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진지구 관개용수로의 손실률 및 관개효율 분석
Analysis of Water Loss Rate and Irrigation Efficiency in Irrigation Canal at the Dong-Jin District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7 no.2, 2015년, pp.93 - 101  

홍은미 (USDA-ARS Environmental Microbial & Food Safety Laboratory, Beltsville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  최진용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and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남원호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School of Natural Resources,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  이상현 (Institute for Agriculture &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진규 (Department of Rural Construction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진택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addy irrigation efficiency using real-time water level monitoring data and intermittent irrigation model in Gimjae, Dong-Jin irrigation district. For this study, the real-time water level data in Gimjae main canal and other secondary canals were coll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진지구 김제간선 논 관개용수 손실률을 산정하기 위하여 김제간선 시점부 및 주요 지선에 구축되어 있는 자동수위계측기 수위 자료를 활용하여 2012-2014년 3년간 관개수로 수위 변화를 분석하고, 수위-유량 곡선을 활용하여 지선별 실제 공급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간단관개 모형을 활용하여 동진지구 지선별 농업용수 필요수량을 산정하고 지선별 월별 관개효율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논 필요수량 (REQ(t))은 D(t)가 0보다 작을 때 유효우량 (ER(t))을 고려하여 식 (4)와 같이 산정하며, 비급수일은 식 (3)에서 REQ(t)=0을 적용하여 담수심을 산정하였다. FAO Penman-Monteith 식(Allen et al., 1998)과 작물계수를 이용하여 논 증발산량(ETc(t))을 산정하였으며, 물꼬높이 (H)는 60 mm로 가정하였고 (MAF, 1998), 중간낙수 기간 (6월 하순)의 담수심은 0으로 가정하였다. 유효우량 (ER(t))은 강우량에서 포장에 직접 저류되는 양으로써, 포장 물꼬높이와 강우 전 담수심 조건에 따라 식 (5)와 같이 산정하였다 (Hong et al.
  • 본 연구에서는 기준수위를 적용하여 수위-유량곡선을 반영하였으며, 기준수위 이하 흐름이 없는 구간의 유량을 ‘0’ 으로 가정하였다.
  • 여기서, IR(t)는 t일의 관개량 (mm/day), PP(t)는 t일의 강우량 (mm/day), ETc(t)는 t일의 작물증발산량 (mm), DP(t)는 t일의 강하침투량 (mm)으로 5.0 mm/day (MAF, 1998)로 가정하였으며, SFO(t)는 지표유출량 (mm/day), ΔD(t)는 t일의 담수심과 (t-1)일의 담수심의 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계획설계기준에서 배분관리손실률의 경우 한계는 무엇인가? 6 %로 명시되어있다. 하지만 배분관리손실률의 경우 조사면적이 작고, 조사 시기가 이앙시기 또는 건답직파시기 등으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국외의 연구결과를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Kim et al., 2005; Lee et al.
농업용수관리는 과거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가? 과거 농업용수관리는 실시간 관리가 불가능하여 관리자의 경험에 의존하였으며, 농업용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였다 (Koo et al., 1982; Korkmaz et al.
동진지구 김제간선에 구축된 물 관리 시스템은 어떻게 설계되어있는가? , 2013). 동진지구 김제간선에 구축된 물 관리 시스템은 실시간 수위모니터링 결과 뿐 아니라 지선별 최적용수공급량을 제공하여 관리자가 농업용수 공급 패턴을 파악하고 공급 및 수요 관점에서 농업용수를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김제간선은 관개면적에 비해 농업용수가 부족하여 전 구간 연속급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류부와 하류부로 구분하여 급수일지에 따라 간단급수를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y, A.M., Y. Kitamura, and K. Shimizu, 2013. Assessment of irrigation practices at the tertiary canal level in an improved system-a case study of Wasat area, the Nile Delta. Paddy Water Environment 11: 445-454. 

  2. Choi, J.K., J.G. Son, and Y.J. Kim, 2012a. Analysis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at the Dongjin-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1):11-18 (in Korean). 

  3. Choi, J.K., J.G. Son, J.T. Kim, and Y.J. Kim, 2012b. Flow characteristics of lateral irrigation canals diverted from Kimje main canal in Dongjin irrigatio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5): 113-121 (in Korean). 

  4. Hong, E.M, W.H. Nam, J.Y. Choi, and J.T. Kim, 2014. Evaluation of water supply adequacy using real-time water level monitoring system in paddy irrigation ca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6(4): 1-8 (in Korean). 

  5. Hong, E.M, J.Y. Choi, W.H. Nam, and J.T. Kim, 2015.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real tim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n agricultural water supply. Irrigation and Drainage, submitted. 

  6. Irmak, S., L.O. Odhiambo, W.L. Kranz, and D.E. Eisenhauer, 2011. Irrigation efficiency and uniformity, and crop water use efficiency.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Extension Circular EC732. 

  7. Kim, J.S., S.Y. Oh, K.Y. Oh, and J.W. Cho, 2005. Delivery management water requirement for irrigation ditches associated with large-sized paddy plots in Korea. Paddy Water Environment 3: 57-62. 

  8. Kim, U.S., Y.T. Kim, and Y.J. Lee, 2003. Feasibility Analysis of the TM/TC System in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 A Case Study of Chungju and Sangju.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0(4): 640-666 (in Korean). 

  9. Koo, J.W., K.C. Lee, J.Y. Kim, and J.Y. Lee, 1982.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water loss rates in irrigation ca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4(2): 56-66 (in Korean). 

  10. Korkmaz, N., M. Avci, H.B. Unal, S. Asik, and M. Gunduz, 2009. Evaluation of the water delivery performance of the Menemen Left Bank irrigation system using variables measured on-site.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35: 633-642. 

  11. Kumar, R., and J. Singh, 2003. Regional water management modeling for decision support in irrigated agriculture.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29: 432-439. 

  12. Lee, Y.J., P.S. Kim, S.J. Kim, Y.K. Je, and U.J. Joo, 2008. Estimation of Water Loss in Irrigation canals through Field Measur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0(1): 13-21 (in Korean). 

  13. MAF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public of Korea), 1998. Design Standard of Farming Scale Improvement Project-Irrigation Part 9.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public of South Korea (in Korean). 

  14. MAF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public of Korea), 1999. Comprehensive Report of Agricultural Water Requirement.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public of South Korea (in Korean). 

  15. Nam, W.H., T. Kim, J.Y. Choi, J.T. Kim, and M.C. La, 2011. Wireless Sensor Network Development using RFID for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5): 43-51 (in Korean). 

  16. Nam, W.H., J.Y. Choi, E.M. Hong, and J.T. Kim, 2013. Assessment of irrigation efficiencies using smarter water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5(4): 45-53 (in Korean). 

  17. Unal, H.B., S. Asik, M. Avci, S. Yasar, and E. Akkuzu, 2004. Performance of water delivery system at tertiary canal level: a case study of the Menemen Left Bank Irrigation System, Gediz Basin, Turkey.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65: 155-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