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학교를 기반으로 한 청소년 우울증 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chool-based depression awareness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2 no.1, 2015년, pp.57 - 65  

최란 (가톨릭대학교 연구지원팀) ,  임현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조선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방명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지유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원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a School-based Depression Awareness Education Program on depression knowledge and help-seeking orientation for adolescent. Methods: The students of two high schools were allocated to the intervention (n=221) or control group (n=223) in 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장점을 살린 보편적 중재 중 하나가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정신과에서 개발하고 효과를 입증한 Adolescents’ Depression Awareness Program (ADAP) (Hess et al, 2004; Ruble et al, 2013)이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ADAP를 참고로 하여 학교중심의 청소년 우울증 인식 개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학교중심의 청소년 우울증 인식개선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우울증 관련 지식과 태도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학교를 기반으로 한 청소년 우울증 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은 정신과의사, 정신보건전문간호사, 보건교육학자, 예방의학자, 등 다학제로 구성된 팀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고등학교에서 정규 수업시간을 활용해 특정 고위험군이 아닌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중재가 되도록 고안하였다.
  • 본 프로그램의 목표는 우울증에 대한 지식수준을 향상 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이 추후 우울증을 경험하게 될 경우 그에 대한 인식 및 적절한 환자행동 수행 역량을 함양할 수 있고, 이는 곧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의 위험성을 낮추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Hess et al, 2004).
  • 중재군의 교육 전-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우울증 지식 및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는 paired t-test를, 친구의 우울증에 대한 태도는 McNemar test를 수행하였다. 또한 각 지식문향별 정답률은 빈도분석을 통해 지식수준의 향상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울증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군집 무작위화 중재연구이다. 교육프로그램이 고등학교의 학급단위로 수행하도록 개발되었기 때문에 군집 무작위 할당을학급으로 하였다.
  • 그것은 “우울증은 자신의 의지만으로 극복하기 어렵지만, 치료가 가능한 의학적 질환”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고 있다면, 언젠가 우울증을 경험하게 될 경우 자신에게 전문적이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생각을 할 수 있는 자원이 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평가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학교를 기반으로 한 청소년 우울증 인식개선교육 프 로그램의 단기효과를 평가한 군집 무작위할당 중재 연구로서, 연구대상자가 서울의 한 개 구에 소재한 두개 고등학교 재학생들이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저자들은 후속 연구로서 다양한 세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동일한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보고할 준비를 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확인이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8세까지의 청소년 중 우울증상을 경험하는 비율은? 청소년의 우울증은 가장 중요한 공중보건문제 중의 하나로서, 18세까지의 청소년 중 약 20%가 우울증상을 경험한다(Lewinsohn, Hops, Roberts, Seeley, & Andrews, 1993). 한국의 경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우울증 선별검사도구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CES-D)로 조사한 청소년의 우울증상 현재유병률은 절단점을 25점으로 적용한 결과 남학생이 21.
Asarnow & Ben-Meir, 1988; Hammen, Burge, Burney & Adrian, 1990에 따르면, 청소년기의 우울증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이며, 성인기 우울증으로 이행할 가능성은 어떠한가? 청소년기의 우울증은 사회적 기능과 학업 성취를 약화 시키고, 약물과 알코올 중독의 위험을 증가와 담배의존도를 높히며(Asarnow & Ben-Meir, 1988; Hammen, Burge, Burney & Adrian, 1990), 성인기 우울증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최근 1년간 5.
우울증의 어떤 병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우울증이 만성화되고 나서야 전문적인 도움을 구하는 경우가 많은가? 따라서 청소년의 우울증에 대한 적절한 의료적 개입이 요구되지만, 청소년의 우울증은 부모, 교사를 비롯한 주변의 성인들로부터 문제행동으로 간주되어 관심의 대상이 되기 보다는 오히려 ‘소극적인 성격’ 정도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어 조기발견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병리적 특성으로 인해 우울증은 좀 더 만성화되고 그정도가 심화된 후에야 전문적인 도움을 구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Nam & Cho,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sanow, J. F., & Ben-Meir, S. (1988). Children with schizophrenia spectrum and depressive disorders: a comparative study of premorbid adjustment, onset pattern and severity of impairment. Journal Child Psychol Psychiatry, 29, 477-88. 

  2. Cho, S. J., Jeon H. J., Kim, J. K., Suh, T. W., Kim, S. U., Hahm, B. J., ... & Cho, M. J. (2002). Prevalence of suicide behaviors(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and risk factors of suicide attempts in junior and high school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 1142-55. 

  3. David, S. (2004). School-based mental health services. Pediatrics, 113, 1839-45. 

  4. Fischer, E. H., & Turner, J. L. (1970). Orientations to seeking professional help: development and research utility of an attitude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5(1), 79-90. 

  5. Friedman, L. M., Furberg, C. D., & DeMets, D. L. (1985). 2nd Ed., Fundamentals of clinical trials. Massachusetts: PSG Publishing Company. 

  6. Goldberg, D., Huxley, P. (1980). Mental illness in the community: The pathway to psychiatric care. NewYork: Tavistock. 

  7. Hammen, C., Burge, D., Burney, E., Adrian, C. (1990). Longitudinal study of diagnoses in children of women with unipolar and bipolar affective disord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7, 1112-7. 

  8. Hess, S. G., Cox, T. S., Gonzales, L. C., Kastelic, E. A., Mink, S. P., Rose, L. E., et al. (2004). A survey of adolescents' knowledge about depression.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18(6), 228-34. 

  9. Lewinsohn, P. M., Hops, H., Robers, R. E., Seeley, J. R., Andrews, J. A. (1993). Adolescent psychopathology: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epression and other DSM-III-R disorders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2, 133-44. 

  10. McGuire. (1969). The nature of attitude and attitude change, in G. Lindzey and E Aronson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2nd ed.) Vol.3. Reading Mss.k Addison-Wesley Pub. Co. 

  11. Ministry of Education. (2010).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screening manual. http://www.moe.go.kr/web/100066/ko/board/view.do?bbsId318&encodeYnY&pageSize10¤tPage1&boardSeq16911&modeview. 

  12. 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07). Online Survey on Adolescent Health and Behavior. Seoul Korea. 

  13. Nam, J. J., Cho, M. J. (1997). Approach to the mental health promotion. Health & Welfare Forum, 8, 29-66. 

  14. Rogers, E. M., Shoemaker, F. F. (1960). Communication of innovations: cross-cultural approach (2nd ed.), NY:Free Press. 

  15. Ruble, A. E., Leon, P. J., Gilley-Hensley, L., Hess, S. G., Swartz, K. L. (2013). Depression knowledge in high school students: effectiveness of the adolescent depression awareness program.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50, 1025-30. 

  16. Schomerus, G., Matschinger H, Angermeyer, M. C. (2009). The stigma of psychiatric treatment and healp-seeking intentions for depression.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59(5), 298-306. 

  17. Swartz, K. L., Kastelic, E. A., Hess, S. G., Cox, T. S., Gonzales, L. C., Mink, S. P., DePaulo, J. R. (2007). The effectiveness of a school-based adolescent depression education program. Health Education & Behavior Online First. doi:10.1177/1090198107303313. 

  18. Swartz, K. L. (2002). Adolescent Depression Awareness Program: Year 3 Progress Report. Not published. 

  19. Van Voorhees, B. W., Fogel, J., Houston, T. K., Cooper, L. A., Wang, N-Y, Ford, D. E. (2005). Beliefs and Attitudes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to Not Accept the Diagnosis of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Annals of Family Medicine, 3(1), 38-46. 

  20. Zwaanswijk, M., van der Ende, J., Verhaak, P. F., Bensing, J. M., Verhulst, F. C. (2005). Help-seeking for child psychopathology: pathways to informal and professional services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 44, 1292-3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