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 연안에 출현하는 참홍어(Beringraja pulchr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in the Coastal Waters of Incheo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0 no.4, 2018년, pp.232 - 237  

정경숙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박준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손명호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이형빈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한송헌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조현수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산시스템전공) ,  김맹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천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참홍어의 식성을 분석하기 위해 2017년 2월부터 2018월 3월까지 총 203개체를 채집하였다. 참홍어의 체반장은 31.1~77.7 cm의 범위였으며, 16개체는 공복상태였다. 참홍어는 주로 어류와 새우류를 섭식하는 육식성 어류로 확인되었으며, 그 외 다양한 저서 갑각류와 무척추동물을 소량 섭식하였다.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새우류인 마루자주새우의 섭식비율이 가장 높았고, 어류는 까나리의 섭식비율이 높았다. 참홍어의 체장이 커질수록 새우류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며 어류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평균 먹이생물의 개체수와 중량은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Beringraja pulchra were studied using 203 specimens collected from February 2017 to March 2018 in the coastal waters of Incheon, Korea. The size of B. pulchra ranged from 31.1 to 77.7 cm in disc width (DW) and the stomachs of 16 specimens were empty. B. pulchra was a carnivo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인천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참홍어의 위내용물 분석을 통하여 주요 먹이생물을 알아보고 성장에 따른 먹이생물 조성의 차이를 파악하여 향후 참홍어 자원회복을 위한 관리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홍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무엇인가? 8%를 차지하는 어류 (Pisces)였다. 어류 중에서도 까나리 (Ammodytes personatus)가 개체수비34.3%, 습중량비 22.1%로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 다음으로 반지 (Setipinna tenuifilis), 대구 (Gadus macrcephalus), 멸치 (Engraulis japonicus) 순으로 많이 섭식하였다.
참홍어란 무엇인가? 참홍어 (Beringraja pulchra)는 홍어목 (Rajiformes) 홍어과 (Rajidae)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오호츠크해, 동중국해 등에 분포한다 (Kim et al., 2005).
우리나라의 참홍어의 서식지와 특징은? , 2016), 국내에 5속 11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IBR, 2011). 우리나라의 참홍어는주로 서해안에 서식하고, 근해연승, 쌍끌이기선저인망, 안강망, 자망 등에 의해 어획되고 있으며, 연간 산란량이 적고 부화기간이 5개월 이상으로 길어 자원으로 가입하는 기간이 긴 어종으로 알려져 있다 (Jo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tonenko, D.V., S.F. Solomatov, A.A. Balanov, S.T. Kim and P.V. Kalchugin. 2011. Occurrence of skate Raja pulchra (Rajidae, Rajiformes) in Russian waters of the Sea of Japan. J. Ichthyol., 51: 426-431. 

  2. Baeck, G.W., C.I. Park, H.C. Choi, S.H. Huh and J.M. Park. 2011. Feeding habits of ocellate spot skate, Okamejei kenojei (Muller & Henle, 1841), in coastal waters of Taean, Korea. J. Appl. Ichtyol., 27: 1079-1085. (in Korean) 

  3. Chung, S.W., B.G. Kim, J.H. Kim, M.G. Kim and K.N. Han. 2014. Feeding ecology of Collichthys lucidus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Korean J. Ichthyol., 26: 303-309. (in Korean) 

  4. Follesa, M.C., A. Mulas, S. Cabiddu, C. Porcu, A.M. Deiana and A. Cau. 2010. Diet and feeding habits of two skate species, Raja brachyura and Raja miraletus (Chondrichthyes, Rajidae) in Sardinian waters (central-western Mediterranean). Italian J. Zoology, 77: 53-60. 

  5. Gerking, S.D. 1994. Feeding ecology of fish. Academic Press, Sandiego, U.S.A., p. 416. 

  6. Hong, S.H., I.J. Yeon, Y.J. Im, H.J. Hwang, T.S. Ko and Y.C. Park. 2000. Feeding habits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58: 1-11. (in Korean) 

  7. Hong, S.Y., K.Y. Park, C.W. Park, C.H. Han, H.L. Suh, S.G. Yun, C.B. Song, S.G. Jo, H.S. Lim, Y.S. Kang, D.J. Kim, C.W. Ma, M.H. Son, H.K. Cha, K.B. Kim, S.D. Choi, K.Y. Park, C.W. Oh, D.N. Kim, H.S. Shon, J.N. Kim, J.H. Choi, M.N. Kim and I.Y. Choi. 2006. Marine Invertebrates in Korean Coasts. Academy Publishing Co. Inc., Seoul, pp. 302-409. 

  8. Hwang, S.D. 1998. Diel and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ry resources collected by a bag net off Kongunsan-gundo. Korean J. Ichthyol., 10: 155-163. (in Korean) 

  9. Im, Y.J. and H.S. Jo. 2015. Migration and growth rate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by the tagging release program in the Yellow Sea, Korea. J. Kor. Soc. Fish. Technol., 51: 227-234. (in Korean) 

  10. Jang, M.H., H.S. Jo, D.H. Kwon, B.Y. Cha, J.H. Hwang, K.N. Han and Y.J. Im. 2014.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catch fluctuations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in the eastern Yellow Sea. Korean J. Ichthyol., 26: 295-302. (in Korean) 

  11. Jeong, C.H. 1999. A review of taxonomic studies and common names of Rajid fishes (Elasmobranchii, Rajidae)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11: 198-210. (in Korean) 

  12. Jeong, J.M., H.J. Kim, G.W. Baeck, S.J. Ye and S.H. Huh. 2015. Feeding habits of ocellate spot skate, Okamejei kenojei in the coastal waters of Gadoek-do, Korea. J. Kor. Soc. Fish. Technol., 51: 265-271. (in Korean) 

  13. Jo, H.S., E.J. Kang, Y.R. Cho, H.C. Seo, Y.J. Im and H.J. Hwang. 2010. Characteristics of multi-embryo egg capsule and larvae of mottled skate Raja pulchra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22: 217-224. (in Korean) 

  14. Jo, H.S., H.J. Hwang, D.H. Kwon, G.S. Jeong, K.H. Choi, B.Y. Cha and Y.J. Im. 2011. Fishing characters of skate ray, Raja pulchra by the offshore longline fishery in Heuksan-do, Korea. J. Kor. Soc. Fish. Tech., 47: 403-410. (in Korean) 

  15. Jo, H.S., K.H. Kim, M.J. Kim, H.J. Kim, D.H. Kwon, Y.J. Im, M.S. Heu and J.S. Kim. 2013. A comparison of the taste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domestic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according to the area caught, sex and weight. Korean J. Fish. Aquat. Sci., 46: 129-138. (in Korean) 

  16. Kang, H.W., Y.R. Jo, D.Y. Kang, G.S. Jeong and H.S. Jo. 2013. Spawning characteristics and artificial hatching of female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in the west coast of Korea. Dev. Reprod., 17: 247-255. 

  17. Kim, I.S., Y. Choi, C.R.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p. 74. (in Korean) 

  18. Kim, U.K., Y.M. Kim and Y.S. Kim. 199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and Offshore Waters in Korea. Yemoonsa press, Pusan, Korea, p. 299. (in Korean) 

  19. Kim, S.Y., Y.J. Im, H.S. Jo, B.Y. Cha, D.H. Kwon and H.J. Hwang. 2013. Fishing characteristics of bean traw fishery in the coastal waters of Chungnam Province, Korea, J. Korean Soc. Mar. Env. Saf., 31: 459-466. 

  20. Nelson, J.S., T.C. Grande and M.V.H. Wilson. 2016. Fishes of the World. 5th ed.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p. 90. 

  21. NFRDI. 2001. Shrimp of the Korea Waters. MOMAF, Nat'l. Fish. Res. Dev. Inst. p. 188. 

  22. NFRDI. 2009. Status and recommendation on the fisheries resources under rebuilding plan in 2009. TR-2009-FR-010, p. 309. 

  23. NIBR. 2011. Fish species of Korea. In: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ertebrates).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pp. 3-189. 

  24. Park, J.S. 2009. Symbolization of skates and local festivals - A case study at Yeongsanpo and Heuksando. Korean Cultural Studies, 33: 487-519. (in Korean) 

  25.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26. Robinson, H.J., G.M. Cailliet and D.A. Ebert. 2007. Food habits of the longnose skate, Raja rhina (Jordan and Gilbert, 1880), in central California waters. J. Environ. Biol. Fish., 80: 165- 179. 

  27. Song, M.Y., M.H. Sohn, Y.J. Im, J.B. Kim, H.Y. Kim, I.J. Yeon and H.J. Hwang. 2008. Seasonal variation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bag-net catch from the coastal waters of Incheon, Korea. J. Kor. Fish. Soc., 41: 272-281. (in Korean) 

  28. Wotton, R.J. 1990. Ecology of teleost fishes. Chapan Hall, New York, p. 404. 

  29. Yeon, I.J., S.H. Hong, Y.C. Park, J.S. Lee, S.T. Kim and H.K. Cha. 1997. The reproduction of Raja pulchra Liu in the Yellow Sea.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53: 23-36. (in Korean) 

  30. Yeon, I.J., S.H. Hong, H.K. Cha and S.T. Kim. 1999. Feeding habits of Raja pulchra in the Yellow Sea.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57: 1-11. 

  31. Yoon, H.S. 2008. Commodification of the skate food and Chollado regional identity - From the common/ritual food to the cuisine. Localities, 32: 399-42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