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동부해역 대구 Gadus macrocephal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Southeast Sea of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7 no.2, 2015년, pp.142 - 148  

이정훈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김정년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박준수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박탐이나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남기문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2년 2월부터 2013년 6월까지 남동부해역에서 기선저인망과 호망에 의해 채집된 대구 620 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620개체 중 192개체는 먹이가 포함되어 있었고, 428개체는 공위였다. 연구에 사용된 개체의 전장범위는 20.4~95.2 cm였다. 대구는 주로 어류, 새우류, 두족류를 섭식하였고, 소량이지만 집게류, 게류, 곤쟁이류, 등각류, 단각류 등도 섭식하였다. 먹이생물 중 어류의 비율은 대구의 전장이 커질수록 증가하였으나, 계절적 변화는 없었다. 새우류와 두족류의 비율은 성장하면서 감소하였고, 계절적 차이는 뚜렷하였다. 가을부터 겨울까지 주로 새우류가 포함되어 있는 반면, 봄부터 여름까지는 두족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were studied using 620 specimens collected by bottom trawl and pound net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from February 2012 to June 2013. Of 620 specimens, 192 contained food and 428 were empty. The total length (TL) of individuals used in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2)에 의한 주문진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대구의 식성 연구는 동해안에서도 최소 2가지 계군 (동해안 계군과 남동부해역 계군)이 동시에 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해역 (Gwak and Nakayama, 2011)으로, 본 연구의 남동부해역 계군으로 판단되는 대구와 식성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동부해역에 출현하는 대구의 식성을 파악하고,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이전의 식성연구와 비교하여 계군별 식성에 관한 생태학적 특성을 검토함으로써 효과적인 대구 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평양 연안 국가에서 대구의 입지는? 대구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러시아 등 태평양 연안 국가에서 중요한 상업성 어종으로 알려져 있다 (Westrheim, 1996). 우리나라에서의 대구 어획량은 1990년대 초반부터 후반까지 어획량이 매우 낮았으나, 2000년대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3년 1,826톤에서 2013년 9,133톤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MOF, 2014).
대구가 산란을 위해 남해안으로 이동하는 이유는? , 2005). 이러한 이동은 자치어의 높은 생존율과 저수온기의 빠른 성장을 위해 수온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을 찾아 이동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대표적인 산란장은 진해만으로 알려져 있고 (Uchida, 1936), 산란을 끝낸 대구는 북쪽해역 또는 깊은 수층으로 이동한다 (NFRDI, 2004; Kim et al., 2005; Kim, 2006).
대구란? 대구 (Gadus macrocephalus)는 우리나라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대구목 (Gadiformes) 대구과 (Gadidae) 어류 5속 5종 중 한 종으로, 우리나라 동해, 서해, 일본 북부, 동중국해, 베링해 등 지의 수온 5〜12℃, 수심 45〜450 m의 깊은 바다에 떼를 지어 서식하며, 동계산란형 어류로 동해에 서식하는 대구는 산란을 위해 남해안으로 이동을 한다 (Hirai, 2003; NFRDI, 2004; Kim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undsen, P.A., H.M. Gabler and F.J. Staldvik. 1996. A new approach to graphical analysis of feeding strategy from stomach contents data modification of Costello (1990) method. J. Fish Biol., 48: 607-614. 

  2. Baeck, G.W., S.H. Huh, J.M. Park and S.C. Park. 2007. Feeding habits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deok-do, Korea. Kor. J. Ichthyol., 19: 318-323. 

  3. Ferry, L.A. and G.M. Calliet. 1996. Sample size and data analysis: are we characterizing and comparing diet properly. In: MacKinlay, D. and K. Shearer (eds.), Feeding Ecology and Nutrition in Fish, Symp Proc, American Fisheries Society, San Francisco, CA, pp. 71-80. 

  4. Furumitsu. 2009. Studies of Taxonomy and Life History of Genus Dasyatis from the Eastern Asia. Ph.D Thesis, Nagasaki Univ., Nagasaki, Japan. 

  5. Gerking, S.D. 1994. Feeding Ecology of Fish. San Diego, CA, Academic Press, pp. 416. 

  6. Gwak, W.S. 2010. Fecundity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Jinhae Bay during spawning period. Kor. J. Ichthyol., 22: 121-125. 

  7. Gwak, W.S. and K. Nakayama. 2011.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Korean waters revealed by mtDNA and msDNA markers. Fish. Sci., 77: 945-952. 

  8. Hirai, A. 2003. Story of Fish Egg. Sezandoshoten. Tokyo, pp. 182. (in Japanese) 

  9. Hong, S.Y., K.Y. Park, C.W. Park, C.H. Han, H.L. Suh, S.G. Yun, C.B. Song, S.G. Jo, H.S. Lim, Y.S. Kang, D.J. Kim, C.W. Ma, M.H. Som, H.K. Cha, K.B. Kim, S.D. Choi, K.Y. Park, C.W. Oh, D.N. Kim, H.S. Shon, J.N. Kim, J.H. Choi, M.H. Kim and I.Y. Choi. 2006. Marine Invertebrates in Korean Coasts. Academy Press, 487pp. 

  10. Jeo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 Press, 728pp. 

  11. Kim, I.S., Y. Choi, C.Y.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Ltd, 615pp. 

  12. Kim, Y.U., J.G. Myung, Y.S. Kim, K.H. Ham, C.B. Kang, J.K. Kim and J.H. Ryu. 2006. Marine Fishes of Korea. Hanguel, 397pp. 

  13. Lee, C.S., Y.H. Hur, J.Y. Lee, W.K. Kim, S.H. Hong, S.J. Hwang and S.H. Choi. 2005. Maturity and spawning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East Sea. Kor. J. Aquat. Sci., 38: 245-250. 

  14. MOF. 2014. Fisheries Information Service, http://www.fips.go.kr/ 

  15. NFRDI. 2001. Shrimps of the Korean Waters. Hanguel, 188pp. 

  16. NFRDI. 200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 Offshore Waters of Korea. Hanguel, 333pp. 

  17. Park, C.Y. and W.S. Gwak. 2009. Comparison of stomach contents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Korean Coastal Waters. Kor. J. Ichthyol., 21: 28-37. 

  18.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19. Sano, M. 1989. Feeding habits of Japanese Butterfly fishes (Chaetodontidae). Environ. Biol. Fish., 25: 195-203. 

  20. Uchida, K. 1936. On the Pacific cod of adjacent waters to Korea. Chousen no Suisan, 130: 24-39. 

  21. Westrheim, S.J. 1996. On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British Columbia waters, and a comparison with Pacific cod elsewhere, and Atlantic cod (G. morhua). Can. Tech. Res. Fish. Aquat. Sci., 2092, pp. 390. 

  22. Wooton, R.J. 1990. Ecology of Teleost Fishes. Champman Hall, New Yolk, Usa, 404pp. 

  23. Yamada, U.Y., M.H. Tokimura, H. Horikawa and T. Nakahoka. 2007. Fishes and Fisheries of the East China and Yellow Seas. Tokai University Press, pp. 1029-1116. 

  24. Yamaguchi, A., K. Furumitsu, S. Tanaka and G. Kume. 2011. Dietary habits of the fanray Platyrhina tangi (Batoidea: Platyrhinidae) in Ariake Bay, Japan. Environ. Biol. Fish., 95: 147-154. 

  25. Yoon, S.C., J.H. Yang, J.H. Park, Y.M. Choi, J.H. Park and D.W. Lee. 2012.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Coastal Waters off Jumunjin, Gangwonddo of Korea. Kor. J. Aquat. Sci., 45: 379-386. 

  26. Zhang, C.I. 2010. Marine Fisheries Resource Ecology. PKNU Press, 561pp. 

  27. Zhang, C.I. 1984. Pacific cod of South Korean Waters. INPFC Bull. 42: 116-1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