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Married Immigrant Women's Perceived Health Status: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2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1, 2015년, pp.32 - 42  

윤지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강희선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married female immigrants' perceived health status.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review of dataset from the 2012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5점 만점에서 평균 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여성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연령이 높아지고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좋지 않았다.
  • 이에 본 연구는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출신국 중 상위 5개국과 결혼이민(F-6) 체류자격이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지원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 1월 기준 결혼이민자는 몇명인가? 우리나라에서 국제결혼은 연간 3만 건 내외로 총 결혼 건수 대비 10%내로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그 중에 외국인 여성과 한국 남성의 혼인이 73%를 차지한다[1]. 결혼이민자는 2014년 1월 기준 149,764명으로 여성이 85.3%를 차지하고 있다[2].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경험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 사회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 의사 소통 어려움, 가족원간의 갈등, 자녀양육 등으로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5]. 이러한 이민 적응과정에서의 경험은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며[6], 자신의 가족 및 이전에 갖고 있던 사회적 네트워크로부터 단절됨으로써 발생하는 심리적 고립감 또한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7].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취약한 것으로 보고되는 질병에는 무엇이 있는가? 실제 여성결혼이민자는 우리나라 여성에 비해 질병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임신‧출산 관련된 빈혈, 출혈, 저체중, 유산, 불임과 자궁근종 등의 여성 건강과 우울, 갈등, 스트레스 등의 정신 건강 문제에 취약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3,6,8]. 이민 초기 당시 여성결혼이민자들 대부분이 젊은 여성층으로서 이들의 건강상태가 건강한 편으로 인식되나, 이민 과정을 둘러싼 정책적, 환경적 여건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할 때[3], 이들이 놓인 사회·환경적 요인은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상태에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marriage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3 April 29].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430 

  2.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Current status of foreign residents [Internet]. Seoul: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014 [cited 2014 July 2]. Available from: http://www.mospa.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4&nttId42492 

  3. Kim HR, Yeo JY, Jung JJ, Baek SH.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p. 276. 

  4. Kim GS, Moon SS.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nd marital satisfac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1;25(2):174-186. 

  5. Hong DAG, Chae OH. Family life and conflicts of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2006;15(5):729-741. 

  6. Seo IJ, Park JS. Health promoting behaviors, health problem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in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3;11(4):369-382. 

  7. Lee SR. Migration and health: A theoretical perspective. Goyang: IOM Migration Research and Training Centre; 2011. p.36. 

  8. Kim HL. Health status of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165:46-57. 

  9. Kondo N, Sembajwe G, Kawachi I, van Dam RM, Subramanian SV, Yamagata Z. Income inequality, mortality, and self rated health: Meta-analysis of multilevel studies. British Medical Journal. 2009;339(7731):1178-1181. 

  10. Connelly JE, Philbrick JT, Smith GR Jr. Kaiser DL, Wymer A. Health perception of primary care patients and the influence on health care utilization. Medical Care. 1989;27(3): s99-109. 

  11. Eun KH. A study on the health determining factors of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12. Kim WJ. Social participation and health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014;48:77-103. 

  13. Lee EA.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lan of social suppor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2009 Dec 18-19; Korea University, Korea. Seoul: Korea University; 2009 Dec. 1483-1494. 

  14. Cho JE, Cho GJ. A study on changes of the effect of factors to married immigrant women's health: Multicultural Families Survey (2009, 2012). The Journal of Migration & Society. 2014;7(2):5-28. 

  15. Yang YM, Wang HH. Accultura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transnational marriages in Taiwan.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11;22(4):405-413. 

  16. Kim SH. Analysis of affecting factors to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2. 

  17. Okafor MT, Carter-Pokras OD, Picot SJ, Zhan M. The relationship of language acculturation (English proficiency) to current self-rated health among African immigrant adults.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2013;15(3):499-509. 

  18. Otiniano AD, Gee GC. Self-reported discrimina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Whites, Blacks, Mexicans and Central Americans.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2012;14(2):189-197. 

  19. Salinero-Fort MA, Jimenez-Garcia R, del Otero-Sanz L, de Burgos- Lunar C, Chico-Moraleja RM, Martin-Madrazo C, et al. Selfreported health status in primary health care: The influence of immigration and other associated factors. PloS One. 2012;7(6):e38462. 

  20. Subedi RP, Rosenberg MW. Determinants of the variations in self-reported health status among recent and more established immigrants in Canada. Social Science & Medicine. 2014;115:103-110. 

  21. Yang SJ, Chee YK, Kim JA, An J.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14;16(3):373-380. 

  22. Jaung AH, Kim HJ, Jeong HJ.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of Filipino marriage-migr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12):5509-5517. 

  23. Lee SR, Lee MS, Kim HJ. Health barrier for female marriage migrants in Korea,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Goyang: IOM Migration Research and Training Centre; 2011. p.109. 

  24. Fiorillo D, Sabatini F. Quality and quantity: The role of social interactions in self-reported individual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2011;73(1):1644-1652. 

  25. d'Hombres B, Rocco L, Suhrcke M, McKee M. Does social capital determine health? Evidence from eight transition countries. Health Economics. 2010;19(1):56-74. 

  26. Kim HS, Kim HS. Depression in non-Korean women residing in South Korea following marriage to Korean men.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013;27(3):148-155. 

  27. Tsai SY, Sun WJ. Evaluating the satisfaction of immigrant women from a rural community regarding family function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omen & Health. 2013;53(2):135-153. 

  28. Almeida J, Molnar BE, Kawachi I, Subramanian SV. Ethnicity and nativity status as determinan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esting the concept of familism. Social Science & Medicine. 2009;68(10):1852-1858. 

  29. Chae SM, Park JW, Kang HS. Relationships of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14;25(2):137-144. 

  30. Williams DR, Sternthal M. Understanding racial-ethnic disparities in health: Sociological contribution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010;51Suppl:S15-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