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민의 언어능력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h that the linguistic competence of Marriage migrants affects to the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3, 2015년, pp.37 - 47  

이용규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  문형란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언어능력과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언어능력이 가족관계, 사회관계의 경로를 통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도권 지역의 다문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민의 가족관계와 사회관계,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이었으며, 한국어능력은 보통수준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한국어능력이 가족관계, 사회관계를 거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셋째, 고학력, 고소득, 자발만남 결혼이민자집단이 한국어능력, 가족관계,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넷째, 고학력 및 저학력 집단, 고소득 및 저소득 집단, 자발만남 및 중개만남 집단의 삶의 질에 언어능력이 미치는 경로는 상이하였으나 전체적으로 가족관계의 역할이 언어능력보다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path that their language competence impacts on the quality of life through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relationship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of Ko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들의 언어능력이 가족관계와 사회관계를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의 유효성을 심층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나아가, 결혼 이주민의 개인적 특성(예: 학력, 경제력, 만남형태 등)에 따라 본 연구에 포함된 변인간의 관계가 어떠한 형태로 연동되고 있는지(집단간 경로 상이성 분석)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이주민 집단별 맞춤형 지원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언어능력에서 삶의 질로 이어지는 경로를 분석한 연구로서 결혼이민자의 학력, 경제력, 만남형태에 따라 이러한 경로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규명한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거주 결혼이민자로 대상을 한정하였고, 임의표출방식으로 표본추출을 수행함으로써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언어능력과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언어능력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가족관계,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다문화 결혼이주자들 중 남성과 한국어에 익숙한 조선족을 제외한 모집단을 설정하고, 유의표출을 통해 설문조사 대상을 선정하였다.
  • 연구대상 결혼이민자의 한국어능력은 일상생활 활용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일상생활 언어능력 요인분석 결과 일상생활 언어능력의 1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 이주민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언어능력에 주목하고자 한다. 현실적으로 결혼이주민은 상당 기간동안 제한된 소통능력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상당한 어려움을 경험할 것이다.
  • 전체적으로 조망하면, 본 연구가 제시하고자 하는 언어능력, 가족 및 사회관계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관계성 추정이 거시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관찰 변인간 관계에 대하여 상반된 연구결과가 제시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들의 언어능력이 가족관계와 사회관계를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의 유효성을 심층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나아가, 결혼 이주민의 개인적 특성(예: 학력, 경제력, 만남형태 등)에 따라 본 연구에 포함된 변인간의 관계가 어떠한 형태로 연동되고 있는지(집단간 경로 상이성 분석)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배우자 만남의 형태도 삶의 질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결혼이주민의 경우, 대체적으로 모국에서 한국에서 온 배우자를 중개업소를 통하여 짧은 시간동안 만난 후, 결혼으로 진행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 그러나 보편적이지는 않지만 특정 변수가 삶의 질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민의 경우는 연령별 집단이나 소득계층별 집단과는 다르게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요인이 존재할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언어능력으로 보았다. 즉, 언어능력의 향상에 따라 통상적으로 모든 집단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예: 가족관계, 사회관계 등)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이 제고될 것으로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80년대에 결혼이민은 어떤 계기로 급증하였는가? 8%인 150,994명이며, 누적 혼인귀화자포함하면 252,501명에 달한다[1]. 결혼이민은 1980년대 종교단체인 통일교에서 대규모 집단 국제결혼을 통해 본격화된 이후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운동’을 통하여 급증하였다.
국가간 사람의 이동은 대체적으로 어떤 흐름으로 나타나는가? 결혼 이주민이 우리 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제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전세계 모든 국가의 이주민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국가간 사람의 이동은 경제적으로 낙후된 국가에서 보다 발전된 국가로 이주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므로, 이주민이 해당국의 주민보다 대체로 학력이나 경제력이 뒤쳐진 상황에서 시작하기 마련이다. 한편, 저학력, 저소득 계층에 대한 편견으로 독일, 프랑스 등에서 이주민 혐오현상이 나타나고 있다[2].
한국사회에 정착한 결혼이주민은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를 겪는가? 한국사회에 정착한 결혼이주민은 사회적응, 인권, 자녀교육, 경제적 어려움 등의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주 초기부터 직면하는 언어문제에 따른 의사소통의 장애, 생활습관 및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가족 내 갈등, 외국인으로서 경험하는 차별과 편견, 경제적 어려움, 자녀양육 및 교육 문제 등 많은 어려움을 순차적으로나 병행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Department of Justice, Immigration statistics, Jan. 2015. 

  2. Jae-gak Jeong, German Immigration Policy -Continuity and Conflicts in Major Policies on Immigrant Integration, Zeitschrift der Koreanisch-Deutschen Gesellschaft Fur Sozialwissenschaften, 21(3), 79-106, 2011. 

  3. Hartmut Esser, Does the "New" Immigration Require a "New" Theory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38(3): 1126-1159, 2004. 

  4. Anita Cvetkovic, The Integration of Immigrants in Northern Sweden: A Case Study of the Municipality of Stromsund, International Migration. 47(1): 101-131, 2009. 

  5. Yong-kyu Lee, Yong-Jun Kye, Yong-chan S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to the quality of life and the difference factors such as age, gender, Korean Local Government Research , 25(3): 173-199, 2013. 

  6. Hua-shan, An,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Korean and Chinese Employed-Married Women,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8. 

  7. A. Campbell,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Trends.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1981. 

  8. World Health Organization, Report of WHOQOL Focus Group Work. MNH/PSF/93.4. WHO, Geneva, 1993. 

  9. S. K. Chaturvedi, What's important for quality of life to Indians-In relation to cancer, Social Science & Medicine, 33(1): 91-94, 1991. 

  10. Yong-chie Park, Quality of Life : Status Quo and What Needs to be Done, Theses, The University of Seoul, Vol. 30, 67-92, 1996. 

  11. Ed. Diener,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2000. 

  12. Richard A. Easterlin, Will raising the incomes of all increase the happiness of all?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and Organization, 27: 35-47, 1995. 

  13. Myeong-jun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Enculturation Type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master's degree, Kyonggi University, 2011. 

  14. Jae-kyu Park, Factors Influencing the Adjustment of Rural Life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Rural Economic, 29(3); 67-84, 2006. 

  15. Ji-hye Yi,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master's degre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16. Soon-Mi Yang, Hyun-Sook Chung, Variables affecting the adjustment of marital life and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 of rural in Korea,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11(3): 223-252, 2006. 

  17. Dae-yong Jeong, Th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on the life adaptation process of intermarriage wemen, Ph.D. dissertation, Soongsil National University, 2011. 

  18. Yong-Kil Kim, A study on the physical, social, and leisure-welfare factors i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aged, Ph.D.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2013. 

  19. Sung-Il Shin, A Meta-Regression Analysis on Related Variables of Elders' Quality of Life, Ph.D.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2. 

  20. K. S. Rook, The negative side of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1097-1108, 1984. 

  21. B. Ataca & John W. Berry,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arital adaptation of Turkish immigrant couples in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7(1): 13-26, 2002. 

  22. J. W. Berry, U. Kim, T. Minde, & D. Mok, Comparative studies of acculturative stres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1: 491-511, 1988. 

  23. Tae-Hi Ha, Development of the Structural Model of Middle-aged Men's Subjective Quality of Life, Ph.D.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2. 

  24. Eun-sil Kim, Acculturative Stress, Social Support and Social Adjustment of Marriage-based Immigrant Wemen, Master's degree, Chungbuk Univ. 2007. 

  25. Sung-kil Min, Chang-il Lee, Kwang-il Kim, Shin-young Suh, & Dong-kee Kim,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39 No. 3, pp. 571-579, 2000. 

  26. Ji-hye Yi,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master's degre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27. Soon-Gyu Kim & Choo-Jae Lee, The Effect of Linguistic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among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 15 No. 1 pp. 5-20, 2010. 

  28. Miki Hong, A Study on Acculturative Stress and Dyadic Adjustment of Immigrant Women who Married to Korean Me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uple's Communication,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