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곰소 염전에서 분리한 호염성 고세균의 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the halophilic archaea isolated from solar saltern, Gomso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1 no.4, 2015년, pp.427 - 434  

고현우 (제주대학교 생물학과) ,  김소정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이성근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박수제 (제주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부분의 호염성 고세균은 고염환경으로 알려진 천일염전(solar saltern), 염호수(salt lake)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고염환경으로부터 분리배양을 통하여 호염성 고세균의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호염성 미생물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고염배지를 제작하고, 총 7개의 순수 배양체를 확보하였다. 분리된 호염성 미생물들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에 대한 계통학상동성 분석을 실시하여 Halorubrum 속의 미생물 4종, Halogeometricum 속의 미생물 1종, Halobacterium 속의 미생물 1종, Haloarcula 속의 미생물 1종을 각각 확보 할 수 있었다. 이들 호염성 고세균들은 모두 그람 음성균이며, nitrate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 혐기적 조건에서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분리된 모든 미생물들은 12-30% (w/v, NaCl) 염분을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의 호염환경으로 부터 호염성미생물의 분리기술 및 관련 연구에 대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며, 국내의 다양한 극한환경에서 서식하는 미생물 배양체 확보를 통하여 국내 생물자원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of halophilic archaea are found in the various hypersaline environments including solar saltern, salt lake with very high salt concentration. The present study is about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alphilic archaea from Gomso solar saltern known as a representative high salt environment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의 호염성 고세균은 고염환경으로 알려진 천일염전(solar saltern), 염호수(salt lake)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고염환경으로부터 분리배양을 통하여 호염성 고세균의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호염성 미생물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고염배지를 제작하고, 총 7개의 순수 배양체를 확보하였다.
  • 국내의 경우, 극한미생물의 배양, 순수분리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진은 국내의 대표적 극한환경 중 하나인, 염전 및 주변 퇴적물에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호염성 고세균의 분리, 동정을 시도하고,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호염성 고세균들은 비교적 높은 염분을 성장에 필요로 하고 있으며(최소 NaCl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 배양성 미생물의 배양 기술과 차세대 시퀀싱 기법의 도입으로 현재는 고세균을 어떻게 분류하게 되었는가? , 1990),두 개의 주요 문(Phylum)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난배양성 미생물의 배양기술 및 차세대시컨싱기법(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iques; NGS) 등을 활용한 분자생태학적 기법의 발달로 인하여, Korarchaeota, Nanoarchaeota, Thaumarchaeota, Woesearchaeota, Parvachaeota, Aigarchaeota 그리고 Pacearchaeota 등으로 세분화되어 분류되고 있다(Brochier-Armanet et al., 2008; Guy and Ettema,2011; Spang et al.
Euryarchaeota를 구성하는 그룹은 무엇이 있는가? Euryarchaeota는 생리적으로 다양한 고세균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탄생성균(methanogen), 호염성 고세균(haloarchaea), 호산성 고온균(acido-thermophiles) 및 일부 초고온성 균(hyperthermophiles)을 포함한다. 이에 비하여 Crenarchaeota 의 경우 대부분 초고온성균(hyperthermophiles)들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onfa, M.R., Grossman, M.J., Mellado, E., and Durrant, L.R. 2011. Biodegrad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by Haloarchaea and their use for the reduction of the chemical oxygen demand of hypersaline petroleum produced water. Chemosphere 84, 1671-1676. 

  2. Brochier-Armanet, C., Boussau, B., Gribaldo, S., and Forterre, P. 2008. Mesophilic Crenarchaeota: proposal for a third archaeal phylum, the Thaumarchaeota. Nat. Rev. Microbiol. 6, 245-252. 

  3. Castelle, C.J., Wrighton, K.C., Thomas, B.C., Hug, L.A., Brown, C.T., Wilkins, M.J., Frischkorn, K.R., Tringe, S.G., Singh, A., Markillie, L.M., et al. 2015. Genomic expansion of domain archaea highlights roles for organisms from new phyla in anaerobic carbon cycling. Curr. Biol. 25, 690-701. 

  4. DeLong, E.F. 1992. Archaea in coastal marine environments. Proc. Natl. Acad. Sci. USA 89, 5685-5689. 

  5. Felsenstein, J. 1981. Evolutionary trees from DNA sequences: a maximum likelihood approach. J. Mol. Evol. 17, 368-376. 

  6. Fitch, W.M. 1971. Toward defining the course of evolution: minimum change for a specific tree topology. Syst. Zool. 20, 406-416. 

  7. Grant, W.D., Kamekura, M., McGenity, T.J., and Ventosa, A. 2001. Class III. Halobacteria class. nov. The Archaea and the Deeply Branching and Phototrophic Bacteria. In Boone, D.R., Castenholz, R.W., and Garrity, G.M. (eds.),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 (ed.)Vol. 1, pp. 294-334. Springer-Verlag, New York, USA. 

  8. Guy, L. and Ettema, T.J. 2011. The archaeal 'TACK' superphylum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Trends Microbiol. 19, 580-587. 

  9. Hall, T.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eic Acids Symp. Ser. 41, 95-98. 

  10. Oren, A. 2014. Taxonomy of halophilic Archaea: curr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Extremophiles 18, 825-834. 

  11. Oren, A. 2015. Halophilic microbial communities and their environments. Curr. Opin. Biotechnol. 33, 119-124. 

  12. Oren, A., Ventosa, A., and Grant, W. 1997. Proposed minimal standards for description of new taxa in the order Halobacteriales. Int. J. Syst. Evol. Microbiol. 47, 233-238. 

  13.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14. Sehgel, S.N. and Gibbons, N.E. 1960. Effect of some metal ions on the growth of Halobacterium cutirubrum. Can. J. Microbiol. 6, 165-169. 

  15. Smibert, R.M. and krieg, N.R. 1994. Phenotypic characterization. In Gerhardt, P., Murray, R.G.E., Wood, W.A., and Kreig, N.R. (eds.), Methods for general and molecular bacteriology, Vol. 1325, pp. 607-654.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USA. 

  16. Spang, A., Martijn, J., Saw, J.H., Lind, A.E., Guy, L., and Ettema, T.J. 2013. Close encounters of the third domain: the emerging genomic view of archaeal diversity and evolution. Archaea 2013, 202358. 

  17.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and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 2725-2729. 

  18. Ventosa, A., Nieto, J.J., and Oren, A. 1998. Biology of moderately halophilic aerobic bacteria. Microbiol. Mol. Biol. Rev. 62, 504-544. 

  19. Ventosa, A., Quesada, F., Rodriiguez, F.V., Ruiz, B.Q.F., and Ramos, C.A. 1982. Numerical taxonomy of moderately Gram negative rods. J. Gen. Microbiol. 128, 1959-1968. 

  20. Weisburg, W.G., Barns, S.M., Pelletier, D.A., and Lane, D.J. 1991. 16S ribosomal DNA amplification for phylogenetic study. J. Bacteriol. 173, 697-703. 

  21. Widdel, F. and Bak, F. 1992. Gram-negative mesophilic sulfatereducing bacteria, pp. 3352-3378. In Balows, A., Truper, H., Dworkin, M., Harder, W., and Schleifer, K.H. (eds.), The Prokaryotes. Springer New York, USA. 

  22. Woese, C.R. and Fox, G.E. 1977. Phylogenetic structure of the prokaryotic domain: the primary kingdoms. Proc. Natl. Acad. Sci. USA 74, 5088-5090. 

  23. Woese, C.R., Kandler, O., and Wheelis, M.L. 1990. Towards a natural system of organisms: proposal for the domains Archaea, Bacteria, and Eucarya. Proc. Natl. Acad. Sci. USA 87, 4576-45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