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이주민 대상의 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연구 동향 고찰
Trends and Level in Health Literacy Research on Immigrants in Korea: A Literature Review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1 no.3, 2020년, pp.322 - 336  

강수진 (대구대학교 간호학과) ,  형나겸 (영남이공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trends of health literacy research considering migrants living in South Korea. Methods: A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using electronic data base and citation tracking. A total of 82 articles were identified, of which 16 arti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검토 결과 분석에 포함된 대상은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포함하여 16편에 그쳤으며, 도구 개발 연구 3편을 제외하면 모두 서술적 조사연구로 아직 국내 이주민 대상의 헬스 리터러시 중재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헬스 리터러시의 수준, 연구방법의 제한점, 이주민 대상의 헬스 리터러시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이주민 대상의 헬스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결혼 이주 여성, 북한이탈주민, 이주 근로자들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준 정도의 헬스 리터러시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주민 내에서도 동남아 근로자의 헬스 리터러시가 가장 낮았다.
  • 본 연구는 국내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헬스 리터러시 연구 실태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문헌 고찰 연구(literature review study)이다.
  •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 이주 여성, 외국인 근로자,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수행된 헬스 리터러시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이주민 대상의 헬스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주민의 헬스 리터러시 연구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검토 결과 분석에 포함된 대상은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포함하여 16편에 그쳤으며, 도구 개발 연구 3편을 제외하면 모두 서술적 조사연구로 아직 국내 이주민 대상의 헬스 리터러시 중재 연구는 없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이주민 집단을 대상으로 건강의 주요한 사회적 결정 요인 중 하나인 헬스 리터러시의 수준을 비교하고 연구 동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최근 결혼 이주여성이나 북한이탈주민, 조선족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헬스 리터러시를 측정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개별적인 연구결과들을 전체 이주민의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거주 이주민 대상으로 수행된 헬스 리터러시 연구를 확인하고, 연구 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결과를 통해 이주민의 헬스 리터러시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주민 대상의 헬스 리터러시 증진 전략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정확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개발하고, 환자 참여(patient engagement)를 위한 공유된 의사결정(shared decision), 헬스 리터러시를 높이기 위한 연구, 근거기반의 헬스 리터러시 증진 프로그램 등을 전략과제로 제시하였다. 유럽도 유럽 연합(European Union)의 권고를 중심으로 헬스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고자 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Health Literacy Europe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유럽 국가들의 헬스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 및 비교하며 향상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리나라도 국립국어원을 중심으로 고용허가제를 통해 입국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글 교육 교재를 개발하고, 일부 건강과 관련된 내용을 교육하고 있지만, 실제 한국에 귀국한 이주 근로자들은 여전히 의료기관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Migration. Global migration indicators 2018 [Internet]. 2019 [cited 2020 February 4]. Available from: https://www.iom.int/ 

  2. Ministry of Justice. Korea immigration service annual statistics. [Internet]. 2018 [cited 2019 November 3]. Available from http://www.immigration.go.kr/immigration/index.do 

  3. Statistics Korea. Marriage migrants in Korea [Internet]. 2019 [cited 2020 February 5]. Available from http://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819 

  4. Yoon IJ. North Korean Defectors. Yoon IJ. Seoul: Jipmoondang; 2009. 320 p. 

  5. Castaneda H, Holmes SM, Madrigal DS, Young ME, Beyeler N, Quesada J. Immigration as a social determinant of health.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015;36:375-392. https://doi.org/10.1146/annurev-publhealth-032013-182419 

  6. Donkin A, Goldblatt P, Allen J, Nathanson V, Marmot M. Global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BMJ Global Health. 2018;3(Suppl 1):e000603. https://doi.org/10.1136/bmjgh-2017-000603 

  7. Baumeister A, Aldin A, Chakraverty D, Monsef I, Jakob T, Seven US, et 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health literacy in migrant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9;4: 1-26. https://doi.org/10.1002/14651858.CD013303 

  8. Fernandez-Gutierrez M, Bas-Sarmiento P, Albar-Marin MJ, Paloma-Castro O, Romero-Sanchez JM. Health literacy interventions for immigrant population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8;65(1):54-64. https://doi.org/10.1111/inr.12373 

  9. An JS, Yang SJ. Development of a health literacy assessment scale for Asian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5;26(4):330-341.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4.330 

  10. Yang SJ, Chee YK.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Health Literacy Index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HLI-FMI) in Korea. Women & Health. 2017;57(8):1007-1030. https://doi.org/10.1080/03630242.2016.1222328 

  11. Lee JM, Lee EJ. Factors influencing level of health literacy of migrant work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3;20(3):269-277. https://doi.org/10.7739/jkafn.2013.20.3.269 

  12. An JY, Moon H, Cha S. Heath literacy, depression, and stress among Chinese immigrants in South Korea. Public Health Nursing. 2019;36(5):603-614. https://doi.org/10.1111/phn.12632 

  13. Lee GY, Kim MK.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literacy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Application for Gelberg-Andersen Behavioral Model. Studies on Life and Culture. 2017;46:247-295. 

  14. Kim HJ, Koo SM. Factors related with health literacy in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7;11(1):199-209. https://doi.org/10.21184/jkeia.2017.01.11.1.199 

  15. Lee TW, Kang SJ.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8;28(4):847-863. 

  16. Nam SJ. Impact of migrant worker's health literacy on health behavior [mater's thesis]. [Gwangju]: Gwangju University; 2018. 49 p. 

  17. Yi JS.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North Korean refugees and its related factor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93 p. 

  18. Cho S, Lee H, Oh EG, Kim GS, Kim YC, Park C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igrant workers: The impact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Nursing & Health Sciences. 2020; 22(2):318-327. https://doi.org/10.1111/nhs.12660 

  19. Yang SJ, Chee YK, An J, Park MH, Jung S. Analysi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health literacy index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HLI-FMI). Asia 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 2017;28(4):368-381. https://doi.org/10.1177/1010539516645157 

  20. Lee TW, Kang SJ. Development of the short form of the Korean Health Literacy Scale for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13;36(5):524-534. https://doi.org/10.1002/nur.21556 

  21. Kim SS, Kim SH, Lee SY.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5;22(4):215-227. 

  22. Bass PF, Wilson JF, Griffith CH. A shortened instrument for literacy screening.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03;18(12):1036-1038. https://doi.org/10.1111/j.1525-1497.2003.10651.x 

  23. Chew LD, Bradley KA, Boyko EJ. Brief questions to identify patients with inadequate health literacy. Family Medicine. 2004;36(8):588-594. 

  24. Kim YC, Shon HY, Lim JY, Kim M, Park K. Health literacy scale development. Paper presented at: The Korea Health Communi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2011 November; Namseoul University, Cheonan, South Korea. 

  25. Chin D, McCarthy C. All Aspects of Health Literacy Scale (AAHLS): Developing a tool to measure functional, communicative and critical health literacy in primary healthcare setting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13;90(2):247-253. https://doi.org/10.1016/j.pec.2012.10.019 

  26. Kang C, Han YR.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selfefficacy, health literac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promting behavior in marride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3):202-212.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3.202 

  27. Lee HY, Lee J, Kim NK.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literacy among Korean adults: Do women have a higher level of health literacy than men?. American Journal of Men's Health. 2015;9 (5):370-379. https://doi.org/10.1177/1557988314545485 

  28. Shin M, Kim BW. A research study of the medical support facility program for North Korean refugees.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2009;21(1):493-537. 

  29.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Report of 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Seoul: Korea Institute of Intellectual Property. 2013. 

  30.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action plan to improve health literacy [Internet]. United States of America: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2010 [cited 2020 June 22]. Available from: http://health.gov/communication/HLActionPla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