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둥근어깨 교정운동프로그램과 가정운동프로그램이 어깨 높이와 등세모근의 근활성도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Home Exercise Program and Exercise Program of Round Shoulder Adjusting on the Shoulder Height, the Level of Trapezius Muscle Activity and Attention Capac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3 no.1, 2015년, pp.91 - 103  

이형수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광호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강성한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강솔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권믿음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래하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소영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수림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윤선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정동규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한은지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장선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me exercise program and exercise program of round shoulder adjustments on the level of trapezius muscle activity and attention capac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omposed of 21 midd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장기 중학생 중 기준치에 해당되는 24명을 6주간 보편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세라밴드 운동과 맨손 운동을 이용한 가정 운동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주 3회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 자세개선과 집중력과 근활성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인 광주 소재의 S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세의 개선이 중학생들의 집중력과 근활성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남녀학생들은 모두 어깨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제한을 받으며 그 중 공부와 수업의 집중력 제한이 가장 흔하다고 보고되었다(김양미, 2011).
  • 본 연구는 평소 자세가 좋지 않아 어깨가 굽어있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둥근 어깨 교정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을 6주간 실시하여 어깨높이의 변화, 등세모근의 근활성도, 집중력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총 24명에서 개인 사정상 참여하지 못한 중도 포기자 3명을 제외하고 가정 운동프로그램을 포함한 주 3회 운동을 실시한 실험군 11명, 운동 전·후 측정에만 응했던 대조군 10명으로 나누어 결과 값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동화와 기계화의 발달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현대사회에서는 자동화와 기계화의 발달로 장시간 반복되는 작업으로 인해 발생한 스트레스가 신체에 축적되어 신체 전반에 미세한 손상을 유발함으로써 허리뿐 아니라 사지에 만성적인 통증과 감각이상을 가져온다(Lee, 2007). 그 중 상지통증은 요통과 함께 임상에서 주된 질환으로 많은 성인들이 직업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친다(권미희, 2004).
최근 어깨통증환자에 대한 추이는? 그런데 최근에는 어깨통증이나 잘못된 자세로 병원을 찾는 청소년 환자가 증가했고, 건강보험공단의 통계에 따르면 어깨통증으로 내원한 사람이 55%로 증가했다고 보고하였다(건강보험공단, 2010). 현재 보고된 상지통증의 원인은 잘못된 자세나 습관에 따른 연부조직의 변형이고, 청소년의 상지통증관련 요인으로는 장시간 앉아 있는 자세, 운동부족, 체격에 맞지 않는 책걸상, 무거운 가방 사용 등이 있다(정지연, 2005).
성장기 때부터 올바른 자세를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현재 보고된 상지통증의 원인은 잘못된 자세나 습관에 따른 연부조직의 변형이고, 청소년의 상지통증관련 요인으로는 장시간 앉아 있는 자세, 운동부족, 체격에 맞지 않는 책걸상, 무거운 가방 사용 등이 있다(정지연, 2005). 청소년기의 자세는 근골격계 형성뿐 아니라 성인이 되었을 때의 자세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고로 성장기 때부터 올바른 자세를 갖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바른 자세는 근육을 균형 있게 만들고, 더불어 운동기능 향상은 소뇌를 자극하여 인지기능과 학습능력을 올려 성적 향상에도 도움을 가져온다(김명,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국민건강보험공단(2010). 목 부위통증. 건강보험공단. 

  2. 권미희(2004). 만성 경부통 환자의 승모근 근력과 경추 자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길남희(2000). PNF 스트레칭 훈련이 무용수의 어깨관절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귀애, 이명주(2005).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기억기능과 실행기능. 한국심리학회지, 24(4), 849-867. 

  5. 김명(2008). 건강과학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6. 김양미(2011). 일반계고등학생의 목 어깨 통증 경험과 관련요인.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정희(2009). 중학생의 앉은자세의 바름 정도와 불안, 우울, 분노, ADHD, 학교적응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진문(2005). 복합운동이 경견완 장애를 지닌 사무직 근로자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창규(2003). 바른 자세가 보약이다. 서울, 해냄출판사. 

  10. 김홍근(2001).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 심리검사. 대구, 도서출판 신경심리. 

  11. 문재호(1998). 학생의 척추 건강을 위한 체위 향상 전략.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1(1), 7-10. 

  12. 문형훈(2007). 특발성 척추 측만증이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정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박승규, 박재만, 이준희(2010). Push-up plus 운동이 둥근 어깨를 가진 대상자의 견갑골 위치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2(5), 1-8. 

  14. 박화엽(1989). 정신집중력과 및 독서행동개발에 관한 실험연구. 서강대학교 논문집, 24, 157-174. 

  15. 양회송, 배세현(2013). 작은가슴근의 단축이 등세모근과 큰가슴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1(4), 85-92. 

  16. 오상우(1989). 한국판 Stroop 색체단어 간섭검사. 원광정신의학, 5(1-4), 53-68. 

  17. 유인화(2003). Thera-Band and Exercise Ball. 운동사대회, 1, 226-236. 

  18. 윤정호(1998). Mckenzie 운동요법이 만성 경부통환자의 머리, 어깨 자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 이대희(2011). 균형운동과 신장운동이 두부전방전위 자세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 이우성(2012). 탄성밴드(Thera-band)를 활용한 견갑대 안정화 가정 운동프로그램이 전방머리자세로 인한 긴 장성 두통 환자의 자세 개선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정영대, 이현옥, 송민영(2009). 가정 운동프로그램이 만성요통환자의 요추측만과 골반정렬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6(3), 133-140. 

  22. 정지연(2005). 경부 자가 운동이 만성경부통한자의 통증, 가동범위, 경부기능장애지수 및 경추배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정혜윤(2013). 10주간 0교시 체육이 중학생의 신체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조경이(2003). 태극권 훈련이 여중생의 스트레스와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조현준, 장명재(2011). 세라밴드 운동이 청소년들의 특발성 척추 측만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9(1), 31-36. 

  26. 최승욱, 이소은(2009). 성장기 척추측만증 중학생의 32 주간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18(2), 1241-1251. 

  27. Borstad JD, Ludewig PM(2006). Comparison of three stretches for the pectoralis minor muscle. J Shoulder Elbow Surg, 15(3), 324-330. 

  28. Cailliet R(1983). Exercise for scoliosis. In: Jhon VB, eds, Therapeutic exercise. Baltimore, Williams and Wilkins. 

  29. Cantu RI, Grodin AJ(2001). Myofascial manipulation; theory and clinical application. 2nd ed, Gaithersburg, Aspen Publishers, 46-61. 

  30. Cools AM, Declercq CA, Cambier DC et al(2007). Trapezius activity and intramuscular balance during isokinetic exercise in overhead athletes with impingement symptoms. Scand J Med Sci Sports, 17(1), 25-33. 

  31. Ettekoven HV, Lucas C(2006). Efficacy of physiotherapy including a craniocervical training programme for tension-type headache; a randomized clinical trail. Cephalalgia, 26(8), 983-991. 

  32. Greenfield B(2001). Upper quarter evaluation: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independence. In: Donatelli RA, Wooden MJ, eds, Orthopedic physical therapy.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46-61. 

  33. Gunnoe BA(1990).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Orthop Rev, 19(1), 35-43. 

  34. Janda V(1994). Muscles and motor control cervicogenic disorders: Assessment and management. Physical therapy of th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35.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et al(2005).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35-298. 

  36. Kisner C, Colby LA(2007).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5th ed, Philadelphia, FA. Davis. 

  37. Lee YC(2007). A study on risk assessment of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for train operat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38. Lukasiewicz AC, McClure P, Michener L et al(1999). Comparison of 3-dimensional scapular position and orientation between subjects with and without shoulder impingement. J Orthop Sports Phys Ther, 29(10), 574-583. 

  39. Mekhora K, Liston C, Nanthavanij S et al(2000). The effect of ergonomic intervention on discomfort in computer users with tension neck syndrome. Int J Ind Ergonom, 26(3), 367-379. 

  40. Sahrmann SA(2002).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Missouri, Mosby. 

  41. Tulder MW, Koes BW, Bouter LM et al(1997). Management of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in primary care, a descriptive study. Spine, 22(1), 76-82. 

  42. Wang CH, McClure P, Pratt NE et al(1999).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s: their effect on three-dimensional scapular kinematics. Arch Phys Med Rehabil, 80(8), 923-9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