의 power이고 H는 수소의 Hydrogen이온을 의미한다. 따라서 pH는 수소 이온 농도를 그 역수의 상용대수로 나타낸 값이다.
정수기나 알칼리이온수기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여과 재료는 보통 어떻게 사용되는가? 정수기는 필터를 이용하여 물리적, 화학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해주는 정화 시스템이다. 정수기나 알칼리이온수기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여과 재료는 보통 1단계에서 3단계 정도로 적층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중금속과 잔류염소를 흡착하거나 냄새를 제거하여 물맛을 좋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4~,5] . 이때에 사용되는 여과 재료는 이온 교환 수지, 입자 활성탄, 카본 블록, 중공사를 사용하고 있다[6]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Minister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ttp://www.mltm.go.kr/USR/policyData/m Accessed February 2013. 

  2. K. S. Lee "Prospect of water supply and policy", Kor. J. Air Condition Refrig. Eng., 23, pp. 357, 1994. 

  3. S. C. Park and K. S. Lee, "Runoff analysis and application of run off model of urban storm drainage network", Kor. J. Environ Health, 22, pp. 33, 1996. 

  4. K. C. Kang, S. S. Kim, J. W. Choi, and S. H. Kwon, "Sorption of $Cu^{2+}$ and $Cd^{2+}$ onto acid and base pretreated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activated carbon fiber samples", J. Ind. Eng. Chem., 14, pp. 131, 2008. 

  5. Kwang Cheol Kang, Jin Hee Ju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Blocks for Water Purifier Varying", Appl. Chem. Eng., Vol. 24, No. 6, pp. 668-671, December 2013. 

  6. Youn Man Back, Ju Chul Park, Hyung Jin Kim,"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Filter Used for Drinking Water Purifi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17 No. 6, pp. 899-905, 2008. 

  7. Yunjung Kwon, Sungchang Lee, "Study about density (ph) change of on alkaline ion by PWM voltage control necessary for a living body" SC,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Vol. 41 No. 6, pp. 37-42, 2004. 

  8. Yunjung Kwon, Sangyep Nam, "The PWM Control Which Used Microprocessor for Intensity Control of Acid Ion Wate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roea, Vol. 50 No. 7, 2004. pp. 269-27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