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리 입체시와 사위 및 굴절이상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Near Stereoacuity and Phoria, and Refractive Error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1, 2015년, pp.67 - 73  

심현석 (광주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상현 (광주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영청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성인 남녀의 근거리 입체시와 근거리 사위의 관계를 알아보고, 근거리 입체시와 사위 및 굴절이상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성인 83명(남자 36명, 여자 47명, 평균 연령 $21.09{\pm}1.74$(19~29)세)을 대상으로 굴절이상자는 완전교정 후, 검사거리 40 cm에서 근거리 입체시는 Titmus-fly Stereotest(Stereo Optical Co., Inc., Chicago, IL, USA)와 RANDOT Stereotest(Stereo Optical Co., Inc., Chicago, IL, USA), 사위는 수정토링톤법(modified torrington method)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근거리 입체시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 좋았고 남녀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근거리 사위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았으며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근거리 입체시는 Titmus-fly Stereotest와 RANDOT Stereotest 결과 각각 내사위에서 $262.17{\pm}562.43$초, $243.08{\pm}68.04$초, 정위에서 $148.42{\pm}269.54$초, $107.40{\pm}263.74$초, 외사위에서 $113.94{\pm}152.46$초, $79.70{\pm}136.83$초로 사위 세 그룹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내사위와 근거리 입체시는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r=0.68). 또한 근거리 입체시가 굴절이상에서는 각각 정시에서 $80.00{\pm}571.43$초, $68.75{\pm}36.82$초, 근시에서 $133.57{\pm}224.15$초, $93.14{\pm}214.95$초 원시에서 $511.20{\pm}855.00$초, $511.4{\pm}855.60$초로 세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근거리 입체시를 굴절이상도로 분류했을 때, 정시에서 가장 좋고 고도 근시, 고도원시로 굴절이상도가 높았을 때 감소하였다. 결론: Titmus-fly Stereotest와 RANDOT Stereotest 결과, 성인의 근거리 입체시는 내사위일 때, 굴절이상이 높을 때 감소되어 사위 및 굴절이상과 관계가 있었고, 이 두 입체시 검사에서 근거리 입체시가 나쁠 경우에 사위 또는 굴절이상을 예상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e and female of near stereoacuity and phoria, and was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near stereoacuity and phoria and refractive error. Methods: Adult 83 (male 36, female 47, mean age $21.09{\pm}1.74$(19~29) years o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상적인 입체시가 양안시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근거하여 간단한 입체시 검사를 통해 사위나 굴절이상과 같은 양안시기능의 이상을 예측할 수 있다면 임상적으로 그 의미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Titmus-fly Stereotest 와 RANDOT Stereotest 두 검사법을 이용하여 근거리 입체시를 평가하고, 근거리 입체시에 사위 및 굴절이상이 미치는 영향과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상적인 입체시는 무엇인가? 정상적인 입체시(stereopsis)는 양안시기능(binocular visual acuity)을 평가할 때 매우 중요하고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1] 입체시가 공간 내에서 정확한 위치감, 거리감을 얻게 하므로 그 존재 자체가 중요하며, 시각계 전반의 발달이 정상적으로 완성될 때에만 충분히 획득되기 때문에[2] 입체시가 정상이라면 전반적인 눈의 기능도 정상 혹은 정상에 가깝다고 평가할 수 있어 입체시 검사는 사시, 약시, 부등시 등 눈의 이상을 발견하는 선별검사(screening) 및 진단검진방법으로써 양안시기능을 측정하는 매우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입체시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입체시의 정상 범위에 대해서는 검사방법이나 연구자마다 차이가 있으며, 대체로 30~50초 범위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데,[4,5] Simons[6]는 정상 성인의 근거리 입체시를 Titmus-fly Stereotest 상 40초로 평균 입체시를 보고하였으며, 입체시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부등상 (aniseikonia), 부등시(anisometropia), 조절(accommodation), 망막조도(retinal illumination), 동공크기(pupil size)등[7,8]과, 안위이상,[9] 굴절이상(refractive error)과 시력[10-12]등이 제시되고 있다.
근거리 사위 측정의 사위 판정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수평사위 검사를 위해서 우안에 마독스로드를 수평방향으로 부가하고 시표를 주시하게 하여 수직선조광이 보이는지를 확인한 후 점광원을 기준으로 수직선조광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물어보았다. 사위의 판정은 수직선조광이 점광원에 위치하면 정위, 수직선조광이 점광원의 오른쪽에 위치하면 (동측성)내사위, 수직선조광이 왼쪽에 위치하면 (교차성)외사위로 판정하였고, 이때 수직 선조광이 카드에 적혀 있는 어느 숫자에 있는지를 물어보고 수직선조광이 위치에 있는 숫자가 안구의 편위량이므로 사위량으로 기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aladin JJ. Effects of heterophoria on stereopsis. Optom Vis Sci. 1995;72(7):487-492. 

  2. Hong SW, Park SC. Stereoacuity of normal subjects assessed by frisby davis distance stereotest. J Korean Ophthalmol Soc. 2006;47(1):154-159. 

  3. Von Noordern GK.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5th Ed. St. Louis: Mosby, 1996;24-28. 

  4. Tychsen L. Binocular vision. In: William MH(ed) Adler's physiology of the eye: clinical applications, 9th Ed. St. Louis: Mosby, 1992;773-853. 

  5. Jin YH. Strabismology, 2nd Ed. Seoul: UUP, 1999;67-75. 

  6. Simons K. Stereoacuity norms in young children. Arch Ophthalmol. 1981;99(3):439-445. 

  7. Campos EC, Enoch JM. Amount of aniseikonia compatible with fine binocular vision: some old and new concepts.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0;17(1):44-47. 

  8. Lovasik JV, Szymkiw M. Effects of aniseikonia, anisometropia, accommodation, retinal illuminance and pupil size on stereopsi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5;26(5):741-750. 

  9. Jung SA, Kim HJ. Comparison of stereopsis by influence factors in induced aniseikonia.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18(4):465-471. 

  10. Colenbrander MC. The limits of stereoscopis vision. Ophthalmologica. 1948;115(6):363-366. 

  11. Levy NS, Glick EB. Stereoscopic perception and snellen visual acuity. Am J Ophthalmol. 1974;78(4):722-724. 

  12. Larson WL, Lachance A. Stereoscopic acuity with induced refractive errors. Am J Optom Physiol Opt. 1983;60(6):509-513. 

  13. Jimnez JR, Olivares JL, Prez-Ocn F, del Barco LJ. Associated phoria in relation to stereopsis with random-dot stereograms. Optom Vis Sci. 2000;77(1):47-50. 

  14. Shin HS, Lee SH, Yun MO, Kim MY, Bae HS, Park SC.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exophoria and stereoacuity.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9;14(2):41-46. 

  15. Matsubayashi A, Graham CH. Visual space perception. vision and pecerption, 1st Ed. New York: John Wiley&Sons, 1965;292. 

  16. Stimar G. Blurred visual stimuli on vernier and stereoacuity. Acta Ophthalmol. 1971;49(3):364-379. 

  17. Cooper J, Warshowsky J. Lateral displacement as a response cue in the titmus stereotest. Am J Optom Physiol Opt. 1977; 54(8):537-541. 

  18. Hansell R. Stereopsis and arc. Am Orthopt J. 1991;41:122-127. 

  19. Frisby JP, Mein J, Saye A, Stanworth A. Use of random-dot sterograms in the clinical assessment of strabismic patients. Br J Ophthalmol. 1975;59(10):545-552. 

  20. Cooper J, Feldman J. Random-dot-stereogram performance by strabismic, amblyopic, and ocular-pathology patients in an operant-discrimination task. Am J Optom Physiol Opt. 1978;55(9):599-609. 

  21. Schroeder TL, Rainey BB, Goss DA, Grosvenor TP. Reliability of and comparisons among methods of measuring dissociated phoria. Optom Vis Sci. 1996;73(6):389-397. 

  22. Rainey BB, Schroeder TL, Goss DA, Grosvenor TP. Inter-examiner repeatability of heterophoria tests. Optom Vis Sci. 1998;75(10):719-726. 

  23. Casillas EC, Rosenfield M. Comparison of subjective heterophoria testing with a phoropter and trial frame. Optom Vis Sci. 2006;83(4):237-241. 

  24. Sung PJ. Optometry, 7th Ed. Seoul: Deihakseolim, 2011;195-276. 

  25. Cho YA, Cho SW, Roh GH. Evaluation of criteria of stereoacuity for titmus, randot & tno stereotests. J Korean Ophthalmol Soc. 1999;40(2):532-537. 

  26. Sheedy JE, Saladin JJ. Phoria, vergence, and fixation disparity in oculomotor problems. Am J Optom Physiol Opt. 1977;54(7):474-478. 

  27. Ogle KN. Researches in Binocular Vision, 1st Ed. New York; Hafner, 1964;159-162. 

  28. Sethi B, North RV. Vergence adaptive changes with varying magnitudes of prism-induced disparities and fusional amplitudes. Am J Optom Physiol Opt. 1987;64(4):263-268. 

  29. Min BM, Park WC.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cuity and titmus stereoacuity. J Korean Ophthalmol Soc. 1987;28(6):1339-13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