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5 no.1, 2015년, pp.96 - 107
강대현 (한림대학교 생명과학과) , 임은영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문명옥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This study presents a comprehensive account of the flora of hydrophytes and hygrophytes on Jeju Island. This approach aims to contribute to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the conservation of plant diversity in wetlands. Field surveys were carried out from May of 2010 to September of 2014 in various 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우리나라에서는 습지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 습지는 국가와 단체마다 다르게 정의되어 있는데 우리나라의 습지보전법 제2조에 따르면 습지는 담수, 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 및 연안습지를 말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4). 이러한 환경에서 자라는 식물을 습지식물이라 하며 그 중에서도 수중 생활에 적응하여 그들의 생활사 중 어느 한 시기를 수중에서 생육하게 되는 종류들을 수생식물이라 한다. | |
제주도는 지질학적으로 어떤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9°C로서 온대기후에 해당한다. 지질학적으로는 퇴적암층과 현무암, 조면질안산암, 조면암 등의 화산암류와 기생화산에서 분출한 화산쇄설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지역의 점사질 토양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흑갈색의 화산회토로 덮여 있다(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4). 제주도의 하천은 대부분 건천이며, 일부 지역 불투수층에 형성된 습지와 고산습지, 저수지와 인공수로, 인가 혹은 도로변에 만들어지거나 정비가 된 인공습지, 해안선을 따라 형성된 해양 및 연안습지 등 다양한 형태의 습지들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부유성 수생식물은 무엇인가? | 그리고 습지에 뿌리를 내리는 분류군들로, 주로 물가의 가장자리에 생육하며 뿌리 정도가 물에 잠기는 식물군을 정수성 수생식물(emergent hydrophytes), 수면에 잎이 뜨는 부엽성 수생식물(floating-leaved hydrophytes), 영양기관이 물에 잠겨 있는 침수성 수생식물(submerged hydrophytes)로 구분하였다. 또한 땅속에 뿌리를 내리지 않고 수중이나 수면에 떠다니며 생활하는 식물군을 부유성 수생식물(free-floating hydrophytes)로 구분하였다. 한편 Koo (2002)는 습지의 유형구분에 관한 연구에서 습지 식생을 절대습지식생(OBL), 상대적습지식생(FACW), 중성식생(FAC), 습성내륙식생(FACU), 내륙식생(UPL)등 크게 5개의 범주로 구분 한 바 있다. |
Choi, H. K. 1985. A Monograph of vascular hydrophytes in Korea. D. C.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P. 271. (in Korea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Korea. 2014.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Korea. Retrieved 15 Dec. 2014, from
Jung, J. D. 2010. Systematic Studies of Genus Scirpus L. sensu lato (Cyperaceae) from Korea. D. C.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Graduate School. (in Korean)
Kitamura, S., G. Murata and T. Koyama. 1964. Coloured Illustrations of Herbaceous Plants of Japan 3 (Monocotyledonea). Hoikusa, Osaka. (in Japanese)
Koo, B. H. 200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mapping methods of wetlands in Korea. D. C.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in Korean)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in Korean)
Lee, W. 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Lim, Y. S. 201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ydrophytes in Korea. D. C. Dissert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12a.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Pp. 173-226.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12b. Ordinance to partially revise the Enforcement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of Wild Fauna and Flora: Ministry of Environment Ordinance No. 457. Retrieved 15 Dec. 2014, from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14. Ordinance to partially revise the Wetland Conservation Act: Law No. 12525. Retrieved 15 Dec. 2001, from (in Korean)
Muensher, W. C. 1944. Aquatic plants of the United States.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and London.
Na, H. R. and H. K. Choi. 2008. short communication : Two unrecorded species of Najas L. (Hydrocharitaceae) from Korean flora: N. orientalis and N. oguraensi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9: 107-113. (in Korean)
Na, S. T., H. K. Choi, Y. D. Kim and H. C. Shin. 2008. Taxonomic Identities and Distribution of Utricularia japonica and U. tenuicauli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8: 111-120. (in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Econature, Seoul. (in Korean)
Ohtaki, S. and T. Ishido. 1980. Illustrated Japanese Water Plants. Hokuryukan. Tokyo. (in Japanese)
Oh, S. C. 1974. A survey report on the plants lived in ponds in Cheju Island. Je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Journal 4: 93-98. (in Korean)
Oh, Y. C. 2000. Korean Cyperaceae.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in Korean)
Park, J. W.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 Academy Pub. Co., Seoul.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Sculthorpe, C. D. 1967. The biology of aquatic vascular plants. Edward Arnold Publishers Ltd., London.
Song, H. S. 2005. Illustrated vascular hydrophyte of Korea Jeju. Pulkkonnamu. Seoul. (in Korean)
Yasuro, K. 1994. Aquatic Plants of Japan. Bun-ichi Sogo Shuppan Co. Tokyo. (in Japanese)
Yu, M. H. 2007. (A) 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Lythraceae. M. S.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in Korean)
Zhin, K. L. 2008. Studies on the Plant Distribution in Weltlands and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onse of Hydrophytes in Jeju City Area. D. C. Dissert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in Korean).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