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적 유사성으로 보아 멀구슬나무와 천련은 동일종
Melia toosendan and M. azadarach are a single species due to their genetic similarity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5 no.1, 2015년, pp.36 - 44  

김회원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연승우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김기중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약재 천련자로 유통되는 중국 식물과 우리나라에도 분포하는 멀구슬나무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중국남서부지역에서 천련자(Melia toosendan)로 채취하는 재료와 중국 남동부, 한국, 인도 등지에서 심고 있는 멀구슬나무(M. azadarach), 그리고 무환자나무과의 근연종들을 대상으로 핵 ITS, 엽록체 matK, rbcL, atpF-H, psbK-I, psbA-trnH 등 6개 마커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염기서열 자료를 계통분석한 결과 한약재 천련자로 알려진 식물과 멀구슬나무는 동일종으로 판단된다. 이 두 종은 학자들에 따라서는 동일종 또는 이종으로 처리하던 것으로, 본 연구자들의 유전자 비교분석결과는 동일종으로 취급하는 것이 보다 타당함을 지지한다. 또한, 다양한 이명으로 세계 각지에서 기재된 멀구슬나무에 가장 가까운 종은 약재로 잘 알려진 님나무(Azadirachta indica)로, 이 종은 이전에 멀구슬나무속으로도 처리된 바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cleotide sequences of six markers, including nuclear ITS, chloroplast matK, rbcL, atpF-H, psbK-I and psbA-trnH, were analyzed for the plants known as Melia toosendan collected in Southwest China; M. azadarach planted in Southeast China, Korea and India; and species related to Sapindaceae in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남부, 인도 지역에 분포하는 멀구슬나무 종집단과 천련 및 근연속, 근연과내일부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핵 DNA(nrDNA) ITS 지역과 엽록체 DNA(cpDNA)의 matK, rbcL, atpF-H, psbK-I 및 psbA-trnH 지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여 한약 재료인 천련자의 기원식물인 천련과 널리 재식하는 멀구슬나무의 동종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멀구슬나무류의 열매의 효능은? 멀구슬나무류의 열매는 한약재로 천련자(川 子) 라고 부르며 오래전부터 습열을 제거하고 통증을 완화하며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어 가슴통증과 산통 및 만성회충증으로 인한 복통을 치료하는데 사용해왔다(Kim, 2008). 천련자는 대한민국약전 외 한약(생약) 규격집에 천련(川 , Melia toosendan Siebold & Zucc.
멀구슬나무란? 멀구슬나무(Melia azadarch L.)는 멀구슬나무족(Melieae Harms), 멀구슬나무속(Melia L.)에 속하는 분류군으로서 인도, 동남아시아, 중국, 호주 등의 아열대에서 열대지방에 넓게 분포하며, 북미, 남미, 유럽 등지에도 조경수나 가로수, 약용식물로 식재하거나 귀화되어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nnington et al., 1981; Peng and Mabberley, 2008).
천련자의 기원식물인 천련과 멀구슬나무의 동종성을 검증할 연구가 요구되는 이유는? 국내 생약시장에는 중국에서 수입하는 천련의 열매가 천련자로 유통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생산되는 멀구슬나무의 열매 또한 천련자로 유통되고 있다. 천련(M. toosendan)은 중국에서 도입되어 일본에 재배하는 개체를 채집하여 Siebold and Zuccarini (1843)에 의해 처음 기재되었다. 천련은 멀구슬나무에 비하여 열매가 좀 더 크고, 소엽가장자리에 결각이 뚜렷한 멀구슬나무에 비해 결각이 뚜렷하지 않은 특징으로 두 종을 구별하여 왔으나, 최근 Peng and Mabberley (2008)에 의해 멀구슬나무(M. azadarach)의 이명으로 처리되었다. 따라서 천련자의 기원식물인 천련과 멀구슬나무의 동종성을 검증할 분자계통학적 연구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BOL Plant Working Group. 2009. A DNA barcode for land plan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106: 12794-12797. 

  2. Chinese Pharmacopoeia Commission. 2010. Pharmacopoeia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hina Medical Science Press, Beijing 

  3. Doyle, J. J. and J. L. Doyle. 1987. A rapid DNA isolation procedure for small quantities of fresh leaf tissue. Phytochemical Bulletin 19: 11-15. 

  4. Drummond, A. J., B. Ashton, S. Buxton, M. Cheung, A. Cooper, C. Duran, M. Field, J. Heled, M. Kearse, S. Markowitz, R. Moir, S. Stones-Havas, S. Sturrock, T. Thierer and A. Wilson. 2011. Geneious v5.4. from http://www.geneious.com 

  5. Edgar, R. C. 2004. MUSCL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with high accuracy and high throughput. Nucleic Acids Research 32: 1792-1797. 

  6. Farris, J. S., V. A. Albert, M. Kllersj, D. Lipscomb and A. G. Kluge. 1996. Parsimony jackknifing outperforms neighborjoining. Cladistics 12: 99-124. 

  7.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8. Kim, D. K. 2001. Pharmacognosy, Dongmyung publishing Co., Seoul, Pp. 132-133. (in Korean) 

  9. Kim, J. H. 2007. Meliaceae.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707-708. 

  10. Kim, K. J. and R. K. Jansen. 1994. Comparisons of phylogenetic hypotheses among different data sets in dwarf dandelions (Krigia, Asteracea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internal transcribe spacer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190: 157-185. 

  11. Kim, K. J. 1996. Combination of different data sets for phylogeny re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6: 293-327. (in Korean) 

  12. Kim, R. S. 1998. Meliaceae. In Flora Coreana. Vol. 4. Im, R. J. (ed.),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Pp. 204-207. (in Korean) 

  13.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ournal of Molecular Evolution 16: 111-120. 

  1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stration Notification No. 2012-135. Pp. from http://www.law.go.kr/LSW/admRulLsInfoP.do?chrClsCd&admRulSeq2000000021929 

  15.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Kyo-Hak publishing Co., Seoul. Pp. 658-686. (in Korean) 

  16. Mabberley, D. J., C. M. Pannell and A. M. Sing. 1995. Meliaceae. Flora Malesiana Series I Spermatophyta. Vol. 12. Paperback. Pp. 1-407. 

  17. Moon, B. C., W. J. Kim, Y. Ji, Y. M. Lee, Y. M. Kang, G. Choi and H. K. Kim. 2014.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 for the authentication of Patriniae Radix by the analysis of DNA barcodes.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9(6): 45-53. 

  18. Muellner, A. N., R. Samuel, M. W. Chase, A. Coleman and T. F. Stuessy. 2008. An evaluation of tribes and generic relationships in Melioideae (Meliaceae) based on nuclear ITS ribosomal DNA. Taxon 57: 98-108. 

  19. Muellner, A. N., Samuel., R., Johnson, S. A., Cheek, M., Pennington, T. D. and Chase, M. W. 2003. Molecular phylogenetics of Meliaceae (Sapindales) based on nuclear and plastid DNA sequences. American Journal of Botany 90: 471-480. 

  20. Peng, H. and D. J. Mabberley. 2008. In Flora of China. Vol. 11. Wu, Z. Y.,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Pp. 130-131. 

  21. Pennington, T. D., Styles B. T. 1975. A generic monograph of the Meliaceae. Blumea 22: 419-540. 

  22. Pennington, T. D., B. T. Styles and D. A. H. Taylor. 1981. Meliaceae. Flora Neotropica Monographs 28. The New York Botanical Garden, Bronx. 

  23. Posada, A. D. and K. A. Crandall. 1998. Modeltest: Testing the model of DNA substitution. Bioinformatics 14: 817-818. 

  24. Siebold, P. F and J. G. Zuccarini. 1843. Abhandlungen der Mathematisch-Physikalischen Classe der Kniglich Bayer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4(2): 159. 

  25. Son, O G., B. I. Seo, S. H. Lee and S. J. Park. 2014. The Study of DNA markers to identify of Allium sativum L..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9: 27-33. 

  26. Swofford, D. L. 2002. PAUP: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s (ver. 4.0), Sunderland, MA Sinauer Associates. 

  27. White, T. J., T. Bruns, S. Lee and J. W.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Innis, M. A., D. H. Gelfand, J. J. Sninsky and T. J. White. (ed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Pp. 315-3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