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만성질환노인의 약물사용과 우울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of Medication and Prevention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at a Local Community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2 no.4, 2011년, pp.399 - 408  

김영주 (보은군 보건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of medication and prevention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t a local community.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irty consecutive people were in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북도 B군에 거주하고 있는 보건(지)소에 등록된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심각한 질병을 가지고 있지 않고, 기질적 뇌질환이나 정신질환이 없어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의사로부터 진단 받은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고, 정기적인 약물투약이 필요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자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만성질환 노인을 대상으로 약물사용과 우울예방 교육을 함께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간호사는 노인이 사용하는 모든 약물의 특성 뿐 아니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총체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대상자의 특성에 적합한 약물교육 및 이에 대한 반응과 약물의 이행을 사정하고 촉진하는데 매우 중요한 책임을 갖는다(Park, 2008). 이에 노인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맹목적인 약물복용이 아닌 질병에 대한 인식과 약물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여 노인 스스로 만성질환을 관리할 수 있게 하고, 노인 만성질환자에 있어 더욱 취약한 정신건강문제인 우울을 관리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함께 적용하는 전인적인 접근을 통하여 노인 만성질환자의 자기간호향상과 노인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있는지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또한 지역사회 노인의 경우 가족 내의 간호제공자의 부재, 낮은 소득, 의료 기관 접근성 부족으로 인해 만성질환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노인의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약물사용과 우울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프로그램 적용 전후 약물사용지식, 우울 및 약물이행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 다양한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은 낮은 약물지식으로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 약물복용 행위와 심리적인 질병으로 인해 육체적, 정신적으로 취약해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에 약물사용과 우울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 연구를 시도하여 약물사용과 우울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지식교육 효과와 더불어 사회심리학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병행으로 전인적인 노인관리의 개념을 확립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약물사용과 우울예방 교육 프로그램과 같이 노인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교육은 노인건강관리에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다양한 노인 요구를 고려한 맞춤형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를 제언한다.

가설 설정

  • “약물사용과 우울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약물사용지식이 높을 것이다.
  • “약물사용과 우울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약물이행도가 높을 것이다.
  • “약물사용과 우울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이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은 환경변화에 대처하는 능력과 질병에 대한 취약성은? 노인은 환경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질병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하므로 인구의 고령화는 필연적으로 만성질환 유병률 증가로 이어지게 되는데, 2008년 전국노인 실태조사(Park et al., 2009)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82.
인구의 고령화는 필연적으로 만성질환 유병률 증가로 이어지게 되는 바탕은 무엇인가? 노인은 환경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질병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하므로 인구의 고령화는 필연적으로 만성질환 유병률 증가로 이어지게 되는데, 2008년 전국노인 실태조사(Park et al., 2009)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82.
노인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무엇이 중요한가? 노인 만성질환자의 경우 계속적인 간호와 건강서비스를 요구하게 되고 치료의 중단은 응급상황을 초래하기 때문에 적절하고 장기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복약이행의 준수를 성공적인 치료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하였고, 노인은 높은 만성질환 이환율과 더불어 건강관리를 위하여 많은 약물을 복용하고 있지만 약물을 사용하는 목적과 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고하여 만성질환 노인에서의 약물치료 중요성을 강조하였다(Barat, Andreasen, & Damsgaard, 2000; Beckman, Parker, & Thorslund, 2005; Hamilton,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at, I., Andreasen, F., & Damsgaard, E. M. (2000). The consumption of drugs by 75-year-old individuals living in their own home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56 , 501-509. 

  2. Beckman, A. G., Parker, M. G., & Thorslund, M. (2005). Can elderly people take their medicin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9 , 186-191. 

  3. DiMatteo, M. R., Lepper, H. S., & Croghan, T. W. (2000). Depression is a risk factor for noncompliance with medical treatment: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patient adherenc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0 (14), 2101-2107. 

  4. Griffiths, R., Johnson, M., Piper, M., & Langdon, R. (2004). A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quality use of medicines by elderly community cl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0, 166-176. 

  5. Hamilton, G. A. (2003). Measuring adherence in a hypertension clinical trial.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 (3), 219-228. 

  6. Han, J. H. (2007). The influence of cognitive function, their family support and medication knowledge upon medication adherence in old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Hong, Y. S. (2009). A study on medication information, usage and misusage on ambulatory elderly patients of a public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8. Hope, C. J., Wu, J., Tu, W., Young, J., & Murray, M. D. (2004). Association of medication adherence, knowledge, and skills with emergency department visits by adults 50 years or older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61(19), 2043-2049. 

  9. Hwang, M. S. (1997). Effects of drug education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mind and drug compliance for schizophren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Jang, I. S. (2007). A study on the status of drug use in elders in Kyongbuk province. Journal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 (1), 40-50. 

  11.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ychiatric Association, 35 (2), 298-307. 

  12. Kim, M. H., Chung, S. D., & Lee, G. Y. (200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ventive mental health program for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4, 318-346. 

  13. Kim, K. H., Park, S. H., & Lee, H. K. (2005).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o the medication compliance of the hypertensive patient in one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5 (4), 267-274. 

  14. Kim, S. H., & Kang, H. S.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elf-care activity and HbA1c in clients with type-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2), 178-185. 

  15. Kim, Y. O. (2008). Medication compliance and depression in older hypertensive 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8). Drug information. Retrieved February 1, 2010, from http://medication.kfda. go.kr/main/index.jsp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2010 Statistics on older people. Retrieved July 1, 2011, from http://stat.mw.go.kr/ stat/data/cm_data_view.jsp?menu_codeMN03020000& contseq 16072 

  18. Lee, D. Y. (200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for medication misuse of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9. Lee, J. H., & Park, M. H. (2007). The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for safe drug use in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3), 295-304. 

  20. Park, J. W. (2006). The compliance of patients who have chronic disease according to degree of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1. Park, M. H., Ha, J. C., Shin, I. H., Kim, H. G., Lee, S. Y., Cho, J. H. et al. (2009). 2008 living profiles and welfare services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2. Park, M. S. (2008). Drug us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2), 195-205. 

  23. Scogin, F., & McElreath, L. (1994). Efficacy of psychosocial treatments for geriatric depression: A quantitative re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 (1), 69-74. 

  24. Shin, H. Y., Lee, H., Shin, I. S., Kim, J. M., Kim, S. W., Yang, S. J., et al. (2005).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community-dwelling low 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ychiatric Association, 1 (5), 629-634. 

  25. J., et al. (2005).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community-dwelling low 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ychiatric Association, 1 (5), 629-634. 

  26. Shin, K. R., Kim, J. S., Kim, J. Y., & Yi, H. R. (2005). Effects of a drug misuse and abuse prevention program on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s related to drug misuse and abuse, and depression in low-income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5), 763-773. 

  27. Song, M. S. (2004). Self-management education model based on concept of health promotion for older adults with adults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6 (2), 228-242. 

  28. Uhm, S. M. (2004). A study on the status of prescription and non-prescription drug use in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9.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Lum, O., Huang, V., Adey, M., et al.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 , 37-49. 

  30. Yoo, I. Y., Lim, M. K., & Yoo, W. S. (2002). A study on depression, self-reported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in elderly people. Journal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4 (2), 153-16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