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자본이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ocial Capital on Married Immigrant Women's Parenting in South Korea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7 no.1, 2015년, pp.239 - 261  

이채원 (숭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결혼이민자들은 한국사회에서 새로이 사회관계망을 구축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므로 사회자본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자녀양육과정상의 어려움과 관련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사회자본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양육참여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정내 사회자본과 가정외 사회자본이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경기교육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459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매개효과의 분석을 위해 매개변인인 양육참여를 제외한 주효과모형과 투입한 매개효과모형을 비교하고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수행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가정외 가정내 사회자본은 양육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양육참여가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모형에서 가정외, 가정내 사회자본은 양육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양육참여가 이들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married immigrant women's parenting,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particip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ocial capital within and outside of the family were examined in their relations to parenting e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구성원으로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회통합과 참여를 반영하는 변인으로 사회자본에 주목하고 사회자본이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을 가정내 사회자본과 가정외 사회자본으로 구분하여 각각이 이들의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양육참여를 통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에서 형성하는 사회자본이 자녀에 대한 적극적 양육참여를 가능하게 하며 궁극적으로 양육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본다. 이에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을 가족내 관계와 가족외 관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러한 사회자본이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자본의 형성이 새로운 사회로 이주한 이주자의 사회적응에 중요한 영향요인이라는 점을 자녀양육과정과 관련하여 다시한번 확인해준 것이라고 하겠다. 어린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경험이 주로 다른 가족원들에 의해 양육주도권을 빼앗기거나 주요 의사결정 등에서 소외되는 경험이라면 학령기에 접어든 자녀의 양육과정에서는 정보의 부족과 사회적 지원의 제한 등으로 인한 효능감의 저하가 문제로 대두된다.
  •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특히 자녀의 학교관련 사회자본과 가족내 사회자본은 이들의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을 가족내 사회자본과 가족외 사회자본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사회자본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러한 과정을 양육참여가 매개할 것으로 보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 이와 같이 자녀교육이나 양육과 관련된 사회자본의 연구들에서도 구체적으로 사회자본을 어떻게 정의하는지는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대체로 가족관계 혹은 가족밖의 다른 사회체계나 구성원들과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본다는 공통점이 발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을 정의함에 있어서 이들이 자녀양육과 관련해서 주로 접촉하는 사회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가족관계와 같은 가정내 사회자본과 학교교사나 학부모활동, 혹은 다른 학부모들과의 관계망으로 나타날 수 있는 가정외 사회자본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에서 형성하는 사회자본이 자녀에 대한 적극적 양육참여를 가능하게 하며 궁극적으로 양육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본다. 이에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을 가족내 관계와 가족외 관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러한 사회자본이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주사회의 수용성이 낮을경우 생기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사회자본은 지역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구축된 사회적 관계망과 이러한 관계망에서 개인이 특정 목적을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잠재적인 자원을 의미하는데, 새로운 사회로 이주한 이민자는 개인이 평생동안 구축해왔던 사회관계망에서 떨어져 나와 이주사회 내에서 다시 새로이 사회관계망을 구축해야만 하는 과업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이주사회의 수용성이 낮으면 새로운 사회관계망으로의 진입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는 사회자본 형성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회자본은 개인이 한 사회내에서 어떠한 지위를 점하고 어떠한 사회관계망을 구축하여 효과적으로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히 이주민의 사회적응과 통합을 살펴보는 데에 유용한 개념이라고 하겠다.
다문화가정의 어머니가 자녀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다양한 이유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는 자녀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데에 어려움을 경험한다. 가정 내에서 여성결혼이민자가 적극적으로 자녀양육 및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줄 가족의 지원이 부족할 때가 많고(이은하, 2010), 가정 외적으로는 여성결혼이민자가 상대적으로 잘 알지 못하는 한국의 교육제도나 문화적 관행 등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안내해줄 자원이 부족할 때가 많다(이채원 외, 2013). 이러한 환경적 조건들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적극적으로 자녀양육에 참여하는 데에 제약조건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부모역할 효능감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사회자본이란 무엇인가? 새로운 사회로 이주한 이주민의 사회참여와 통합을 살펴볼 때에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개념이 사회자본이다. 사회자본은 지역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구축된 사회적 관계망과 이러한 관계망에서 개인이 특정 목적을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잠재적인 자원을 의미하는데, 새로운 사회로 이주한 이민자는 개인이 평생동안 구축해왔던 사회관계망에서 떨어져 나와 이주사회 내에서 다시 새로이 사회관계망을 구축해야만 하는 과업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이주사회의 수용성이 낮으면 새로운 사회관계망으로의 진입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는 사회자본 형성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