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난지형 마늘 재배시 잡초발생 억제와 친환경 방제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필름을 이용한 멀칭재배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멀칭 필름의 투광률은 흑색 PE 필름은 1.1%, 녹색 PE 필름은 26.1%, 투명 PE 필름은 86.1%, 생분해성 필름은 75.4%로 흑색 PE 필름의 경우 대부분의 광이 투과되지 못하였지만 녹색 PE 필름은 일부 광이 투과되었고 생분해성 필름과 투명 PE 필름은 투광률이 높았다. 지온은 무멀칭구에 비해 멀칭구가 높았고 투명 PE 필름, 생분해성 필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장과 구중에서도 지온이 높게 유지되었던 멀칭구가 높았고 투명 PE 필름, 생분해성 필름이 가장 높았다. 멀칭재료별 소실상태는 멀칭 7개월까지 비닐 및 부직포멀칭구는 외관상 크게 소실되는 것을 없었으나, 생분해필름은 멀칭 5개월 이후 필름표면에 가로로 미세한 줄이 나타났고 쉽게 찢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biodegradable mulching film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garlic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eco-friendly weed control techniques. The treatments included biodegradable film (Bio-De) and black (Black-PE), green (Green-PE), transparent (Trans-PE) polyethylene mulching film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난지형 마늘 재배시 잡초발생 억제와 친환경 방제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필름을 이용한 멀칭재배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멀칭 필름의 투광률은 흑색 PE 필름은 1.
  • 최근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분 등 천연소재를 주성분으로 제조하여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저분자화합물로 되었다가 최종적으로 물,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등으로 분해되는 필름이 개발되고 있다(Ruy and Kim, 1998; Bloembergen 등, 1993). 본 연구는 농업용 PE 필름의 수거 노동력을 절감하고, 농촌환경을 오염시키는 폐비닐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비닐 피복재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 필름 멀칭재배의 장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마늘 멀칭재배는 인편 파종 후 본엽이발생하였을 때 PE(Polyethylene) 필름으로 멀칭하거나, 토양 경운을 한 후에 유공 PE 필름으로 멀칭을 한다. PE 필름 멀칭재배는 마늘 등 노지작물 뿐만 아니라 시설재배에서도 생육촉진, 수량증가, 재배기간 확대를 통해서 농가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하는 등 장점이 있지만 농기계로 수확하거나 경운을 할 경우 인력으로 비닐을 제거해야 한다. 특히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는 PE 필름은 분해가 되지 않고 장기간 토양 및 환경을 오염시키며 농경지 주변에 방치되어 농촌경관을 훼손하고 있다.
PE 필름 멀칭재배의 단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마늘 멀칭재배는 인편 파종 후 본엽이발생하였을 때 PE(Polyethylene) 필름으로 멀칭하거나, 토양 경운을 한 후에 유공 PE 필름으로 멀칭을 한다. PE 필름 멀칭재배는 마늘 등 노지작물 뿐만 아니라 시설재배에서도 생육촉진, 수량증가, 재배기간 확대를 통해서 농가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하는 등 장점이 있지만 농기계로 수확하거나 경운을 할 경우 인력으로 비닐을 제거해야 한다. 특히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는 PE 필름은 분해가 되지 않고 장기간 토양 및 환경을 오염시키며 농경지 주변에 방치되어 농촌경관을 훼손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3년 한 해 동안 농촌 폐비닐 발생량은 332천톤에 이르지만 수거 실적은 189천톤으로 약 59%가 수거되고 나머지는 농경지나 주변에 버려져 있다(KEC, 2014).
PE필름과 비교한 멀칭작업 후 생분해성 필름에 나타나는 변화는? 이 결과는 Kijchavengkul 등(2008)이 인장강도, 신장률은 PE 필름은 3개월 경과하여도 완만히 감소하였지만 생분해성 필름은 2개월 이후 현저히 감소되었다는 결과와 같은 경향이었다. 특히 본 시험에서 PE 필름은 멀칭 후 7개월이 경과한 경우에도 물리적인 특성 완만히 감소한 반면에 생분해성 필름은 분해가 진행되면서 신축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외부의 충격에 쉽게 찢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토양과 접촉한 부분은 분해되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guyoh, J., H.G. Taber, and V. Lawson. 1999. Maturity of fresh-market sweet corn with direct-seeded plants, transplants, clear plastic mulch, and rowcover combinations. Hort. Technology. 9: 420-425. 

  2. Albertsson, A. c., C. Barenstedt, and S. Karlsson. 1992. Susceptibility of enhanced environmentally degradable polyethylene to thermal and photo-oxidation. Polymer Deg. and Stabil. 37: 163-168. 

  3. Bloembergen, S., J. David, D. Geyer, A. Gustafson, J. Snook, and R. Narayan. 1993. Biodegradation and composing studies of polymeric materials. Biodegradation Plastic and Polymers. Doi, Y and Fukuda, K. (eds). Osaka Japan. 601-609. 

  4. Choi H. S., E. Y. Yang, W. B. Chae, Y. B. Kwack, and H. L. Kim. 2009. Effect of soil temperature, seedtime, and fertilization rate on the secondary growth in the cultivation of the big bulbils of Namdo Garlic.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8(4):454-459. 

  5. Cui, R. x, B. W. Lee, and H. L. Lee. 2000. Growth and yield of potato as affected by paper, oil-treated paper and ureacoated paper mulching in spring season culture. Korean J. Crop Sci. 45(3): 216-219. 

  6. Doane, W. M. 1992. USDA research on starch-based biodegradable plastics. 3tarch. 44: 292-295. 

  7. Hwang, H. J., J. K. Suh, I. J. Ha, and Y W. Ryu. 1996. Effects of planting time and mulching material on growth and seed yield for seed production culture in onion. RDA. J. Agri. Sci. 38(1): 640-647. 

  8. Her B.K., I.S. Jo, K.T. Um. 1989. The soil improvement and plant growth on the newly-reclaimed sloped land. I.Effects of vinyl mulching and zeolite application on silage corn. Korean J. Soil Sci. Fert. 22: 25-30. 

  9. Jung B. W., C. H. Shin, Y J. Kim, S. H. Jang, and B. Y Shin. 1999. A study on the biodegradability of plastic films under controlled composing condition. J. Int. Industrial Technol. 27: 107-116. 

  10. Kasperbauer, M. J. and P. G. Hunt. 1998. Far-red light affects photosynthate allocation and yield of tomato over red mulch. Crop Sci. 38: 970-974. 

  11. Kijchavengkul T., Auras, R., Rubino, M., Ngouajio, M., Fernaadez, R. T., 2008. Assessment of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 biodegradable mulch films. Part : Fiela study. Chemosphere 71(5): 942-953. 

  12. Korea Envioronment Corporation. 2014. 

  13. Kwon, O.D. and J.M. Lee. 1984. Effect of different mulching on the growth, pod yield and nodule development in 3 snapbean cultivars. J. Kor. Soc. Hort. Sci. 25: 212-217. 

  14. Lee S. I., S. H. Sur, K. M. Hong, Y S. Shin, S. H. Jang, and B. Y. Shin. 2001.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fully biophotodegradable composite film. J. Int. Industrial Technol. 29: 129-134. 

  15. Lee, J. S., K. H. Jeong, H. S. Kim, J. J. Kim, S. Y. Song, and J. K. Bang 2009. Bio-Degradable Plastic Mulching in Sweetpotato Cultivation. korea J. Crop Sci. 54(2): 135-142. 

  16. Lim, D. K., J.S Shin, and K.S. Seong. 1988. Mono-granular compound fertilizer acting slow release for the crops under vinyl mulching cultivation. III. Effect of newly develped compound fertilizer on sesame. Korean J. Soil Sci. Fert. 21: 296-300. 

  17. Narayan, R. 1993. Impact of governmental policies, regulations, standards activities on an emerging biodegradable plastic industry In : Biodegradable Plastics and Polymers. Doi, Y. and Fukuda, K. (eds). Osaka. 261-272. 

  18. Pyon, J. Y,. 1985. Effects of Colored Polyethylene Film Mulching on Germination, Emergence, and Growth of Weeds. KJWS 5(1): 19-23.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1. Garlic culture. Suwon. Korea. 

  20. Ryu, K. E., and Y B. Kim. 1998. Biodegradation of polymers. Polymer Sci. Technol. 9: 464-472. 

  21. Scott, G. 1990. Photo-degradable plastic : Their role in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Polymer. Deg. and Stabil. 29: 136-143. 

  22. Yun, H. B., J. S. Lee, Y. J. Lee, M. S. Kim, and Y. B. Lee. 2012. Effect of different colored polyethylene mulch on the change of soil temperature and yield of chinese cabbage in autumn season. Korean J. Soil Sci. Fert. 45(4): 511-5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