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WM 전압제어로 생체에 필요한 알칼리 이온수의 농도(ph)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a density (ph) change of an alkaline ion by PWM voltage control necessary for a living body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論文誌.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시스템 및 제어, v.41 no.6 = no.300, 2004년, pp.37 - 42  

권윤중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정보통신공학과) ,  이성창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정보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람의 체질이 산성화로 변화되는 것을 막고 생체 밸런스를 유지하기위해 알칼리수를 인간의 인체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알칼리수는 인체에 유익한 칼슘(Ca/sup +/), 칼륨(K/sup +/), 마그네슘(Mg/sup +/), 나트륨(Na/sup +/)등을 포함한 물로 되어있다. 이러한 알칼리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격막(격리된 특수막)을 통해 - 전극 쪽으로 미네랄들을 모아 생성한다. 물론 반대로 + 전극쪽으로는 염소(Cl), 인(P), 유황(S) 등의 - 이온을 띈 유기물들이 모여 산성수도 발생되어 다른 용도의 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전기분해 과정에서 - 극판과 + 극판에 PWM(pulse width modulation)전압을 Microprocessor를 이용하여 4종류의 PWM 전압을 구현하고, 전압별 ph농도 변화를 고찰해 보았다. 이와 같이 PWM제어를 이용하면 필요한 ph농도 값의 알칼리 이온수를 설정 값으로 하면 정확하게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necessary for what just keep a living body balance be devoted to it being varied with acidity serious trouble, and constitution of a study person about the density (ph) change that an alkaline ion necessary for a living body is numerical to supply a human body with number alkali by PWM voltage...

주제어

참고문헌 (8)

  1. http://www.who.int/ 

  2. 捕田純一, 公衆衛生, 新しい水の可能性について-機能水の公衆衛生への應用とその將來希展望,58(11), pp755-758, 1994 

  3. Yoshikawa T, Naito Y, Kishi A, Role of active oxygen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s in the pathogenesis of gastric mucosal injury induced by indomethacin in rats. GUT, 34, pp732-737, 1993 

  4. Amstrong AM, Chestnutt JE, Gormley MJ and Young IS, The effect of dietary treatment on lipid peroxdation and antioxidant status in newly diagnosed noninsulin dependent diebetes. Free Radic Biol Med, 21(5) pp719-726, 1996 

  5. Peuchant E, Delmas-Beauvieux MC, Dubourg L, Thomas MJ, Short-term insulin therapy and normoglycemia. Effects on erythrocyte lipid peroxidation in NIDDM patients Diabetes Care, 20(2) : pp202-207, 1997 

  6. Yoshikawa T, Arai M, Naito Y, Yagi N, Matsuyama K, Nishimura S and Kondo M Effects of function water on gastric mucosal injury in rats. 日本機能水硏究振興財團 平成6年硏究報告書, pp104-110, 1994 

  7. 전무식, 최규완, 노임환, 위장관 만성특발염 변비 환자에 대한 알칼리성 이온수의 치료효과 대한소화기학회, 22권, 4호 pp.02-809, 1990 

  8. ATMAL RISC MICROCONTROLLER DATA BOOK pp.17-39,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